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in related to Working Posture of Operation-Room Workers.

수술실 근무자의 업무수행 관련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한 연구

  • 김지연 (대구가톨릭대학부속 칠곡가톨릭병원) ;
  • 정애화 (청주대학교)
  • Received : 2010.06.21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in related working posture with operation-room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3 people who were working from hospital operating-room.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pain symptoms, and pain frequency was given. Objective working posture analysis was done by using REBA after recording moving images in hospital operating-rooms. Results: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risk level of musculoskeletal symptom related working posture was high, and the management level was at the least 2; 'some management was required for musculoskeletal symptom'. The frequency of pain was 3~4 times/week and the severe pain were experienced from legs, neck, and shoulder. The result of rel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in were significant variable with sex, age, marital status, weight, past working history, average working time(hr/day), working style, and working depar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operation-room workers have high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are severe musculoskeltal pain related working posture.

목적 : 본 연구는 수술실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통증에 대한 상태를 파악 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수술실 근무자 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동영상 촬영을 통하여 수술실 근무자의 작업 평가를 REBA 이용하여 인간공학적 작업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REBA로 측정한 수술실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부담정도와 근골격계 통증 정도는 상당히 높은 상태였으며 이것은 조치수준 2에 해당되며 '대상자에게 어떠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자 대부분이 주 3~4회 통증을 경험하고, 다리, 목, 어깨에서 심한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통증간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체중, 과거직장 경험, 하루 평균 근무시간, 근무형태, 근무부서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수술실 근로자는 작업과 관련하여 높은 근골격계 부담과 심한 근골격계 통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명준표, 이향기, 김형렬, 정혜선, 정은희, 남웅, 구정완, "환경미화원의 작업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특성과 상지의 인간공학적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20권 2호, pp.93-103, 2008.
  2. 김병권, 김준연, "한국의 근골격계 질환의 현황", 대한산업의학회학술대회 논문집, pp.7-12, 2003.
  3. 강선희, 김태현, "초음파 검사자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방사선기술과학, 제 30권 3호 pp. 227-236, 2007.
  4. 강홍구, 일부 직업인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건강증진생활양식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 정혜선, 이윤정, 김숙인, 이종은, 이소영, 양경미, 김순례, "사회심리적 특성과 근골격계 자각증상과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 19권 3호, pp.388-397, 2008.
  6. 한국산업안전공단, 작업관련성 질환의 산업의학적 관리 모델개발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5.
  7. 노동부, 2003-2007년 산업재해발생현황. http://www.molab.go.kr, 2008.
  8. 김상호,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작업부담간의 연관성 분석", 대한인간공학회지, 제 28권 4호, pp.25-34, 2009. https://doi.org/10.5143/JESK.2009.28.4.025
  9. 최순영, 손창원, 허국강, 박동현, "병원근호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인간공학적 위험도 및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 10권 4호, p.21-30, 2008.
  10. United States Bureau of Labor Stattistics, Illness rates by type of illness, http://www.bls.gov/iif/oshsum.htm, 2001
  11. 성낙정, 사공준, 정종학, "교향악단 연주자의 근골격계장애와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12권 1호, pp. 48-58, 2000.
  12. 오혜주, 이덕희, 박인근, 장세환, "작업유형벌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에 관한 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제 6권 2호, pp.230-241, 1994.
  13. 어강희,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4. 안진홍, 강동묵, 조권환, 문덕환, "병원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율과 위험 요인", 대한산업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13-115, 2002.
  15. 금경아, 수술실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위험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6. 최원겸, 간호사의 근골격계 통증 특성,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7. IJ. Kant, LC. de Jong, M. van Rijssen-Moll and PJ. Borm, "A survey of static and dynamic work postures of operating room staff".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vol. 63, No. 6, pp.423-428, 1992. https://doi.org/10.1007/BF00386939
  18. 이영석.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발생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9. 서승록. "자동차 조립공정에 대한 작업자세 평가도구의 비교",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5권 3호, pp.61-66, 2006. https://doi.org/10.5143/JESK.2006.25.3.061
  20. 안태훈, 김준식, 정병용, "호텔 요리사의 인간공학적 작업 위험성 평가",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5권 3호, pp.105-111, 2006. https://doi.org/10.5143/JESK.2006.25.3.105
  21. 구본언, 박근상, 김창한, "조선업의 심출작업에 종사하는 비정형 근로자에 대한 근골격계질환 분석", 대한인간공학회지, 제26권 2호, pp.113-122, 2007.
  22. 최호달. 인쇄업 근로자들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과 인간공학적 평가, 한성대학교 안전보건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3. 최순영.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인간공학적 위험도 및 직무스트레스 등의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4. 오영수. 건설작업자들의 근골격계질환의 실태조사와 개선대책.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5. 이동현. 화장품 제조업 근로자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과 인간공학적 평가.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6. 정인호. 일부 지역 치과기공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관련요인.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7. 이천옥, 암 전문 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과 인간공학적 작업평가,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8. Hignet, S. and McAtamney, L.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Applied Ergonomics, 31:201-205. 2000. https://doi.org/10.1016/S0003-6870(99)00039-3
  29. I. L. Janowitz, M. Gillen, G. Ryan, D. Rempel, L. Trupin, L. Swig, K. Mullen, R. Rugulies, P. Blanc, Measuring the physical demands of work in hospital settings: Desigs and Impliementation of an ergonomics assessment. Applied Ergonomics, 37:641-658. 2006. https://doi.org/10.1016/j.apergo.2005.08.004
  30.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부담 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KOSHA code H-30-2003)". 2003.
  31. 정은희, 구정완,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분석", 대한인간공학회지, 제 25권 3호, pp. 97-107, 2006. https://doi.org/10.5143/JESK.2006.25.3.097
  32. 최호달, 김현호, 정병용, 양홍석, "인쇄업종 근로자들의 작업위험성 평가",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 7권 3호, pp.63-72, 2005.
  33. 이경재, 황성환, 정현기, 김정철, 윤혜경, 안성희, 이남수, 김주자, "병원종사자에서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 요인". 제 15권 2호, pp.5-12, 2009.
  34. 이향섭, 한만석, "방사선사의 근골격계 증상과 유해 요인에 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회지, 제 31권 3호, pp.239-247, 2008.
  35. 박정근, 김대성, 서경범,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증상 특성 및 관리방안", 대한인공공학회지, 제27권 3호, pp.81-92, 2008.
  36. 정희선, 치과기공사들의 근골격계 자각 증상 및 관련 요인.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7. 김철호, 간호업무종사자의 근골격계 증상 유병정도 및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8. 이유진, 중환자실 간호사의 작업 자세에 따른 신체부담 및 근골격계 증상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2.
  39. 심윤정, 김형아, "일부 보험 심사자의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 대한산업의학회지, 제 41권, pp. 120-130, 2002.
  40. 심미정, 손인아, 홍성기, "사무직근로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요인", 한국콘텐트학회논문지, 제 9권 9호, pp.249-258,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249
  41. 유송희.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 요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2. 이정탁, REBA와 직무스트레스가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