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술실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8초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 (Job Stress and Fatigue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 정종희;강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91-298
    • /
    • 2013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와 C도에 소재한 2개 상급종합병원과 5개 종합병원의 수술실 간호사 124명이었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3.64(0.45)점, 피로 점수는 3.46(0.60)점이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병원 종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 정도는 병원 종류, 근무배경,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는 업무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r=0.47, p=<.001). 그러므로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의 관련성을 파악한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향후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업무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Verbal Abuse and Mental Health in Some Operating Nurses)

  • 박부연;이경희;신지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205-1211
    • /
    • 2012
  • 이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들의 언어폭력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 176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 17일부터 31일까지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언어폭력경험과 간호사 요인 언어폭력 유형이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언어폭력은 수술실 간호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언어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술실 간호사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그것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수술중 감염방지를 위한 공조시스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ir Ventilation System of Operation Room for the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 김천숙;권순정;주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552-557
    • /
    • 2004
  • 수술중 감염방지를 위해 수술실의 공조시스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학병원들의 수술실과 공조 시스템을 조사하였다. 수술실 내부의 여러 부위에서 공기 샘플을 채취하여 세균을 배양함으로써 수술실내 세균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수술실 단면을 2차원 모델화 하여 공기의 유동을 전산유체해석하였다. 준공한지 오래된 병원의 수술실은 공조시스템이 정화된 신선한 공기를 수술이 진행되는 부위에 효과적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시설비의 큰 증가 없이 환자의 수술부위에 효율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수술실 간호사의 목표관리특성과 직무몰입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BO and Job Commitment on Nursing Performance in Operating Room Nurses)

  • 이연화;서문경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09-31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실 간호사의 목표관리특성과 직무몰입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3차 의료기관 수술간호팀의 자발적 참여의사가 있는 간호사 226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관계하는 영향요인은 목표관리특성중 목표구체성, 직무몰입, 측정가능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업무성과의 25.8%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술실 간호의 직무특성상 수술상황에 몰입되어 간호를 할 수 있는 업무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목표관리특성 중에서 목표구체성과 목표의 측정가능성 부분에 대하여 이들의 영향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여야 한다.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 김여진;박금숙;양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52-362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의료기관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수술실 간호사 1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연령(F=5.629, p=.004), 결혼상태(t=-2.907, p=.004), 자녀유무(t=-2.623, p=.01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는 연령(F=11.924, p<.001), 결혼상태(t=-4.747, p<.001), 자녀유무(t=-4.434, p<.001), 수술실 근무경력(F=6.000, p=.003), 수술실 근무배경(t=-2.543, p=.012)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연령(F=21.472, p<.001), 교육수준(F=4.997, p<.008), 종교유무(t=3.235, p=.001), 수술실 근무경력(F=13.599, p<.001), 직위(t=3.222, p=.002), 수술실 근무배경(t=-3.001, p=.003), 근무형태(t=-2.797, p=.006)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스트레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요인이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32.6%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스트레스,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 대응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스트레스와 인증관련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대응 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가 필요하다.

수술실 내 CCTV 설치 의무화 법안의 향후 과제 (Future Tasks of the Law Forcing CCTV Installation in Operating Rooms)

  • 임지연;김계현
    • 의료법학
    • /
    • 제22권4호
    • /
    • pp.185-210
    • /
    • 2021
  • 2021년 9월 24일 전신마취 등 의식이 없는 환자를 수술하는 의료기관의 수술실 내 CCTV 설치 의무화 조항(의료법 제38조의2)이 공포되었다. 개정된 「의료법」은 수술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법행위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의료분쟁 발생 시 적정한 해결 도모를 목적으로 한다. 이로 인해 2023년 9월 25일까지 전신마취 등 의식이 없는 상태의 환자를 수술하는 의료기관은 수술실 내 CCTV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의료인의 동의 여부에 관계없이 환자와 환자 보호자의 요청만으로도 수술장면을 촬영해야 한다. 해당 법안은 기본권 침해 최소를 위한 입법 장치를 법률에 규정하지 않고 하위법령에 위임하였다(제38조의2 제10항). 정보주체의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정책방안은 구체적인 규정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술실 내 CCTV 설치 의무화 법안의 입법 배경과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주요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하위법령 마련 시 검토되어야 할 사안을 제안하였다. 수술실 내 촬영 대상인 정보주체의 기본권 침해 최소화 원칙 준수를 기준으로 촬영 요건, 촬영 거부 정당화 사유, CCTV 설치 위치, 촬영 범위·대상, 영상정보 안전 조치 의무와 처벌의 적절성 등을 검토하였다. 수술실 내 CCTV의 정보주체는 수술에 참여하는 보건의료인과 환자일 것으로 이들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인격권, 인권 등의 침해를 최소화하면서 설치 의무화법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위법령 마련 시 고려되어야 할 사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하위법령 논의 시 검토되어 정보주체의 기본권 침해 최소화 방안 마련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수술실 실습 경험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 in Operating Room)

  • 송미숙;박경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357-36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수술실 실습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북도 C군 일개 대학에 수술실 임상실습에 참여한 간호 대학생 3, 4학년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월14일부터 2020년 1월 13일까지였으며, 자료 수집은 개방형 자기보고서식 성찰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 [21]의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수술실 실습 경험을 분석한 결과, 27개의 하위주제, 12개의 주제, 그리고 5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5개의 범주는 '복잡한 심경에 휩싸임', '펼쳐진 인체와 직면함', '수술실의 특성을 터득함', ' 임상실습의 한계와 맞닦드림' '자기성찰''이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수술실 실습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수술실 간호사의 배치전환, 언어폭력, 조직몰입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ob Rotation, Verbal Abus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erioperative Nurses)

  • 윤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31-141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배치전환과 언어 폭력 및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수술간호사회 학술대회에 참석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312명의 수술실 간호사이다. 연구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사의 조직몰입은 배치전환과는 약한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언어폭력과는 약한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 변수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57.7%로 나타났으나 배치전환과 언어폭력은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만족이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변수를 추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수술실 근무자의 업무수행 관련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in related to Working Posture of Operation-Room Workers.)

  • 김지연;정애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906-2916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수술실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한 상태를 파악 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수술실 근무자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동영상 촬영을 통하여 수술실 근무자의 작업 평가를 REBA 이용하여 인간공학적 작업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REBA로 측정한 수술실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근골격계 통증 정도는 상당히 높은 상태였으며 이것은 조치수준 2에 해당되며 '대상자에게 어떠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자 대부분이 주 3~4회 통증을 경험하고, 다리, 목, 어깨에서 심한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통증간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체중, 과거직장 경험, 하루 평균 근무시간, 근무형태, 근무부서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수술실 근로자는 작업과 관련하여 높은 근골격계 부담과 심한 근골격계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Operating Room Nurses)

  • 강희;최수경;김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29-339
    • /
    • 2016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몰입,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1개의 대학병원과 9개 종합병원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136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7월 25일부터 8월 7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3.76점, 조직몰입 정도는 5점 만점에 3.09점,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5점 만점에 4.15점이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대상자의 근무경력, 적성, 근무만족도와 환자안전교육 횟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조직몰입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교육 횟수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3%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교육이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키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술실의 환자안전관리를 위해서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환자안전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