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은제거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속성수를 이용한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오염물질 흡수제거(II) (Absorption of Heavy Metals of Waste Leachate Using by Fast Growing Trees(II))

  • 우수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2
    • /
    • 2003
  •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중금속과 유해성분을 자작나무와 이태리 포플러 묘목이 얼마나 흡수, 제거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침출수 원액, 50% 침출수, 25% 침출수 그리고 대조구 등 4개의 처리로 나누어서 관수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에 뿌리, 줄기, 잎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그 함량을 Inductively Coupled Plasma emission spectrometer(ICP)로 조사하였다. 위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이태리 포플러와 자작나무 모두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의 유해 중금속을 흡수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매립지나 황폐지 같은 지역의 빠른 조림을 위해서 활용이 기대되는 수종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토양의 비소(As), 수은(Hg), 코발트(Co)그리고 니켈(Ni)등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지역에 이들 수종을 식재하게 되면 뿌리를 통해서 이들 원소를 흡착,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올릴 수 있다.

주암호의 용존가스상 수은의 농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Variations on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Gaseous Mercury(DGM) at the Juam Reservoir, Korea)

  • 박종성;오세희;신미연;이승묵;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67-676
    • /
    • 2006
  • 환경 중에서 $Hg^{2+}$의 환원과정을 통하여 용존가스상 수은인 DGM(dissolved gaseous mercury)이 생성이 되고, 이 DGM의 대기로의 휘발이 수체에서의 중요한 이동 제거 기작이다. 아시아에서 배출하는 수은의 양이 전 세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지역에 대한 DGM의 조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암호를 대상으로 실시간으로 DGM 및 총 수은(TM) 농도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여름철 주암호의 상류에서 하류까지 DGM 평균농도의 변화는 $95{\pm}8pg/L$에서 $130{\pm}15pg/L$로 증가했으나, TM의 평균농도는 상류지점 $2.1{\pm}0.7ng/L$, 하류지점 $1.7{\pm}0.3ng/L$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계절적인 DGM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여름철 주암호의 총 DGM의 평균농도는 $109{\pm}15pg/L$로 가을철의 $19{\pm}pg/L3$ 보다 약 5.5배 높았다. 중류지점에서의 강우에 따른 DGM 평균농도의 변화는 비가 오기 전 32 pg/L에서 비가 내리는 동안 13.7 pg/L로 약 58% 감소했으며, TM은 2.2 ng/L에서 2.7 ng/L로 약 19% 증가했다. 가을철 상류지점의 일중 자외선과 DGM 평균농도의 변화는 빛의 강도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DGM의 농도와 수온, DOC의 농도 간의 통계적 분석결과는 유의한 상관관계(${\alpha}$=0.05)를 보였으나, TM의 농도는 반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001). Dill et al.,(2006)의 연구와 비교한 결과, 주암호 총(n=23) DGM의 평균농도는 $109{\pm}15pg/L$로 국외 호수의 $38{\pm}16pg/L$보다 약 3배 높았고, TM의 평균 농도(n=11)는 $2.2{\pm}0.4ng/L$로 국외호수의 $1.0{\pm}1.2ng/L$ 보다 약 2.2배 높게 나타났다.

염화 제2수은이 흰쥐 간장에서의 지질 과산화와 Oxygen Free Radical 제거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rcuric Chloride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Oxygen Free Radical scavenging Enzymes Activities in the Liver of Rats)

  • 신인철;고현철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3호
    • /
    • pp.298-302
    • /
    • 1994
  • Wistar albino rat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mercuric chloride (5 mg/kg) to define the early biochemical determinants that participate in the pathogenesis of mercuric 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especially focusing on oxygen free radicals, we studied malondialdehyde(MDA) level and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in the liver of rats at 24, 48 and 72 hr after the injection of mercuric chloride. MDA levels at 24, 48 and 72 hr after the injection of mercuric chlorid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t 24, 48 and 72hr after the injection of mercuric chloride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pression of the activities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resulting from excessive oxygen free radicals is an important determinant in pathogenesis of mercuric 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 PDF

무선 로봇을 이용한 네트워크 영상 제어 시스템의 설계 (Implementation of Network Image Control System using Wireless Robot)

  • 김택수;박상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18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이 접근하기 힘들거나 위험한 곳을 카메라가 내장된 무선 로봇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영상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영상제어시스템을 실현한다. 잡음 제거 회로에 의해 무선 통신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경감시키고, 수은전지를 사용하여 로봇 동작시간을 증가시킨다.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의 구성에 의해 원격으로 장소에 관계없이 무선 로봇을 제어하고, 영상신호를 감시할 수 있다.

  • PDF

미생물흡착을 이용한 수은과 납의 제거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Removal of Mercury and Lead by Microorganisms)

  • 서정호;서명교;곽영규;강신묵;노종수;이국의;최윤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8-103
    • /
    • 1998
  • A study on the removal of mercury and lead by microorganism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ureobasidium pullulans, was performed, in which the comparison of adsorption model between these two heavy metals was done. The amounts of mercury removed were more than those of lead in both microorganisms. In case of mercury, the adsorption isotherm of S. cerevisiae was accorded with Langmuir model but A. pullulans was followed to Freundlich model. In the case of lead, however, the adsorption isotherm had opposite results. The adsorption rate of mercury to S. cerevisiae was faster than that of A. pullulans, but in the case of lead, it revealed contrary results. It seems, therefore, that the type of microorganisms used as biosorbents should be selected differently with the type of heavy metals removed for applying these to real adsorption process.

  • PDF

저온 플라즈마 반응에 의해 생성된 반응활성종을 이용한 원소상 수은의 제거 (Removal of Gaseous Elemental Mercury Using Reactive Species Produced by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 정주영;정종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79-484
    • /
    • 2006
  • Removal of elemental mercury $(Hg^0)$ with the reactive species produced from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was studie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the applied voltage, residence time, initial concentration and co-existence of other pollutants. The removal of $(Hg^0)$ was significantly promoted by an increase in the applied voltage of the DBD reactor system.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t the same input power, the removal efficiency of $(Hg^0)$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NO gas. These results imply that if the DBD system is used as a NOx treatment facility, it is capable of removing $(Hg^0)$ simultaneously with NOx.

Polytetrafluoroethylene막을 통한 기체의 투과 및 확산 (Permeation and diffusion of gases through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 김형민;김남인;이우태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4-35
    • /
    • 1994
  • 기체혼합물의 분리및 정제기술은 에너지 절약의 관점과 새로운 기능성 고분자의 개발로 고분자막에 의한 분리법이 관심을 끌게되었다. 공기로부터 산소부화, 방사성 크세논 및 크립론의 제거, 제련소 폐가스증의 수소분리, 천연가스로부터 헬륨의 회수분야등은 실제로 산업적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고분자막은 일반적으로 투과성과 선택성이 서로 상반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투과성과 분리성이 좋은 기능성 고분자막의 개발에 다양한 연구가 필요로 하고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PTFE(polytetrafluoroethylene)는 결정성 고분자로서 넓은 온도범위에서 낮은 마찰계수, 우수한 전기적 절연특성, 강한 Carbon-fluorine 겹합에 기인한 높은 열적 안정성, 화확적 불활성때문에 공업용 고분자 재료로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 미국과 일본을 주축으로 상용화딘 공기전지(Zinc-air battery)는 PTFE막의 뛰어난 소수성과 화학적 저항성으로 수은 전지의 대체품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장기 방전시 성능 저하가 따르므로 막을 통한 산소투과성을 방전에 필요한 최소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있다.

  • PDF

폐산화은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침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ching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Silver-Oxide Battery)

  • 박경호;손정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4권1호
    • /
    • pp.46-51
    • /
    • 1995
  • 증류공정으로 수은을 제거한 폐산화은 전지에는 은이 약 30% 이상 함유되어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분리, 회수할 목적으로 폐전지 잔사를 질산으로 침출시켜 전지중에 함유된 금속이온들(은, 아연, 철, 니켈)의 침출율을 조사하였다. 잔사의 침출공정시 반응온도, 반응시간, 질산농도, 고액농도 등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실험결과 반응온도 40~6$0^{\circ}C$, 질산농도 2N, 고액농도 10g/200ml의 조건에서 6시간 반응 시 가장 좋은 침출율을 나타내었다. 이때 은과 아연은 99% 이상의 침출율을 나타낸 반면, 철과 니켈은 전지의 외부 합금용기로 남아있어 50% 이하의 낮은 침출율을 나타내었다.

  • PDF

Cu-Zn 금속합금의 산화 환원반응과 Al-Silicate의 흡착반응을 이용한 폐수 중 중금속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Heavy Metal in Wastewater by Redox Reaction of Cu-Zn Metal Alloy and Adsorption reaction of Al-Silicate)

  • 이수정;김종화;송주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41-448
    • /
    • 2016
  • 본 연구는 구리 아연 금속합금의 산화 환원 반응과 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흡착 반응을 이용한 폐수 중 중금속 처리에 관한 연구이다. 극세사 형태로 제조된 구리 아연 금속합금이 수용액 중에서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아연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은 중금속은 환원 처리되고, 이온화 된 아연 및 미반응 중금속은 흡착 처리하여 제거하는 연구이다. 극세사 형태로 제조된 금속합금 물질은 표면적이 커서 1회 처리만으로도 반응 평형에 도달하게 하여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크롬($Cr^{+3}$)은 redox 반응 1회 처리만으로도 100.0 % 제거 되었으며, 수은은 98.0 %, 주석 92.0 %, 구리는 91.4 % 정도 제거되었다. 카드뮴, 니켈, 납도 각각 40.0 %, 50.0 %, 58.0 %가 제거 되었다. 크롬($Cr^{+3}$)은 아연과 이온화 경향 차이가 거의 없지만 제거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3가 크롬은 이온 상태로 존재하면 redox 반응에서 발생한 $OH^-$ 이온과 결합하여 수산화물 침전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dox 반응 후 증가한 아연 및 미반응 중금속 농도를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1회 통과하여 거의 100.0 % 제거할 수 있었다. 이는 합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의 비표면적이 크고 금속 이온의 흡착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 후 알루미늄 이온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온 교환이 아닌 흡착으로 아연 및 중금속 이온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실러스에 의한 중금속 제거 및 EPS 추출물질 비교에 관한 연구

  • 손한형;김판수;이상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23-427
    • /
    • 2006
  • 1) 바실러스는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포자를 형성하며 포자는 균체가 죽어도 살아 남고, 외부 환경이 좋아지면 다시 발아하여 영양형 균체를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바실러스를 우점화와 포자의 활성화를 위해 열처리(80$^{\circ}C$, 10min)를 한다 울산분뇨처리장 슬러지 Cake를 배양하여 포자화 전 후 상태의 미생물의 EPS 추출결과 RCF법을 적용하였을 때 Carbohydrate물질이 다른 추출법에 비해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Steaming extraction법을 적용하였을 때 Protein이 가장 많이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자화 전 보다 포자화 후의 EPS 양이 더 많이 추출될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 포자화 전보다 포자화 후의 EPS 양이 더 많이 추출되었다. 울산분뇨처리장의 슬러지 Cake를 배양하여 포자화 전 후의 Cu의 제거정도를 비교한 결과 포자화 후의 EPS물질이 포자화 전의 EPS물질보다 Cu를 더 많이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PS 물질이 중금속 제거능력이 탁월하다고 할 수 있겠다. 2) 용인분뇨처리장과 천안하수처리장의 MLSS의 중금속 제거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미생물량을 고려했을 경우와 미생물량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서 실험을 하였는데 울산분뇨처리장의 슬러지 Cake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Bacillus의 EPS물질이 중금속 제거에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Baillus를 사용하는 김천 식품폐수 처리장과 활성슬러지를 사용하는 천안하수처리장과의 EPS 함량을 비교한 결과 김천 식품폐수 처리장의 EPS 물질중 Protein과 Carbohydrate가 천안하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EX>, DIN/DIP비 표층수 $23.91\pm3.42$, 저층수 $23.43\pm3.38$이었으며, 전반적으로 해역별 수질기준 I등급 내지는 II등급을 유지하고 있었고, 공간적으로는 외해측으로 갈수록 외해수와 혼합 확산되어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었다. 장기적인 변동특성은 세그룹으로 구분되어진다.기 실험결과 용출용매로 증류수와 해수를 이용했을 때,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되는 납, 구리, 카드뮴, 수은의 용출 경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서, 납, 구리, 카드뮴의 용출 유해성은 낮기 때문에 해양구조물로의 제강슬래그 유효이용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im80%$로 계산되었다. 열형광선량계로 측정된 방사선량은 각각 1.8, 1.2, 0.8, 1.2, 0.8 (70 cm 거리) cGy로 측정되었으며, 환자의 복부 표면에서의 서베이메터를 이용한 측정량은 10.9 mR/h였다. 차폐구조물의 사용 시 전체 치료 동안에 태아선량은 약 1 cGy 정도로 평가되었다. 결론 : AAPM Report No.50의 자료에 따르면, 임산부의 방사선 치료 시 태아의 방사선 피폭선량은 5 cGy 이하일 경우에 방사선 피폭에 따른 태아의 위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원에서 차폐 구조물을 설치하였을 경우에 측정된 태아선량은 약 1 cGy로 측정되었고, 고안된 차폐구조물은 태아에 도달하는 방사선량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설계임이 입증되었다. 아니라 일반종합병원에서도 CTX-M형 ESBL 생성 E. coli와 K. pneumoniae가 존재하며 확산 중임을 시사한다. 앞으로 CTX-M형 ESBL의 만연과 변종 CTX-M형 ESBL의 출연을 감시하기 위한 정기적인 연구와 조사가 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