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실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4초

수술실 간호사 안전역량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afety Competency Tool for Perioperative Nurses)

  • 송미옥;장금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45-356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역량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도구의 개발 과정은 문헌고찰을 통한 예비 문항 개발, 예비 문항의 개념적 기틀에 맞는 구성 타당도 검증으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문항은 전문가 타당도를 거쳐 30개의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377명의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3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도구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평행선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지식, 기술, 태도 3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27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도구의 내적 구조를 도식화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는 TLI=.90, CFI=.91, RMSEA=.07 SRMR=.07 로 매우 적합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27문항 3개 요인(지식 6문항, 기술 13문항, 태도 8문항)으로 이루어진 최종 도구를 확정하였다. 최종 도구의 Cronabach' ${\alpha}$ 는 .94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역량 도구는 환자 안전에 대한 수술실 간호사의 역량을 사정하고 환자 안전 연구나 경력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자신감으로 진정한 아름다움을 찾아야 - 성형수술과 정신건강

  • 이한선
    • 가정의 벗
    • /
    • 제37권4호통권428호
    • /
    • pp.12-13
    • /
    • 2004
  • 성형수술을 한번쯤 생각해보지 않은 여성이 없을 정도로 성형수술이 범람하고 있다. 강남의 어떤 거리는 한집 건너 성형외과, 피부과가 있다고 한다. 이들은 모두 의학을 미용에 응용한 것으로 병원이라기보다는 의사 미용실이라고 보는 것이 본질상 맞는 이름일 것이다. 성형보다는 자신감으로 진정한 아름다움을 찾도록 도와주는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 PDF

심한 좌폐동맥 형성부전을 동반한 단심실 환아의 폰탄 수술 증례 (Fontan Operation in a Case of Single Functional Pulmonary Artery)

  • 김준범;박정준;박인숙;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308-311
    • /
    • 2005
  • 단심실에 있어서 폰탄 수술의 위험인자로는 폐동맥 크기 이상, 증가된 폐동맥 압력과 폐혈관 저항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한쪽 폐동맥의 심한 형성 부전이나 협착, 폐쇄는 폐혈관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폐혈관 저항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폰탄 수술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한쪽 폐동맥으로의 혈류가 전혀 없는 단심실 환자의 경우에도 혈역학 지표가 적절한, 잘 선택된 환자군에서 폰탄 수술의 성공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심한 좌폐동맥 형성 부전으로 우폐동맥만 기능하는 삼첨판막폐쇄, 폐동맥 폐쇄를 보이는 환아에게 폰탄 수술을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간호학생을 위한 웹기반 수술간호 학습콘텐츠의 효과 (Effects of a Web-based Learning Contents in Operating Room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 박은희;황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84-394
    • /
    • 2011
  • 최근 임상현장은 소비자의 질적 간호에 대한 요구로 인해 임상실무 중심의 간호교육을 목표로 교육현장의 변화가 일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계의 변화에 발맞춰 임상실습 강화를 목표로 웹기반 수술간호 콘텐츠 학습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수술실 관련 지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측면의 효과성을 입증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교육요구도를 바탕으로 6개 모듈로 구성하였고 4년제 간호학과를 대상으로 2년에 걸쳐 시행되었다. 그 결과 본 예비학습 프로그램이 수술실 임상실습 전 간호학생에게 수술실 관련 지식, 학습동기 측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콘과 홍채인식,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진 신분확인 시스템 제안 (A Medical Staff Identification System by Using of Beacon, Iris Recognition and Blockchain)

  • 임세진;권혁동;서화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0권1호
    • /
    • pp.1-6
    • /
    • 2021
  • 최근 대리수술(무면허의료행위)과 같이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건들이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대리수술 방지를 위한 수술실 감시카메라 장치도입 등의 대안이 등장하고 있지만, 의료계의 거센 반발로 인해 시행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대리 수술과 같은 사건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의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인 비콘(Beacon)과 생체인식 중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홍채인식을 결합한 의료진 신분 확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블록체인 상에서 동작하도록 하여 신뢰성을 더한다. 이 시스템은 홍채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적인 신분확인을 하고 비콘을 통해 의료진이 수술실에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또한 백그라운드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무작위 주기로 홍채인증을 수행하여 의료진이 초기 인증만 수행하고 수술실을 떠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집도의에 대한 환자의 신뢰를 보장한다.

두 개의 수직근수술 후 발생한 전안부허혈 1예 (Case of Anterior Segment Ischemia after Two Vertical Rectus Muscles Surgery)

  • 안자영;김규남;김성재;정인영;서성욱;유지명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2호
    • /
    • pp.1195-1200
    • /
    • 2018
  • 목적: 상직근 비대가 동반된 환자에서 상직근 및 하직근 수술 이후 발생한 전안부허혈을 경험하였으며, 현재까지 두 개의 직근수술 이후 발생한 전안부허혈은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80세 남자 환자가 3년 전부터 발생한 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제일눈위치에서 30프리즘디옵터의 우안 상사시를 보였고, 눈운동검사에서 우안의 하전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안와 전산화단층촬영검사에서 우안 상직근 비대 소견이 관찰되었다. 우안 상직근 후전술 및 하직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2일째 전안부 검사상 우안의 미만성 각막부종과 데스메막주름이 관찰되었고, 전방 방수흐림 및 동공산대가 관찰되었다. 전안부허혈 진단하에 경구 스테로이드 45 mg으로 치료를 시작하였으며, 1% prednisolone acetate와 0.5% levofloxacin 점안약을 사용하였다. 수술 후 1개월째 제일눈위치에서 정위를 보였고 각막부종, 동공이상이나 전방의 염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증례를 통해 두 개의 직근을 수술할 때도 전안부허혈의 발생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고령의 환자에서 수직근수술을 시행할 때 더욱 주의할 것을 권유한다.

수술실 내 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유두상 섬유탄력종 - 1예 보고 - (Papillary Fibroelastoma of the Aortic Valve: Discovered by Chance with Intraoperative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 A case report -)

  • 김정원;정종필;박순은;김영민;박창률;신제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9호
    • /
    • pp.637-640
    • /
    • 2007
  • 유두상 섬유탄력종은 드문 양성 심장 종양으로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전신 색전증의 위험성이 높다.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술을 준비하면서 정기적인 수술실 내 경식도 심장초음파검사를 시행하던 중 우연히 대동맥 판막의 종양을 발견하였다. 좌측 및 우측 대동맥판막 첨판에 부착되어 있던 종양은 수술로 완전절제되었으며, 병리학적 검사에서 유두상 섬유탄력종으로 확진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경식도 심장초음파의 중요성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