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조 실험

Search Result 81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활어의 후방산란 단면적 측정 (Measurement of Backscattering Cross Sections of Live Fish)

  • 박해훈;장지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16
    • /
    • 1984
  • 어군량의 추정에 필요한 활어체의 후방산란단면적을 실험수조 내에서 40KHz와 170KHz의 음파로써 담수어인 메기.잉어.틸라피아, 해수어인 볼낚.농어.숭어.용치놀래기 등에 대해 측면(side aspect)에서 각각 75~216회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장(total length)이 10.7~24.0cm인 어체들의 후방산란단면적은 5.62$\times$10 상(-5) m 상(2) ~7.23$\times$10 상(-4) m 상(2)였으며, 그 표적강도는 -42.50dB~-31.38dB이었다. 2. 어체의 크기와 표적강도의 일반적인 관계는 어종과 주파수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큰 어체일수록 잘 반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활어에 대한 유효산란길이의 확률분포와 Rayleigh 분포화의 적합도를 유의수준 5%에서 x 상(2) 검정한 결과, 파장에 대한 어체의 길이의 비(acoustic length ratio)가 4.5 및 4.7처럼 적을 때에는 Rayleigh 분포를 이루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SBL 방식과 핑거동기 방식을 조합한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의 개발 (2) -시스템의 정도 평가 - (Development of Biotelemetry Method by Combining the SSBL Method and the Pinger Synchronizing Method (2) - Evaluation for Precision of System -)

  • 박주삼;고탁창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4호
    • /
    • pp.318-325
    • /
    • 2003
  • SPB방식과 시스템을 수조실험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핑거와 비슷한 펄스를 하이드로폰으로부터 발생시켜 수파기의 협빔과 광빔의 양빔 모드의 위상빔어레이 중심간 거리를 보정하여 전후, 좌우의 위상빔에 대한 위치측정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위치오차는 협빔 모드의 전후위상빔에서 6.4cm, 좌우위상빔에서 6.3cm로 위치측정 정도는 고정도 이었으며, 광범 모드에서는 각각 24cm, 23cm로 협빔 모드보다 위치측정 정도는 4 배 정도 낮았다. 2) 핑거를 이미 계산된 위치로 이동시켜 핑거동기방식에 의한 거리정보와 SSBL 방식에 의한 방위정보를 자동, 연속으로 측정하였으며, 핑거동기 방식에 의한 핑거의 측정거리, SSBL. 핑거동기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에 의한 핑거의 측정위치, 핑거의 측정이동속도를 구해 기존의 값과 비교하여 새롭게 개발한 방식과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핑거동기 방식에 의해 구한 핑거의 측정거리 오차는 1.8cm, SSBL. 핑거동기 바이오텔레메터리 방식에 의해 구한 핑거의 측정위치 오차는 7.7cm로 고정도로 측정이 기능하였으며, 핑거의 측정이동속도는 기존의 값에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

제주 연안산 잿방어의 청각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Amberjack Seriola dumerili in the Coast of Jeju Island)

  • 서익조;김성호;김병엽;이창헌;서두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4호
    • /
    • pp.269-275
    • /
    • 2003
  • 제주도 연안 정치망의 여름철 주 어획대상인 잿방어를 실험어로 하여, 음향을 이용한 어군행동 제어, 음향순치 등 바다목장 조성을 위한 어군의 관리, 사육, 어획기술에 이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육상수조에서 수중 가청 저주파음과 전기충격을 이용하여 음향 학습 시킨 후, 주파수와 음압을 변화시켜가면서 잿방어의 섬전도를 도출 하여 심박간격의 변화로부터 청각문턱치, 청각임계비를 측정하였다. 자연환경소음에서 잿방어의 청각문턱치는 측정 주파수 80∼800 HZ의 수중 가청음을 모두 인식하였고, 측정 주파수 200∼500 HZ 에서 청각 감도가 양호하였으며, 측정 주파수 300 Hz에서 평균 음압 94.5 dB, 표준편차 4.5 dB로 가장 낮은 청각문턱치를 보였다. 평균 음압을 65 dB, 70 dB, 75 dB의 3단계로 변화시킨 백색잡음 방성으로 측정한 잿방어의 청각임계비는 측정 주파수 80, 100, 200, 300, 400, 500, 800 HZ에서 각각 평균 음압 45.9, 52.8, 42.5, 36.4, 38.6, 39.4, 44.4 dB이었다. 측정 주파수 300 HZ, 400 HZ 그리고 500 HZ 에서는 백색잡음 중에서 측정음을 식별하는 능력이 다른 측정 주파수에 비하여 우수했다. 잿방어가 주파수 300 HZ의 수중 가청음을 충분히 인식하기 위해서는 최저 100 dB 이상의 음압 강도가 펼요하며 환경 소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소음 스펙트럼 음압 레벨보다 약 35 dB 이상 크게 방성할 펼요가 있다.

가무락 Cyclina sinensis의 인공수정 및 발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IFICIAL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CYCLINA SINENSIS)

  • 최신석;송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1_2호
    • /
    • pp.76-80
    • /
    • 1973
  • 1970년 6월부터 1971년 9월까지 사이에 Cyclina sinensis의 $NH_{4}OH$ 해수용액 규정농도별 수정율, 초기 발생 과정 및 유생의 변태과정을 조사하였다. 1. C. sinensis의 $NH_{4}OH$ 해수용액에 의한 규정농도별 수정율은 1/1000N $NH_{4}OH$ 해수용액 속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고, 이렇게 처형된 수정란의 발생과정도 정상적임을 확인하였다. 2. C. sinensis의 초기 발생과정에서는 수정후 1시간 30분이 지나면 2구기, 4시간이 지나면 포배기, 6시간이 지나면 Trocophore기에 달함을 볼 수 있었다. 3. C.sinensis의 유생을 사육한 결과, 수정후 1일이 지나면 원패각의 평균 각장이 $110\mu$인 후기 D형기에, 7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235\mu$인 각정기에, 20일이 지나면 평균 각장이 $260\mu$인 변태기에 달함을 볼 수 있었다. 4. C. sinensis의 유생을 실험실내 수조 속에서 사육하여 각장 $270\mu$인 치패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처리와 중합시간 증가에 따른 미반응 모노머 용리 평가 (MONOMER RELEASE FROM PIT AND FISSURE SEALANT FOLLOWING BY SURFACE TREATMENT AND CURING TIME)

  • 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2-129
    • /
    • 2007
  • 본 연구는 복합 레진의 중합률에 영향을 미치는 광조사 시간을 달리하여 치면열구전색제를 중합하였을 경우 이로부터 용리되는 미반응 모노머들을 확인하고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치면열구전색제 중합 후 표면에 나타나는 미반응 모노머 층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한 후 용리되는 미반응 모노머들을 정량분석함으로써 미반응 모노머의 제거효과를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광중합 시간에 따라 각각 20초, 40초, 60초간 중합한 후, 중합시간 별로 어떠한 처리도 시행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 증류수로 10초간 세척한 군을 I군(Group I), 75% 알콜에 젖은 면구로 10초간 문지른 군을 II군(Group II),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하여 10초간 처리하고 증류수로 가볍게 세척한 군을 III군(Group III)으로 분류하였다. 표면처리 후 각 시편을 3차 증류수에 넣고 $37^{\circ}C$ 항온 수조에서 10분간 보관한 후 각각의 용리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TEGDMA를 제외한 어떠한 모노머들도 검출되지 않았다. 2. 최소 중합시간, 권장 중합시간, 권장 중합시간 이상의 순으로 중합시간이 증가할수록 TEGDMA의 용리량은 감소하였다. 3. 표면처리를 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하여 TEGDMA의 용리량이 유의할 만하게 감소하였다. 4. 표면처리를 한 군 가운데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한 경우 잔존 모노머의 제거 효과가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았다. 5. 권장 중합시간 이상인 60초 중합 후, 퍼미스와 러버컵을 이용하여 표면처리한 경우 가장 적은 양의 모노머 용리량을 보였다.

  • PDF

양식넙치에서 분리된 스쿠티카 섬모충 Philasterides dicentrarchi의 넙치 치어 인위감염 (Experimental infection of Philasterides dicentrarchi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진창남;강현실;이창훈;이영돈;이제희;송춘복;허문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7-204
    • /
    • 2006
  • 넙치 치어 3 cm와 5 cm 그룹을 이용하여 Philasterides dicentrarchi에 대한 병원성과 감염경로를 조사하였다. 소형수조에서 넙치치어에 스쿠티카충을 인위감염시킨 결과 3 cm 그룹인 경우 접종 4일 후에 40%가 감염되었으며, 24일 후에는 감염률이 90.1%로 대부분의 실험어가 감염되었다. 5 cm 그룹은 3 cm그룹에 비해서 초기 감염률이 현저히 낮았다. 접종 8일 후에 최초로 20%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16일 후에도 42%로 완만한 속도로 감염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감염률이 급격히 증가하여 24일 후에는 81%에 달했다. 반면에 스쿠티카충을 접종시키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스쿠티카충이 감염되지 않았다. 인위감염시킨 스쿠티카충의 어체내 침투는 몇 가지 경로로 이루어졌는데, 지느러미 연조막에 감염된 후 지느러미 조직과 근육에 침투하는 경로, 주둥이 부위의 부드러운 표피를 통하여 감염 된 후 두부 골격과 근육 결을 따라 안구와 뇌로 침투하는 경로, 꼬리지느러미를 통해서 미병부에 침투한 후 척수에 도달하고, 척수를 따라 뇌에 침투하는 경로 등이었다. 이외에도 복강에 침투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항문주위에 다량으로 증식하며 조직을 괴사시킨 후 복강으로 침투하였다.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뇌 침투는 3cm그룹은 충 접종 후 14일 만에, 5cm그룹은 20일 만에 각각 확인되어 어체가 작을수록 빨리 이루어졌다.

사료 효율 개선을 위한 넙치 섭식촉진물질의 검색 (Identification of feeding Stimulants to Improve Efficiency of Diet for flatfish)

  • 최영준;이남주;조영제;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6-200
    • /
    • 2002
  • 우리나라 해산어 양식의 주요 대상 어종인 넙치의 섭식 촉진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몇 가지 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염기성 물질 및 산가수분해물의 섭식촉진 효과를 수조 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Glycine, IMP, GMP 및 betaine은 다소의 섭식 촉진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천연 단백질 자원의 산 가수분해물인 KH가 가장 우수한 섭식촉진 효과를 보였다. KH는 사료 중량에 대하여 $1.05\%$ (w/w)까지 섭식촉진 효과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거의 일정하였다. 산 가수분해물의 pH는 섭식촉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물질의 흔합에 따른 상승효과는 KH와 glycine의 조합이 가장 우수하였다. 대조군 사료는 총 급이량의 $58.2\%$를 섭취한 반면 섭식촉진 사료는 $83.3\%$를 섭취하여 섭식촉진물질의 첨가는 섭식량의 증가 뿐 아니라 사료 효율의 개선에 현저히 기여하였다. 그리고 섭식촉진 물질의 조합에 따른 단가 상승은 기본사료 가격의 $0.05\%$ 이내에 불과하여 경제성이 충분하며 실용화가 가능한 것으로 예상하였다. 한편 본 연구 결과의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장차 넙치 성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미역의 스테롤 조성과 $^14C-1$-식초산염의 스테롤 전환에 관하여 (The Sterol Components of Undaria Pinnatifida and the Incorporation of $^14C-1-acetate$ into Them)

  • 조용규;진만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3-170
    • /
    • 1977
  • 미역의 스테롤 조성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조사하였고, 또한 미역줄기에 $^14C-1-acetate$를 주사하여, 120시간후 각지질구분 및 스테롤의 비방사능을 조사하여 $^14C-1-acetate$의 스테롤에로의 전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미역성분조성은 탄화수조 $1.6\%$, 색소 및 스테롤에스텔 $2.5\%$, 글리세리드 $3.3\%$, 유리지방산 $2.2\%$, 스테롤 $3.8\%$, 클로로필계색소 $18.8\%$ 및 극성지질이 $67.3\%$였다. 미역의 스텔롤조성을 보면 콜레스테롤 $3.5\%$, 24-메칠렌콜레스테롤 $11.2\%$ 및 프코스테롤이 $85.3\%$였다. 미역줄기에 $^14C-1$-아세트산염을 주사한 후, 120시간 경과한 각지질 구분의 비방사능을 보면, 총지질에 4, 648 dpm,/mg, 극성지질에 2,754 dpm/mg, 클로로필 계색소에 373 dpm/mg, 유리 지방산에 6,520 dpm/mg, 스테롤에스텔에 786 dpm/mg, 탄화수소에 358 dpm/mg로서 스테롤 구분에 가장 높았고, 각 스테롤의 비교사능을 보면, 콜레스테롤에 115 dpm/mg, 24-메틸렌 콜레스테롤에 147,821 dpm/mg, 프코스테롤에 20,887 dpm/mg 였다.

  • PDF

능동제어가 가능한 선미 인터셉터가 부착된 활주선형 선박의 시스템 식별과 자세 제어에 관한 연구 (System Identification and Pitch Control of a Planing Hull Ship with a Controllable Stern Intercepter)

  • 최후재;박종용;김동진;김선영;이주호;안진형;김낙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5권5호
    • /
    • pp.401-414
    • /
    • 2018
  • Planing hull type ships are often equipped with interceptor or trim tab to improve the excessive trim angle which leads to poor resistance and sea keeping perform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ontroller to control the attitude of the ship by controllable stern interceptor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ttitude control by the towing tank test. Embedded controller, servo motor and controllable stern interceptor system were equipped with planing hull type model ship. Prior to designing the control algorithm, a model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ystem dynamic model of the planing hull type ship including the stern interceptor. The matrix components of model were optimized by Genetic Algorithm. Using the identified model, PID controller which is a classical controller and sliding mode controller which is a nonlinear robust controller were designed. Gain tuning of the controllers and running simulation was conducted before the towing tank test. Inserting the designed control algorithm into the embedded controller of the model ship,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e control of the stern interceptor was validated by towing tank test. In still water test with small disturbance, the sliding mode controller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canceling the disturbance and the steady-state control performance than the PID controller.

벤튜리 노즐 제원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for microbubble generation according to venturi nozzle specification)

  • 임지영;김현식;박수영;김진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397-6402
    • /
    • 2015
  • 본 연구는 lab-scale로 제작된 가압식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의 버블크기 분포를 분석하여 장치의 최적 운전조건을 검토하고 벤튜리 노즐 제원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실 규모의 가압식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의 운전조건은 공기 주입율 0.3 LPM, 가압탱크압력 3 bar, 벤튜리 노즐을 수조와 직접 연결 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벤튜리 노즐 제원을 달리한 마이크로버블 발생 특성에서는 노즐의 제원에 따른 버블크기 분포에 미치는 영향은 낮지만, 버블 발생의 성능적 측면에서는 노즐의 목 직경이 3-4 mm 일 때, $D_{50}$$54.98-61.19{\mu}m$(D3L15, D4L15), $50{\mu}m$이하의 버블 분율은 각각 0.326, 0.345(D3L15, D4L15)로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노즐 목 길이의 경우 목 길이가 20 mm인 노즐의 $D_{50}$$49.40-54.98{\mu}m$, $50{\mu}m$이하의 버블 분율은 0.447로서, 마이크로버블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