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신응답 제어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Development of Embedded Controller for Autonomous Tractor Steering System (자율주행 트랙터의 조향 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제어기 개발)

  • Lee, Hyeon Seung;Kim, Ki Duck;Lee, Young Ju;Hwang, Dong Yeol;Shin, Beom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52-15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례제어밸브를 이용한 자율주행 트랙터 조향 시스템 제어를 위하여 저가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사용한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차륜의 조향각 측정을 위하여 전륜 킹핀에 포텐시오미터를 설치하였으며, 비례제어밸브는 -10 ~ +10V의 전압으로 밸브 스풀의 위치제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조향각 측정과 비례제어밸브의 위치제어를 위하여 각각에 AT90CAN128 AVR보드를 사용하였으며, CAN통신으로 조향각 데이터가 비례제어밸브 제어용 데이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였다. 비례제어밸브 제어 보드에는 DAC기능을 추가하였으며 0 ~ 5V의 출력을 -10 ~ +10V의 전압으로 변환해 주는 인터페이스회로를 추가하였다. 일반적으로 GPS 등의 데이터 수신율이 20 Hz인 점을 감안하여 비례제어 밸브는 50 ms의 주기로 P-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향후 트랙터의 방향각을 설정하는 또 하나의 시스템으로부터 목표 조향각을 부여받는 것을 가상하여 별도의 MCU를 통해 목표 조향각을 송신한 후, 조향 유압실린더에 의한 전륜의 조향각 시간 응답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트랙터의 전륜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린 무 부하 상태에서 진행하였으며, 목표 조향각은 $7.5^{\circ}$, $15.0^{\circ}$, $22.5^{\circ}$ 등 3단계로 변경하며 시간응답 특성을 측정하였다. 최대 오버슈트 11%, 최소 오버슈트 8.6%, 정상상태 오차 약 $0.825^{\circ}$, 시정수(Time Constant)는 3단계의 목표 조향각 설정에서 각각 0.706초, 0.488초, 0.38초로 나타났다.

  • PDF

Chaotic Speech Secure Communication Using Feedback Masking Techniques (피드백 마스킹 기법을 사용한 카오스 음성비화통신)

  • 이익수;여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53-356
    • /
    • 2002
  • 본 논문은 카오스 신호를 이용하여 안전한 음성신호의 전송을 위한 아날로그 비화통신 시스템의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카오스 동기화 및 카오스 변조통신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실제 통신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조건들을 적용하여 음성신호의 복원능력을 모의실험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PC 제어기법과 제안한 피드백 마스킹 기법을 사용하여 송신단에서 음성신호를 카오스 신호로 마스킹하여 변조하고, 통신채널에 잡음신호를 추가하여 전송하였다. 수신단에서는 카오스 응답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복조하고, 복원성능을 계산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복원 에러신호의 평균전력을 제안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마스킹 정도, 파라미터들의 민감성, 채널잡음 등에 대하여 PC 제어기법보다 피드백 제어기법의 복원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로렌쯔 카오스 시스템을 비화통신시스템에 사용할 경우 파라미터들의 조합으로 암호키를 구성해야 하므로 키값들의 선정에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 변화율에 대응하는 복원에러율의 관계를 실험 값으로 구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an RF-state for WLL multichannel personal stations (WLL 다중채널 단말기용 RF단 설계 및 제작)

  • 장홍주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6 no.2
    • /
    • pp.31-37
    • /
    • 2001
  •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n RF module for WLL multi-channel personal stations. Then, we experimentally evaluated in receiving sensitivity,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selectivity and spurious response limit.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on the RF module for WLL multi-channel personal stations, we observed and confirmed as follows: First, the variation in output power level was kept to be less than 30 dBm in the range of the input power level from -90 dBm to -30dBm. This measurement result confirmed the dynamic range of 60 dB. Secondly, at the output stage of the RF module, the gain flatness in the pass band was measured to be less than 2dB, which confirmed a precise control of the bandspread signals. Thirdly, at the RF module, the bandwidth and power level in transmission were measured to be 10 MHz, respectively we note that these features satisfy the design specifications.

  • PDF

Rate Monotonic Algorithm Based Analytic Evaluation Model of CAN (비율단조 알고리즘 기반 CAN 분석 평가 모델)

  • Lee, Ji-Ye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8-441
    • /
    • 2013
  • 자동차 관련 기술은 점차 전기, 전자 장치로 빠르게 바뀌어 가고 있다. 차량 내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어 장치들도 그에 따라 증가하게 되었고 장치간의 통신 성능도 중요하게 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네트워크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통신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기적 메시지 통신의 메시지 전송 지연 및 중단이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메시지들의 스케줄 가능성 및 응답시간에 따른 실 시간성 검증 모델을 제안한다. CAN 메시지 수신 시 RMA(Rate Monotonic Algorithm)기반으로 메시지 스케줄 가능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AN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 RTA(Response Time Analysis)를 고려한 실 시간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 1 에서는 기존 RMA 기법으로 통신을 수행한 결과 통신 중 중단되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후 제안 모델에서는 23%정도의 추가 시간을 확보하여 통신을 완료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험 2 에서는 메시지 통신의 응답시간이 모두 제안된 Worst-case 응답시간 이내로 측정되어 실 시간성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DP-PLL Controller Design using SOPC for NG-SDH Networks (SOPC를 활용한 NG-SDH 망용 DP-PLL 제어기 설계에 관한 연구)

  • Seon, Gwon-Seok;Park, Min-Sa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5 no.4
    • /
    • pp.169-175
    • /
    • 2014
  • NG-SDH system is connected with networks throughout optical fibers. Network synchronization controller is a necessary for the data synchronization in each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 this paper, we have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network synchronization controller using SOPC(system on a programmable chip) design technic. For this network synchronization controller we use FPGA in Altera. FPGA includes 32bit CPU, DPRAM(dual port ram), digital input/output port, transmitter and receiver framer, phase difference detector. We also confirm that designed network synchronization controller satisfies the ITU-T G.813 timing requirements.

Uplink Congestion Control over Asymmetric Networks using Dynamic Segment Size Control (비대칭 망에서 동적 세그먼트 크기 조정을 통한 상향링크 혼잡제어)

  • Je, Jung-Kwang;Lee, Ji-Hyun;Lim, Kyung-Shik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4 no.6
    • /
    • pp.466-474
    • /
    • 2007
  • Asymmetric networks that the downlink bandwidth is larger than the uplink bandwidth may cause the degradation of the TCP performance due to the uplink conges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the Dynamic Segment Size Control mechanism which offers a suitable segment size for current networks. The proposed mechanism does not require any changes in customer premises but suppress the number of ACKs using segment reassembly technique to avoid the uplink congestion. The gateway which adapted the Dynamic Segment Size Control mechanism, detects the uplink congestion condition and dynamically measures the bandwidth asymmetric ratio and the packet loss ratio. The gateway reassembles some of segments received from the server into a large segment and transmits it to the client. This reduces the number of corresponding ACKs. In this mechanism, the SACK option is used when occurs the bit error during the transmission. Based on the simulation in the GEO satellite network environment, w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Dynamic Segment Size Control mechanism.

Dynamic TCP flow control scheme into 2-way segment by snoop gateway (2-way 세그먼트 방식에서 Snoop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동적 TCP 흐름 제어 기법)

  • Lee, Won-Jung;Ahn, Joon-Chul;Lim, Ky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568-570
    • /
    • 2005
  • 광대역 망에서 범용 TCP를 사용하는 경우 최대 전송 윈도우의 크기가 제한되어 가용한 망 자원이 낭비된다. 이를 해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윈도우 스케일 옵션을 사용하는 것인데 이 경우 송신측의 응용를 수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송신측을 수정하지 않고 전송 윈도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는 송수신측 사이에 있는 Snoop 게이트웨이가 망의 상태와 수신측의 처리 능력을 동적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윈도우 확대 계수를 결정하고, 이 계수에 상응하는 수의 응답 패킷을 송신측에 전송하여 전송 윈도우 크기가 확대된 효과를 얻는다. 특히, 이 방법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망이 snoop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2-way 세그먼트 방식으로 연동된 환경에서 부가적인 비용없이 단대단 시맨틱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n Efficient AODV Route Maintenance based on Unstability-Presumption (AODV에서 경로 불안정 예측에 기반한 효율적 경로 관리)

  • Seo, Suk;Ahn, Young-A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05-1508
    • /
    • 2004
  • 반응적 Ad hoc 라우팅인 AODV의 경로관리는 노드 이동, 노드 혼잡 등의 원인으로 지정시간 내에 응답을 하지 못할 경우 경로 단절을 감지한 뒤 경로복구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관리 방법은 능동적이지 못하여 단절 후 경로 재 설정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신속한 경로 복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AODV에 대한 추가적인 제어 패킷을 발생시키지 않고 경로를 구성하고 있는 이웃노드 Hello 패킷의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경로 불안정을 예측, Expanding Ring Search 알고리즘을 활용한 효율적인 경로관리 기법을 제시한다.

  • PDF

A Selective ACK Protocol for Energy-Harvesting Wireless Sensor Networks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선택적 ACK 프로토콜)

  • Yoo, Jae-Young;Shin, Min-Chul;Joe, In-w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351-352
    • /
    • 2013
  •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을 한다. 센서는 컨트롤러에게 고정적인 주기로 데이터와 Reclaim 메시지를 전송하고 컨트롤러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가 컨트롤러에게 데이터와 Reclaim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있어 고정적인 주기를 센서 주변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주기 및 Reclaim 메시지를 동적으로 제어하여 ACK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선택적 ACK 프로토콜은 기존의 ACK 프로토콜을 저 전력화하는 방법으로써 센서의 한정된 배터리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Life Time을 연장하였다.

An Efficient Mobile Transaction Processing Scheme over Multiple Wireless Broadcast Channels (다중 무선 방송채널에서의 효과적인 모바일 트랜잭션 처리 기법)

  • Jeong, Ho-Ryun;Jung, Sung-Won;Park, Sung-Wook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5 no.3
    • /
    • pp.257-271
    • /
    • 2008
  • Wireless broadcast environments has character that a number of mobile client can receive data streaming from central server no matter how they are so many. Because it is asymmetric bandwidth in that uplink and downlink bandwidth are different. This advantage helps wireless broadcast environments is used in many applications. These applications work almost read operation and need control concurrency using transaction unit. Previous concurrency control scheme in single channel is not adapted in multi channel environments because consistency of data are broken when a mobile client tunes in a broadcast cycle in a channel and then move into another channel and listen to different broadcast cycle with already accessed broadcast cycle. In this paper, we propose concurrency control for read-only mobile transactions in multiple wireless broadcast channel. First of all, we adapt index and data dedicated channel and propose LBCPC(Longest Broadcast Cycle Per Channel) as new unit of consistency. In index dedicated channel, it is repeatedly broadcasted data in same BCPC(Broadcast Cycle Per Channel) until LBCPC. And mobile transaction executes validation using control information every LBCPC. As a result, consistency of data is kept and average response time is shorter than one in single channel because waiting time for restart reduces. And as control information is broadcasted more frequently than in single channel, it is guaranteed currency about data accessed by transac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we verify performance of our scheme in multi channel as comparing average response time with single cha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