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준 분류

Search Result 2,3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가구구성의 유형에 따른 차별출산력 : 중국 연변자치주의 조선족과 한족의 비교분석

  • 권혁인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3 no.1
    • /
    • pp.31-53
    • /
    • 2000
  • 이 논문은 중궁의 가족적 특성과 츨상력의 관계를 보다 면밀하게 알아보기 위해 사회 문화적 특성을 근간으로 하는 가구유형을 분류, 이들간의 출산수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990년에 실시된 제 4 차 중국인구센서스 자료 중에서 조선족이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는 길림성내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50% 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가구유형별 출산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자료를 가구구성특성에 따라 네가지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가족경제의 생산단위와 세대구성을 기준으로 고립형, 병렬형, 직계형, 전통형의 네가지 가구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출산력을 한족과 조선족의 네가지 가구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출산력을 한족과 조선족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농가와 비농가의 가구형태 또는 세대구성의 성격아 출산수준과 갖는 상관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중국의 사회 경제적요인과 결부하여 전통적으로 유지되던 가족관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민족별 출산수준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연구결과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해체하고 집단적 공동생산 체제를 대체시키려는 중국의 사회주의 정책이 현실적으로는 가족중심의 생산체제와 전통적 가족주의를 변화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구유형에 따른 출산수준의 편차는 두 민족간에 차이를 보여 주었다. 한족이 여성의 직업이나 교육수준에 따라 가구유형별 출산수준의 편차가 크게 변화되는 것과는 달리 조선족은 비교적 전통적인 세대관 이 강조되는 다가구 유형에서 높은 출산수준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는 중국의 인구정책과 경제개방 시행과정에서 약소민족인 조선족의 저출산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가구 유형별 출산수준에 대한 영향력이 한족에 비해 적었던 것으로 지적할수 있다.

  • PDF

Kansas Vegetation Mapping Using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Data: A Hybrid Approach (계절별 위성자료를 이용한 미국 캔자스주 식생 분류 - 하이브리드 접근방식의 적용 -)

  • ;Stephen Egbert;Dana Peterson;Aimee Stewart;Chris Lauver;Kevin Price;Clayton Blodgett;Jack Cully, Jr,;Glennis Kaufm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5
    • /
    • pp.667-685
    • /
    • 2003
  • To address the requirements of gap analysis for species protection, as well as the needs of state and federal agencies for detailed digital land cover, a 43-class map at the vegetation alliance level was created for the state of Kansas using multi-temporal Thematic Mapper imagery. The mapping approach included the use of three-date multi-seasonal imagery, a two-stage classification approach that first masked out cropland areas using un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then mapped natural vegetation with supervised classific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utilizing a map of small multiples and field experts, and extensive use of ancillary data in post-hoc processing. Accuracy assessment was conducted at three levels of generalization (Anderson Level I, vegetation formation, and vegetation alliance) and three cross-tabulation approaches. Overall accuracy ranged from 51.7% to 89.4%, depending on level of generalization, while accuracy figures for individual alliance classes varied by area covered and level of sampling.

A Transfer Learning Method for Solving Imbalance Data of Abusive Sentence Classification (욕설문장 분류의 불균형 데이터 해결을 위한 전이학습 방법)

  • Seo, Suin;Cho, Sung-Bae
    • Journal of KIISE
    • /
    • v.44 no.12
    • /
    • pp.1275-1281
    • /
    • 2017
  • The supervised learning approach is suitable for classification of insulting sentences, but pre-decided training sentences are necessary. Since a Character-level Convolution Neural Network is robust for each character, so is appropriate for classifying abusive sentences, however, has a drawback that demanding a lot of training sentences. In this paper, we propose transfer learning method that reusing the trained filters in the real classification process after the filters get the characteristics of offensive words by generated abusive/normal pair of sentences. We got higher performances of the classifier by decreasing the effects of data shortage and class imbalance. We executed experiments and evaluations for three datasets and got higher F1-score of character-level CNN classifier when applying transfer learning in all datasets.

An Introduction to the Chinese Soil Taxonomic Classification System (중국(中國) 토양(土壤) 계통(系統) 분류(分類) 안(案)의 소개(紹介) 및 고찰(考察))

  • Jung, Yeun-T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6 no.3
    • /
    • pp.215-221
    • /
    • 1993
  • 중국(中國)은 1991년에 새로운 토양계통분류법(土壤系統分類法)을 1차(次) 시안(試案)으로 확정 발표하였다. 본 체계는 미국의 Soil Taxonomy 체계와 비슷한 형태계량적규준(形態計量的規準)(Morpho-metric definition)으로 되어 있고 전산(電算)프로그램화(化)도 가능한 체계로 되어 있다. 분류체계는 목(目)(Order, 토망(土網)), 아목(亞目)(Suborder, 아망(亞網)), 군(群)(Group, 토류(土類)), 아군(亞群)(Subgroup, 아류(亞類)), 속(屬)(Family, 토속(土屬)), 통(統)(Series, 토종(土種))으로 되어 있고, 현재 13개 목망(目網), 33개 아목(亞目), 77개 군(群), 301개 아군(亞群)으로 분류되어 있다. 특징적표층(特徵的表層)은 유기표층(有機表層) 등(等) 8종, 진단표하층(診斷表下層)(차표층(次表層))은 표백층(漂白層) 등(等) 10종, 기타 특징토층(特徵土層)은 석회적표층(石灰的表層) 등(等) 12종, 그리고 암성(岩性) 등(等) 23종의 토양 생성적(生成的) 특징(特徵) 또는 현상(現像)을 분류기준으로 쓰고 있다. 분류상의 특징은 고위도(高緯度)나 고산지대(高山地帶)의 영구동결층(永久凍結層)을 강조하여 아목수준(亞目水準)에서 분류하였고 논토양이나 관개퇴적토(灌漑堆積土), 영양분(營養分)이 심층(深層)까지 집적(集積)된 채전(菜田) 등(等) 인위적(人爲的) 영향(影響)을 크게 받은 토양을 최고차(最高次) 분류단위(分類單位)인 목수준(目水準)에서 독립(獨立)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인위적인 교란(攪亂)을 받았으나 아직 단면(斷面)의 발달이 없는 토양을 초육토(初育土)의 아목수준(亞目水準)에서 구분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 (LoS) in Asset Management for Separated Sewer Pipe by 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 (기능계통도를 활용한 분류식 하수관거의 자산관리 서비스수준의 성능측정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 Ha, Seung Ho;Kim, Seok;Cho, Namho;Kim, Kyong J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D
    • /
    • pp.147-157
    • /
    • 2012
  • Recent studies on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 (LoS) for separated sewer pipe have simply shown high-level of Lo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and financial/social/economical factors, which results in poor connectivity to real maintenance wo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level of service in the manner of function by analyzing the separated sewer pipes with FAST, 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 used in value engineer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suggested in this study include all the functions of separated sewer pipes and show an advantage of focused function maintenance. Moreover, developed indicators help to manage archival history and to perform asset management effectively.

A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of Intelligence Level of Unmanned Grain Harvester (무인 곡물 수확기 지능수준 등급구분에 관한 연구)

  • Na, Zhao;Pan,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5
    • /
    • pp.165-173
    • /
    • 2020
  • The emergence of unmanned agricultural machinery has brought new research content to the development of precision agriculture. In order to speed up the research on key technologies of unmanned agricultural machinery, classification of intelligence level of unmanned agricultural machinery has become a primary task.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take the complex interactive system consisting of unmanned grain harvester, task and driving environment as the research object, and carry out a research on the grading and classification of intelligent level of unmanned grain harvester.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also establish an evaluation model of unmanned grain harvester vehicle, which consists of human intervention degree, environmental complexity, and task complexity. Besides, the grading and classification of intelligence level of the unmanned grain harvester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human intervention degree, environmental complexity and the task complexity of the unmanned grain harvester. It provides a direc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unmanned agricultural machinery.

A Study on Development Skill Framework and Analysis of It's Linkage to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tems in Machinery Sector (기계분야 직무체계 개발과 국가기술자격종목 연계실태 분석 연구)

  • Park, Jong-Sung;Cho, Jeong-Yo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3 no.4
    • /
    • pp.93-108
    • /
    • 2010
  • The goal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n linkage system between in machinery sector. The development of skill framework an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tems. This paper researched skills and created the skill level through reviewing domestic & foreign documents, interview with experts and in-depth discussions with expert group focusing on terminologies commonly used in the industrial settings. As a result of skill classification, authors were able to classify skills into three categories in medium-scale classification and 11 categories in small-scale classification, and also into total 42 categories through the re-classification of the small-scale classification. The skill level in the area of machine were classified the skill level in the area of machine into 7 level by reflecting the level system of the korean qualification frameworks, qualification and education course, and skill level in the industrial setting. Based on the skill frameworks, we provided definition of skill and skill group, definition of each different skill, and performance standards by skill and level. also, This paper suggests improving measure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tems through analysizing linkage situation between skill frameworks & qualification items.

  • PDF

An automated Classification System of Standard Industry and Occupation Codes by Using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s (정보검색 기법을 이용한 산업/직업 코드 자동 분류 시스템)

  • Lim, Heui 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4
    • /
    • pp.51-60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ed coding system of Korean standard industry/occupation for census which reduces a lot of cost and labor for manual coding. The proposed system converts natural language responses on survey questionnaires into corresponding numeric codes using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s and document classification algorithm. The system was experimented with 46,762 industry records and occupation 36,286 records using 10-fold cross -validation evaluation method. As experimental results, the system show 87.08% and 66.08% production rates when classifying industry records into level 2 and level 5 codes respectively. The system shows slightly lower performances on occupation code classification. We expect that the system is enough to be used as a semi-automate coding system which can minimize manual coding task or as a verification tool for manual coding results though it has much room to be improved as an automated coding system.

  • PDF

Improve qualifications of broadcast communications jobs for the NCS utilization (NCS 활용을 위한 "방송통신직종"의 자격 개선)

  • Kim, YoungChul;Song, Young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92-93
    • /
    • 2015
  •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방송통신직종"의 직무분석과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자격시험제도에 관한 실행방안을 알아본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은 학벌 중심의 사회에서 능력 중심의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표준을 구성하였고, 표준에 기반 하여 학교교육 직업훈련 및 자격제도 개편을 하고자 시행되고 있다. 방송통신직종은 대분류가 정보통신이고, 중분류가 방송기술, 소분류가 방송제작기술, 방송플랫폼기술, 방송서비스로 분류되고 있다. 방송통신 직종의 각 세 분류 내에 능력단위를 보고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 능력단위의 수준을 검토함으로서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자격등급별로 타당성을 비교하였으나 능력단위 수준 및 능력단위의 내용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직업군을 자격검정으로 맞추지 못 할 것으로 판단이 되고, 자격제도의 올바른 시행을 위해서는 세부 항목을 검토하여 세분화하거나 자격검정을 새롭게 분류하여 제도화를 하거나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 PDF

MUN 수준이 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영채;김창근;이호준;윤종택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81-81
    • /
    • 2001
  • 최근 적절한 사양관리를 위해서 유중 요소태질소 수준(MUN)과 유단백을 이용하여 사료 내 에너지와 단백질의 균형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며 요소태질소 수준이 정상보다 크게 높거나 낮았을 때 번식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번식효율의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유내 요소태질소 수준이 번식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요소태질소 수준을 번식장애의 진단지표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공시된 우유시료는 경기도 안성시와 이천시에 소재한 낙농목장에서 사육중인 조사두수를 대상으로 개체당 약 30~50$m\ell$의 우유를 채유하고 냉장보관하여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우유의 분석은 유성분분석기(Fosscomb : 4000, Fossmatic 5000, Denmark)를 이용하여 우유의 일반성분인 유지방, 유당, 유단백, 무지고형분, 총고형분, 빙점, 유중요소태질소, 구연산과 체세포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번식장애우의 진단은 낙농가가 번식장애우로 분류한 개체를 대상으로 직장검사 및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진단하였다. MUN준에 따른 공태일수의 조사 결과 MUN수준이 7이하 군의 공태일수가 88.98$\pm$120.68로 7-16의 92.20$\pm$105.39와 16이상의 94.42$\pm$87.51보다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번식장애우의 발생빈도와 유성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낙농가가 번식장애우로 분류한 68두를 진단한 결과 발정발견을 하지 못하여 번식장애우로 분류된 두수가 30두(44.1%)와 비정상두수 38두(55.9%)로 나타났으며 비정상 두수 중 난포난종이 19두(27.9%)로 영구항체6두(8.8%), 자궁내막염(10.3%), 자궁축농증 6두(8.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장애우의 유성분 분석결과 자궁축농증이 있는 개체의 유단백 평균이 3.43$\pm$0.35로 다른군에 비해 높았으며 영구항체가 있는 개체군의 MUN수준이 7.73$\pm$8.58로 다른군의 10.84$\pm$4.92, 10.89$\pm$7.38와 10.61$\pm$5.52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