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신응답 제어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9초

LoRa CSS 확산 인자의 준직교 특성을 고려한 수신응답의 다중 게이트웨이 조화 전송 기법 (Harmonic ACK Transmissions from Multiple Gateway considering the Quasi-Orthogonal Characteristic of LoRa CSS Spreading Factors)

  • 변승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97-90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LoRa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게이트웨이의 수신 응답 조화 전송 기법 HAT-LoRa를 제안한다. LoRa 네트워크는 알로하류의 매체 접근 제어를 사용하여 충돌에 매우 취약한데, 데이터 패킷은 여러 게이트웨이가 수신하여 전달률을 일정 부분 보장할 수 있지만 수신응답 패킷은 단일 게이트웨이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HAT-LoRa는 LoRaWAN의 여러 확산 인자로 동시에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다중 게이트웨이가 다른 논리채널을 이용해 수신응답을 동시에 전송하여 증가된 수신 기회를 제공한다. 제안 기법은 단일 게이트웨이와 이중 게이트웨이 환경에서 수신 응답의 기대 전송 시간이 각각 최대 55%와 60%, 평균 35%와 40% 줄어드는 결과를 보인다. 특히, 단말과 여러 게이트웨이와의 거리가 비슷한 환경에서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신호 생성장치에 관한 연구

  • 옥경석;박규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0
    • /
    • 2023
  • 선박 원격제어신호를 실제 선박에 적용하려면 대상 선박마다 연결가능한 형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신호 수신부와 액추에이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로 나누어, 원격제어신호 수신시 신호를 변환하는 컨버터와 그 신호가 표현될 수 있는 모델 디스플레이부를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실선 환경에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방식을 연구하였다. 또한, 선박 원격제어시 명령이 송신되는 시점과 응답이 수신되는 시점이 가시적으로 표시 되도록 하여, 원격 제어자가 직관적으로 제어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2.45GHz 마이크로파 무선데이터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2.45GHz Microwave Identification System)

  • 윤동기;박양하;김관호;이영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7B호
    • /
    • pp.1342-135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2.45GHz 비접촉식 마이크로파 무선인식시스템을 개발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응답기와 질문기 사이에 9,600bps 전송속도로 데이터 인식을 통하여 통신절차와 에러검출 보정방식 및 송.수신회로 범용소자를 이용하여 설계.제작하였고, 송.수신안테나와 응답기 전원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실험결과, 응답기는 3.6V의 전원 공급시 15$\mu\textrm{A}$의 저전류 소모를 보였으며 최대, 80km/h의 이동속도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성공률은 초대 인식거리 10m에서 90%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 PDF

전송률과 공평성 향상을 위한 타이머 기반 TCP혼잡 제어 (A Timer-based TCP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for Enhancing Throughput and Fairness)

  • 이종민;차호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1)
    • /
    • pp.154-156
    • /
    • 2005
  • 본 논문은 TCP의 무선 환경에서의 전송 성능 감소와 패킷 왕복 시간에 따른 대역폭 선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타이머 기반의 혼잡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TCP는 패킷 손실 확률이 많은 무선 환경에서 네트워크 혼잡에 의한 패킷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느린 전송률 증가로 인해 전송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 또한, TCP 송신자는 전송률을 결정하는 전송 윈도우를 수신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받을 때만 조정시키므로, 패킷의 왕복 시간의 차이에 따른 전송률 편중 현상과 다수개의 응답 메시지에 의한 과도한 트래픽 발생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타이머 기반의 TCP 혼잡 제어 방식은 패킷의 전송 시간 간격을 타이머로 조정함으로써 무선 환경에서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고 패킷의 왕복 시간 차이에 따른 전송률 편중 현상을 완화시키며 다수개의 응답 메시지에 의한 과도한 트래픽의 발생을 제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실제 환경에서 구현되었으며,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고속 네트워크에서 동적인 타이머 조절 기법을 통한 향상된 TCP-DAD (Dynamic timer Mechanism for Advanced TCP-DAD at High-speed Network)

  • 강동민;박민우;박선호;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48-1351
    • /
    • 2009
  • 패킷 재배치(packet reodering)는 전송한 패킷의 순서가 처음과 다르게 뒤섞여 수신지에 도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패킷 재배치는 불필요한 재전송이나 불필요한 혼잡 제어를 수행하여 TCP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패킷 재배치에 의한 TCP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법이 소개되었다. TCP-DAD는 기존 TCP에서 3으로 고정된 중복 응답 임계값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잘못된 혼잡 제어를 예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한 패킷의 수가 많을 때, 패킷 재배치를 경험할 확률이 높으며, 패킷 재배치에 의해 잘못된 혼잡 제어가 일어날 가능성 많다.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혼잡 윈도우 크기 변화의 폭이 매우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복 응답 임계값을 조절하는 TCP-DAD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패킷 재배치 현상으로 인한 TCP 성능저하를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TCP-DT를 소개한다. 이는 중복 응답 수에 의존하지 않고 타이머를 통해 혼잡 제어를 수행하는 메커니즘 이다. 본 논문은 NS-2를 사용하여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TCP-DT의 성능 향상을 증명하였다.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타 그룰 정보를 이용한 동시성 제어 방법 (A Concurrency Control Method using Data Group Information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 김대인;황부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3호
    • /
    • pp.315-325
    • /
    • 2005
  •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이동 호스트는 제한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이동 트랜잭션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캐쉬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동 호스트에 캐슁된 데이타가 서버에서 갱신되는 경우 서버는 이동 호스트의 캐쉬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무효화 메시지를 방송한다. 그러나 주기적인 무효화 메시지 방송을 사용한 이동 호스트의 캐쉬 일관성 유지 방법은 이동 트랜잭션의 완료 결정을 무효화 메시지 수신 시점으로 지연함으로써 이동 트랜잭션의 응답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캐슁된 데이타를 사용하여 이동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동 트랜잭션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UGR-MT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UGR-MT 방법은 데이타 그룹 정보를 사용하여 무효화 메시지 수신 이전에 이동 트랜잭션의 완료 결정을 내림으로써 이동 트랜잭션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은 이동 호스트의 단절 시간이 무효화 메시지 방송 구간보다 긴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이동 호스트의 전체 캐쉬 내용의 버림을 방지함으로써 캐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S/SS 통신에서 BISP 알고리즘을 이용한 탭 가중치 갱신 (Tap-Weight Update Multilayer Neural Network using BISP Algorithm in DS/SS Communication)

  • 석경휴;김문환;임영진;김광준;배철수;나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12-716
    • /
    • 2003
  • 본 논문은 신경망을 이용한 간섭 신호 제어로써 복합 다중 퍼셉트론에서 DS/SS 이동 통신에서의 수신된 신호들을 역전파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에 대하여 연구한다. 수신 신호가 일정한 비트율을 갖는 채널에 전송하기 위하여 신경망을 이용한 새로운 탭 가중치 갱신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적응 횡단선 필터는 심볼간의 채널에 발생하는 상호 심볼간 간섭을 억압하기 위해 LMS 알고리즘 사용한다. 이 알고리즘은 원하는 응답과 실제 출력간의 차인 에러를 이용하여 탭 가중치 조절 메카니즘을 통해 탭 가중치를 갱신함으로서 효과적으로 간섭을 제거하였다. 본 논문은 상호 심볼간 간섭을 효율적으로 억압해온 기존의 LMS 알고리즘에 다계층 퍼셉트론 신경망을 조합한 새로운 BISP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 탭 가중치 갱신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의 평균 자승 에러의 수렴 특성이 기존 LMS 알고리즘을 이용한 수렴특성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 PDF

분산형 방화 시스템을 위한 다중 (Development of Multiple Access Controller for the Distributed Fire Alarm System)

  • 한경호;이기식;황석영;김종철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11권2호
    • /
    • pp.74-7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8비트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한 제어기를 여러 개를 다중 접속하여 구성한 분산형 방재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방재 시스템은 워크스테이션 또는 PC등의 호스트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며 호스트 시스템에 다수의 소형 제어기가 공통 통신 선에 의하여 연결된다. 각 제어기는 서로 다른 주소를 가지며 호스트 컴퓨터는 명령어 패킷에 특정 제어기의 주소를 첫 바이트로 실어 공통 통신 선으로 전송한다. 명령어 패킷의 주소에 해당하는 제어기는 명령어 패킷을 수신하여 입력상태를 호스트로 전송하고나 명령어에 따라 필요한 구동 출력을 발생하고 호스트로 자신의 주소를 포함한 응답 패킷을 전송한다. 서로 다른 주소를 이용하여 열 개의 제어기를 공통 통신 선으로 다중 접속함으로 분산형 방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현재 방재 시스템의 동향은 분산형 방식으로 옮겨가는 추세이며 선로의 절약, 설치, 중설의 간편함과 함께 빌딩 자동화 시스템과 쉽게 연동하여 운영될 수 있다.

  • PDF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수신노드의 QoS를 보장하는 재전송 기법 (Retransmission Scheme to Guarantee QoS for Multimedia Receivers in Multicast Environments)

  • 김기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835-843
    • /
    • 2006
  • 멀티캐스트는 한 번의 패킷 전송으로 여러 수신노드에게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일대다 환경에 적합하다. 하지만 신뢰성과 흐름제어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아 시간제약을 갖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전송에 적합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모델과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노드들의 재생품질을 보장하는 멀티캐스트 재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재전송 기법은 지역적 에러회복을 통해 송신노드에서 발생하는 응답폭주를 제거하였고 수신노드의 버퍼상태를 고려하여 시간제약을 충족할 경우 지역적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식과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기존 네트워크 모델보다 낮은 네트워크 자원을 소모하며 수신노드의 QoS를 보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선형 BISP 알고리즘을 이용한 간섭 신호 제어 (Interference Signal Control using Linear BISP Algorithm)

  • 나하선;김문환;석경휴;송선희;박동석;정유선;배철수;나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30-634
    • /
    • 2005
  • 본 논문은 신경망을 이용한 간섭 신호 제어 복합 다층 퍼셉트론에서 DS/SS 이동 통신에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것에 대하여 연구한다. 수신 신호가 일정한 비트율을 갖는 채널에 전송하기 위하여 신경망을 이용한 새로운 탭 가중치 갱신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적응 횡단선 필터는 상호 심볼간 간섭을 억압하기 위해 LMS 알고리즘 사용하고, 응답과 실제 출력간의 차인 에러를 이용하여 탭 가중치 조절 메카니즘을 통해 탭 가중치를 갱신함으로서 효과적으로 간섭을 제거한다. 본 논문은 상호 심볼간 간섭을 효율적으로 억압해온 다계층 퍼셉트론 조합을 이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 탭 가중치 갱신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균자승 에러의 수렴 특성이 우월하다는 것을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