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 (LoS) in Asset Management for Separated Sewer Pipe by 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

기능계통도를 활용한 분류식 하수관거의 자산관리 서비스수준의 성능측정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 허승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조남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경주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1.11
  • Accepted : 2012.01.16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Recent studies on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 (LoS) for separated sewer pipe have simply shown high-level of Lo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and financial/social/economical factors, which results in poor connectivity to real maintenance wo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level of service in the manner of function by analyzing the separated sewer pipes with FAST, 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 used in value engineer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suggested in this study include all the functions of separated sewer pipes and show an advantage of focused function maintenance. Moreover, developed indicators help to manage archival history and to perform asset management effectively.

최근까지 분류식 하수관거에 대한 서비스수준 평가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들은 기능에 대한 고려가 없이 단순하게 사용자의 관점 및 재무/사회/환경적 관점에서 상위 개념의 서비스 수준을 도출하여 실제 유지관리 업무와의 연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 중심적인 서비스수준 평가항목의 도출을 위하여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에서 적용되는 기능분석 기법인 기능계통도(Function Analysis Systems Technique)를 활용하여 분류식 하수관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부위별 평가항목은 하수관거의 기능을 모두 포괄하며, 기능을 중점적으로 유지 관리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이력관리에 용이하며, 구간별 개 보수 판단기준으로써 적용이 가능하여 자산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기술연구원(2009) 상하수도관로의 성능 및 사용효율 증대를 위한 자산관리기법 개발(II), 건설기술연구원.
  2. 구성재(2002) 땅밑서 5000억원 새는데 기자수첩, 조선일보, 9 월 16일, 서울.
  3. 김태준(2007) Valu Engineering (가치공학) 영남건설기술교육원.
  4. 선종완, 박경훈, 이민재, 박철우(2011) 교량 자산관리의 서비스수준 결정을 위한 성능척도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2권, 제2호, pp. 101-110.
  5. 손명섭(2011) 해외건설 VE ver. 4, (주)상아매니지먼트컨설팅.
  6. 이규, 채명진, 김정렬, 박재우, 조문영(2009) 사회기반시설물 자산 관리를 위한 LoS의 활용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42-245.
  7. 이종우, 송윤섭, 전귀현(2005) 고속도로 시설물의 자산관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214-2217.
  8. 정성윤, 최원식, 김우제(2010) 계층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도로시설 자산관리정보시스템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6D호, pp. 663-673.
  9. 진경호, 채명진, 이규, 이교선(2009) 사회기반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자산관리체계 도입 전략,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0권, 제6호, pp. 67-77.
  10. 채명진, 이규, 김정렬, 조문영(2009) 국내외 사회기반시설물 자산 관리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발전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0권, 제2호, pp. 55-64.
  11. 한국상하수도협회(2005) 하수도시설기준, 환경부.
  12. 한국상하수도협회(2008)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하수도서비스 평가기준개발연구, 환경부.
  13. Christian, J. and Pandeya, A. (1997) Cost predictions of facilities, J.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ASCE, Vol. 13, No. 1, pp. 52-61. https://doi.org/10.1061/(ASCE)0742-597X(1997)13:1(52)
  14. INGENIUM (2006)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Management Manual, INGENIUM, NAMS Group, New Zealand.
  15. Moselhi, O, Zayed, T., Khan, Z., and Salman, A. (2010) Community- driven and reliability-based budget allocation for water networks,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2010, ASCE, pp. 578-587.
  16. Nishijima, K. and Faber, M. H. (2009) A budget management approach for societal inftastructure projects, Structure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Vol. 5, Issue 1, pp. 41-47. https://doi.org/10.1080/15732470701322792
  17. Parton, C., Conner, D., Kumar, D., and Heart, S. (2011) Risk based linear asset management at fort collins utilities, Pipelines2011: A Second Conduit for Sharing Solutions, ASCE, pp. 236-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