• Title/Summary/Keyword: 수중음압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ase study on the Prediction of Underwater Sound Pressure Level by Blasting (발파에 의한 수중음압레벨 예측 사례연구)

  • Park, Jeong-Il;Kang, Choo-Won;Noh, Young-Bae;Ko, Chin-Surk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9 no.2
    • /
    • pp.81-88
    • /
    • 2011
  • Most of the blast pollution that causes complaints is noise and vibration. Hence, special attentions need to be paid to controlling the underwater noise in designing blasting for those areas. This study estimated underwater sound pressure using distance from blasting and charge per delay and underwater sound pressure level using the underwater sound pressure. To identify the validity of the estimated value, the study demonstrated the results at other areas and compared actual results with estimated results.

Assessment of Underwater Acoustics according to Habitat types (서식처 유형에 따른 수중음향 평가)

  • Gu, Jung-Eun;Jung, Sang Wha;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9-479
    • /
    • 2018
  • 하천의 수심, 유속, 하상경사, 하상재료, 만곡도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생물서식처로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그 특성들에 의해 서식처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서식처 유형에 따라 수중음향의 특성이 달라지며, 수중음향의 서식지의 양적 표시자로서 잠재력으로 인해 최근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적인 영향을 적게 받은 자연하천으로 양양 남대천 12개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서식지의 형태에 따른 수중음향과 하천의 수리적 인자에 따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식처 유형으로는 빠른 유속에 얕은 수심을 가지고 있는 여울(riffle), 수심이 깊고 유속이 느린 소(pool), 낙차가 있는 계단형 여울(step riffle)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중배경음은 여울과 계단형 여울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경음을 나타내었다. H2, H4, H5, H9, H10 지점은 여울 형태로 유속에 따라 H2, H5, H4, H9 지점 순으로 음압레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H10지점은 H9, H4 지점에 비해 낮은 유속임에도 높은 음압레벨을 보였다. 이는 H10 지점의 하상이 조도가 매우 큰 전석으로 이루어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H3, H6, H7, H8, H12 지점은 소 형태로 H12 지점을 제외하고 대체로 낮은 음압레벨을 보였으며, H3과 H6지점에서는 저주파수에서 높은 음압레벨을 보였다. 이는 수심이 깊은 경우 상류의 저주파수의 음파가 잘 전달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H1과 H11지점은 계단형 여울로 낮은 수심에서 빠른 유속을 가진 H11지점과 느린 유속을 가진 H1 지점에서 대체로 높은 음압레벨을 나타내었다. 이는 낙차에 의한 수중음향 발생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세 가지 유형에 따른 수중 음향을 비교하였을 때 음압레벨은 계단형 여울, 여울, 소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중음향이 서식처의 수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물서식처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수중음향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Frequency Dependent Underwater Acoustic Mode Penetration Depth in Sediment (주파수에 따른 해저 퇴적층에서의 수중 음파 투과 심도)

  • 양철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84.12a
    • /
    • pp.52-56
    • /
    • 1984
  • 파동 이론에 의한 수중에서의 저주파 음파전달은 음향학적 경계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Normal Mode로 특징지어 진다. Normal Mode는 수층(Water Layer)뿐만 아니라 수직적으로 층상 구조인 해저 퇴적층(Subatrate)의 음향 특성을 포함하여 결정되는 파동 방정식의 해로서 이에 의해 수층 및 해저 퇴적층에서의 음압 분포와 감쇠를 계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저주파 음파 전달에 관한 Normal Mode 이론에 의하여 음원의 주파수와 해저 퇴적층에서의 음속 분포등에 따른 각 Mode의 음압 분포, 감쇠등에 관한 음향학적 해석으로 원거리까지 진행하는 수중 음파의 해저 퇴적층 투과 심도를 추출하였다.

  • PDF

UNDERWATER NOISE GENERATED BY FISHING GEAR -Stern trawl net- (어구에서 발생되는 소음 -트로올 어구-)

  • YOON Gab Do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2 no.4
    • /
    • pp.217-224
    • /
    • 1979
  •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measure the sound spectra of the underwater noises generated by moving trawl net. An underwater recording system was designed to detect underwater noise generated by moving trawl net. The acoustic analysis was made by a heterodyne analyzer (B & K 2010) and level recorder (B & K 2307). The noises generated by the trawl net are appreciably higher (about 10dB) than the background noise in the presence of the fishing vessel.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underwater noise was DC-6,300 Hz and predominant frequency range was 100-200 Hz, and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was $137\;db(re\;1{\mu}Pa)$. Sound pressure level recorded at the ground rope was higher than that recorded at the head rope. The sound pressure level meosured in the course of hawling was higher than that measured in the course of towing. When tile net is being casted tile sound pressure level showed the lowest value.

  • PDF

A Study on Underwater Acoustic Characteristics by Vegetation in River (하천 식생에 따른 수중음향 분석)

  • Gu, Jung-Eun;Jung, Sang Hwa;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22-522
    • /
    • 2017
  • 하천에서 식생은 하도내 흐름저항과 항력을 증가시켜 유속과 유사이동을 감소시킨다. 유속의 감소로 인해 유사가 퇴적되어 사주 발생이 증가하며 이는 하도 지형변화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하천내 식생은 하천생물의 서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물리적인 서식환경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서식환경 변화는 수중음향으로 표현되는 하천의 음환경(Soundscape) 변화로 연결된다. 본 연구는 하천 식생대에서의 수중 음향변화를 식생유무, 수온, 수심에 따라 분석하고 수리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규모 하천 수로에 식생 38 주/$m^2$를 식재하고 1 m정도 성장시킨 후 식생을 완전 침수시켜 $3.2m^3/s$의 유량을 공급하여 유속의 변화와 수중음향을 측정하였다. 오후시간대와 새벽시간대를 이용하여 수온이 다른 조건에서 측정하였고, 수심은 표면 3 cm, 40 cm, 80 cm 깊이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지점은 식생구간의 상류지점(A), 식생구간(B), 식생구간의 하류지점(C) 세 곳을 선정하였고, 유속은 micro-ADV, 수중 음향은 Hydrophone을 사용하여 5분간 측정하였다. 측정 주파수 spectrum은 1/3 Octave band로 처리하여 음압을 비교분석하였다.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분석한 결과 측정지점에 관계없이 주로 125 Hz, 315 Hz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심에 따른 음향을 분석한 결과 식생이 없는 상류(A)지점에서는 수중음향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식생지점(B)과 식생이 없는 하류(C)지점에서는 수중음향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식생에 의한 유속의 저하로 인해 흐름이 안정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수온에 따라서는 식생구간(B)과 하류(C)지점에서 대체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류(A)지점에서는 수온이 높을 때 음압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온도가 높을수록 소리의 전달속도가 더 빨라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식생의 유무와 수심, 온도에 따라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이 달라지고 이에 따른 수중음향도 달라지므로 하천의 물리적 서식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인자로 수중음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Under Water Ambient Noise at Voting-il Bay (영일만 부근에서의 수중소음)

  • HA Kang Lyeol;YOON Gab Do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6 no.3
    • /
    • pp.197-201
    • /
    • 1983
  • Underwater ambient noise level was measured at two points near the Youngil Ba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depend upon oceanographic conditions of sound propagation ana its implication on the source of ambient noise. Some noise sources were estimated, and the effect of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on the noise level variation had been consid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t the nearshore station of Youngil Bay, the ambient noise level in the near bottom(45m) was lower than that of the near surface(10m) by 15dB. This difference was due to spherical spreading from the upper to the lower layer. 2) At the open sea station which is located outside of the thermal front existing near the Youngil Bay, the ambient noise level of the upper layer(20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 layer (100m) by $8{\sim}12dB$ below 50Hz and $15{\sim}23dB$ above 50Hz. 3) Above 60Hz the ambient noise level at the nearshore st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pen sea station, while below 60Hz, the result was reverse. It appears that a boundary layer existed between the two stations.

  • PDF

Positional Estimation of Underwater Sound Source Using Nearfield Acoustic Holography (근접장 음향 홀로그래피에 의한 수중 음원의 위치 추정)

  • Yoon Jong-Rak;Kim Won-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3
    • /
    • pp.166-170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position estimation method of underwater sound source using the Nearfield Acoustic Holography. The result confirms that it can be used in the identification of underwater noise sources. The sound sources in the experimental work consists of 2 spherical projectors and the near-Held sound pressure is measured in the hologram plane. From the cross-power spectra of the measured data, the complex sound pressures on the hologram plane is derived and its spatial transformation gives sound fields in a source region. The obtained sound fields in a source region showed that the position of each sound source and their relative source strength are exactly estimated. In conclusion, this technique can be applied for estimation of each source position and its relative strength contribution for the underwater multiple sound sources.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Underwater Acoustic Tonpilz Vector Sensor for the Estimation of Sound Source Direction (음원의 방향 추정을 위한 수중 음향 Tonpilz 벡터 센서의 제작 및 특성 평가)

  • Lim, Youngsub;Roh, Yongr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5
    • /
    • pp.351-359
    • /
    • 2015
  • Typical underwater acoustic transducers detect only the magnitude of an acoustic pressure and they have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recognize the direction of the sound signal. Hence, the authors of this paper proposed a new vector sensor structure based on Tonpilz transducers that could detect both the magnitude and the direction of a sound pressure. In the proposed structure, the piezoceramic ring was divided into four segments, and proper combination of the output voltages of the segments in response to the external sound pressure could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orientation of the sound source. In this paper, a Tonpilz transducer has been fabricated to have the proposed structure and its characteristics has been measur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tructure.

Incidence Angle Estimation by the Tonpilz Type Underwater Acoustic Vector Sensor with a Quadrupole Structure (Quadrupole 구조를 가진 Tonpilz형 수중 음향 벡터 센서를 이용한 입사각 추정)

  • Lim, Youngsub;Roh, Yongr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8
    • /
    • pp.569-579
    • /
    • 2012
  • Typical Tonpilz type underwater acoustic transducers making use of piezoelectric ceramics detect the magnitude of an acoustic pressure, a scalar quantity, and convert this pressure into a proportional output voltage. The scalar sensor has no directional sensitivity.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new vector sensor based on the Tonpilz transducer structure, which is sensitive to both the magnitude and the azimuthal direction of an acoustic wave. Validity of this new design has been confirmed with analytic equations and finite element analyses.

The Hearing Ability of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to Underwater Audible Sound -1. The Auditory Threshold- (수중 가청음에 의한 볼락의 청각 능력 -1. 청각 문턱치-)

  • LEE Chang-Heon;Seo Du-O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6
    • /
    • pp.581-584
    • /
    • 2000
  • In order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about method of luring fish schools by underwater audible sound, the auditory threshold of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on the coast of Cheju Island was investigated by heartbeat conditioning technique using pure tones coupled with a delayed electric shock, The audible range of black rockfish extended from 80 Hz to 800 Hz with a peak sensitivity at 300 Hz. The mean auditory thresholds of black rockfish at the frequencies of 80 Hz, 100 Hz, 200 Hz, 300 Hz, 500 Hz and 800 Hz were 102 dB, 103 dB, 99 dB, 96 dB, 116 dB and 122 dB, respectively, As the frequency became higher than 300 Hz, the auditory threshold increased rapid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