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염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4초

북방수염하늘소의 Ipsenol, Ipsdienol에 대한 유인효과 (Attractive Efficacy of Ipsenol and Ipsdienol against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Coleoptera: Cerambycidae))

  • 안희근;김민기;양정오;노두진;강신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1-396
    • /
    • 2008
  • 국내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잣나무(Pinus koraiensis)에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을 옮기는 새로운 매개충으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에 의한 발병이 보고되면서 소나무재선충의 빠른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잣나무의 주요 성분이며 Monochamus속에 유인성분으로 보고된 $\alpha$-pinene과 에탄올, 나무종류의 유인성분으로 알려진 Ips 속 페로몬(ipsenol, ipsdienol)에 대하여 혼합 유인효과를 검토한 결과, ipsenol + ipsdienol에서 67.9%, 그리고 ipsenol과 ipsdienol을 $\alpha$-pinene + 에탄올과 혼합 처리 시 각각 67.7%, 79.3%의 유인력을 보였다. 특히 ipsenol에 비해 ipsdienol의 $\alpha$-pinene + 에탄올에 대한 혼합효과가 높았으며, 북방수염하늘소의 수컷에 비해 암컷이 높은 유인력을 나타냈다.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Lam.)의 지피식물용 재배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요인 (Several Factors Affecting Cultivation of Ground-cover Plants on Lysimachia mauritiana Lam.)

  • 정은아;전기범;최혜민;문상아;연수호;이승연;권순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59
    • /
    • 2018
  • 갯까치수염은 앵초목 앵초과의 두해살이풀로 지상부가 고사하지 않고, 월동 후 봄까지 뚜렷한 윤기가 흐르는 잎을 가지며, 7~8월에 흰색 꽃이 피는 관상성이 뛰어난 우리나라의 자원식물이다. 이에 신 관상소재로서의 품목개발을 위해 관상 및 조경산업용 가치가 큰 갯까치수염의 지피용 작물로서의 재배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 7월 31일부터 10월 9일까지 약10주간 실험하였다. 이식묘의 소질별 생육효과, 기비의 시비와 혼합상토의 조성 및 포트의 크기 등의 이식조건, 차광처리 및 추비시비 등 재배관리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종자로 육묘한 이식묘의 소질로서는 200구 트레이에서 한 cell 당 2립씩 파종된 유묘가 지피용 갯까치수염의 재배에 적합하였다. 이식조건으로 코트비료의 기비는 하지 않고, 마사토:피트모스(3:1) 혼합 용토에 $300-200-200mg{\cdot}L^{-1}$(N-P-K)의 비료분을 첨가한 토양을 충진한 4인치 포트에 이식하는 것이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재배관리에는 차광처리를 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이 50 및 70% 차광처리보다 초장,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500mg{\cdot}L^{-1}$ hyponex 추비처리를 한 것의 엽수가 36매로 다른 처리의 15~26매 보다 많았지만, 엽면적 및 생체중을 고려할 때 지피식물로서 10주간의 재배를 위해서는 추비하지 않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의 측정과 소나무 내 분포 (Measurement and Within-tree Distribution of Larval Entrance and Adult Emergence Holes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Coleoptera: Cerambycidae))

  • 정영진;이상명;김동수;최광식;이상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321
    • /
    • 2003
  •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임지 내에서 고사목을 대상으로 솔수염하늘소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 및 번데기방의 크기와 갱도길이 등을 측정하고, 소나무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소나무 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침입공수는 1$m^2$당 수관부가 56.2 개인데 비해 수간부는 27.7개로서 수관부가 훨씬 많았다. 직경이 8-l0 cm인 공시목에 침입공의 27.5%와 우화공의 22.4%가 분포하였고 이보다 굵거나 가는 공시목에는 적었다. 침입공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입구의 표면적은 평균 65.8$\textrm{mm}^2$ 이었다. 성충탈출공은 원형으로서 직경은 평균 7.0mm 이었다. 공시목의 표면에서 번데기방까지의 깊이는 평균 24.8 mm이었고 번데기 방의 부피는 200-2,000 ㎣이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수관부가 수간부보다 많았으며, 공시목의 직경이 8-10cm에서 22.4%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유충 침입공과 성충 탈출공까지의 목질부 표면에서 직선거리는 평균 3.3 cm이었으며, 침입공에서 탈출공까지의 갱도 길이는 평균 46.2 nm이었다.

잎담배 훈연을 이용한 온실 내 진딧물 방제기술 (Effect of Tobacco Smoke on Controlling Aphids in Greenhouse)

  • 박종호;홍성준;한은정;심창기;김민정;이민호;김용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09-413
    • /
    • 2014
  • 담배훈연을 이용한 진딧물의 살충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건조 담뱃잎을 이용하여 실험실과 온실에서 훈연시험을 실시하였다. 아크릴케이지에서 담배를 훈연하였을 때 담배품종은 버어리종이 황색종보다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한 살충력이 높게 나타났다. 세 종의 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을 각각 기주를 이용하여 아크릴케이지에서 50 mg의 담뱃잎으로 훈연시험을 실시한 결과 살충율은 싸리수염진딧물(97.2%)>목화진딧물(94.4%)>복숭아혹진딧물(63.9%) 순으로 나타났다. 복숭아혹진딧물은 기주를 가지로 했을 때 훈연에 의한 살충율이 배추를 기주로 했을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100m^2$ 규모의 온실에 황색종의 담뱃잎을 2시간 훈연 시 200 g을 이용하였을 때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해 95.4%의 방제가를 보여주었으나 100 g을 이용하였을 때는 28.9%의 방제가를 보여주었다. 100 g의 담뱃잎은 14시간 훈연하였을 때는 2시간 훈연보다 살충효과가 2배 이상 높아졌다. 오이재배 농가 온실에서 담배훈연을 하였을 때 처리 후 목화진딧물의 방제효과는 80% 이상이었다. 온실 환경에 따라 적절한 양과 시간을 선택해 사용한다면 담배훈연은 온실 내 발생하는 진딧물에 대한 효과적인 방제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집합페로몬 2-(Undecyloxy)ethanol을 이용한 솔수염하늘소 유인 실험 (Field Bioassay for Longhorn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in Korea Based on Aggregation Pheromone 2-(Undecyloxy)ethanol)

  • 이성민;홍도경;박종성;이진호;장세헌;이창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445-1449
    • /
    • 2015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소나무재선충병을 유발하여 한국의 소나무 숲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는 일반적으로 훈증 또는 파쇄처리되지만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역의 방제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효과 검증에 적합한 솔수염하늘소 집합페로몬의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2-(Undecyloxy)ethanol, 알파-피넨, 에탄올을 이용하여 경상북도 포항시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역에서 필드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총 27마리의 솔수염하늘소가 유인되었으며 고농도(700 mg)의 집합페로몬을 사용한 트랩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집합페로몬 2-(Undecyloxy)ethanol은 솔수염 하늘소 개체수 조사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효과 검증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성충의 형태 측정과 암수 구분 (Adult Morphological Measurements: An Indicator to Identify Sexes of Japanese Pine)

  • 이상명;정영진;김동수;최광식;김영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5-89
    • /
    • 2004
  •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생체중과 체장, 체폭, 두폭, 더듬이의 길이 및 색깔 등을 조사하였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고사된 소나무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 우화망실 안에 두고 우화하는 솔수염하늘소 성충을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분산분석결과 생체중, 체장, 체폭의 측정치는 암컷이 수컷보다 높았고, 두폭은 암수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촉각의 길이는 수컷이 더 길었다. 암컷(n=563)과 수컷(n=601)의 평균 생체중은 각각 0.305g과 0.277g, 체장은 20.97mm와 19.93mm 체폭은 6.52mm 와 6.18mm, 두폭은 3.78 mm와 3.70mm, 촉각의 길이는 31.19mm와 45.49mm이었다. 촉각의 길이나 체장과 촉각 길이의 비율은 암수간에 중복되는 범위가 많아서 이것을 기준으로 암수를 구분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성충(n=4,033) 촉각의 털 색깔을 조사한 결과, 예외 없이 암컷 촉각의 모든 편절 마디의 기부쪽 절반 정도가 회백색의 미모로 덮여 있으나, 수컷 촉각의 편절 마디는 전체적으로 흑갈색의 미모로 덮여 있었기 때문에, 이 특징으로 암수를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표고 톱밥재배에서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의 방제약제 선발 (Selection of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Lycoriella mali in Letinula edodes sawdust cultivation)

  • 김길하;유정수;구창덕;이상길;박지두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2-6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시 문제해충인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에 대하여 시판중인 13종 살충제의 약효, 잔효성, 균사생장억제율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긴수염버섯파리 성충에 대해서 chlorpyrifos-methyl, fenthion, fenitrothion, benfuracarb, furathiocarb, deltamethrin이, 유충에 대해서 diflubenzuron과 cyromazine이 90%이상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표고균사의 생장에 영향이 적었던 약제로는 임협1호에 대해서 benfuracarb, fenthion, furathiocarb, deltamethrin, cyromazine, diflubenzuron이, 산림5호에 대해서는 deltamethrin, cyromazine, diflubenzuron이었다. 특히 산림 5호는 임협 1호에 비하여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다. 잔효성 시험결과 성충에 대해서 benfuracarb, 유충에 대해서는 cyromazine과 diflubenzuron이 14일째까지 80%이상의 잔효성을 나타내었다. befuracarb, fenthion, furathiocarb, deltamethrin, cyromazine, diflubenzuron은 유충에 대해서, benfuracarb, fenthion, furathiocarb는 성충에 대해서 80%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버섯내 농약잔류가 문제되지 않는다면 benfuracarb, fenthion, furathiocarb는 긴수염버섯파리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두수염잎벌(Monocellicampa pruni)의 생물학적 특성 (Som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um Sawfly Monocellicampa pruni (Hymenoptera: Tenthredinidae))

  • 능엔남하이;기웅;임민혁;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79-487
    • /
    • 2021
  • 본 연구는 포장 및 실험실 조사를 통해 자두수염잎벌(Monocellicampa pruni Wei, 1998)의 생활사를 확인하였다. 자두수염잎벌은 5령의 유충 단계를 가지는 일화성 곤충이다. 성충은 자두가 만개하는 3월 중순경에 흙에서 나와 꽃받침의 표피층 밑에 1개(드물게 2개)의 알을 낳는다. 부화 후, 유충은 곧 어린 과실 속으로 파고들어 성충이 되기 전 4번의 탈피 과정 동안 과실 안에서 과육을 섭식한다. 유충이 성숙하면(5월) 과실에서 나와 2 - 11 cm깊이의 땅속으로 파고 들어가 번데기방을 만들고 이듬해 봄까지 전용 형태로 월동한다. 실험실 조건(T = 20℃, RH = 40 - 60%)에서 수컷 성충의 생존기간은 암컷성충보다 약간 짧았고(수컷 6.03 ± 0.40일 및 암컷 7.55 ± 0.45일), 암컷은 평생 30.29 ± 4.50개의 알았다. 포장에서 알기간은 약 10 - 11일이었고, 유충기간은 약 31 - 34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