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수동사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좌담회-위기의 종계산업 활로 모색 방안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39권11호통권457호
    • /
    • pp.147-151
    • /
    • 2007
  • 최근 종계사육수수 증가로 인해 육용실용계 가격이 크게 하락함에 따라 종계업계가 장기간 불황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종계업계 불황의 원인을 짚어보고, 이에 따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업계전문가들이 지난 10월 12일 한자리에 모여 좌담회를 열었다. 이날 좌담회는 축산신문사 회의실에서 동사 장지헌 편집국장 사회로 진행되었다. 이자리에서 참석자들이 제기한 불황의 원인과 대책에 대해 정리하였다.

  • PDF

『当世書生気質』에 나타난 수수동사에 관한 고찰 - 'やる·あげる·さしあげる'와 'くれる·くださる'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Giving and Receiving Verbs in TOUSEISYOUSEIKATAGI)

  • 양정순
    • 비교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271-293
    • /
    • 2010
  • Japanese Give and Receive Verbs are divided into "YARU", "MORAU" and "KURERU". These are influenced by the subject, speaker's viewpoint and meaning. Three verbs are used in a different way depending on who is the giver and who is the taker. I analyze "YARU" and "KURERU" Verbs used in TOUSEISYOUSEIKATAGI. It focus on politeness, gender, and meaning when combined with 'TE'. As an expression of politeness, 'Yaru' is to give to a person of lower social status or an animal or plant. 'Ageru' is to give to an equal ora person of lower social status nowadays. However, 'Ageru' which is treated as elegance of the language remained expression of respect, 'Yaru' is used when the receiver is a person of lower social status and equal social status in TOUSEISYOUSEIKATAGI. 'Kureru' is used when the receiver is a person of lower social status and equal social status, 'kudasaru' is used when a person of higher social status gives the speaker something in TOUSEISYOUSEIKATAGI. Women speakers use 'oyarinasai' 'oyariyo' 'ageru' 'okureru' and men speakers use 'yaru' 'kureru'. Speech patterns peculiar to men are 'kuretamae' 'kurenka'. If the verbs are joined to "TE", they obtain abstract meaning as well as a movement of things. They express some modality for action of the preceeding verbs. The modality has the following meanings ; good will, goodness, benefits, kindness, hopeness, expectation, disadvantage, injury, ill will and sarcasm. In addition, 'TE YARU' expresses the speaker's strong will, 'TE KURERU' expresses the speaker's request.

주왕산 국립공원 일대의 담수어류상 (The Freshwater Fish Faun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이승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40-150
    • /
    • 1996
  • 국립공원에서 자연보존의 일환으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1994년 6월부터 12월까지 3회에걸쳐 주왕산 국립공원 일대의 10개 지소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한국고유종 및 아종인 긴몰개, 점몰개, 왕종개, 수수미꾸리, 미유기, 자가사리 그리고 동사리를 포함한 6개과 17종의 담수어류를 확인하였다. 낙동강 수계에서는 14종이, 영덕 오십천 수계에서는 10종이 분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어종은 붕어, 버들치, 피라미, 갈겨니, 미꾸리, 자가사리 및 동사리로서 7종이었고 우세종은 버들치, 갈겨니 그리고 동사리였다.

  • PDF

소설 속의 'くれる類'동사에 대한 한국어와 영어의 번역양상 - 하목수석(夏目漱石)의 『こころ』를 중심으로 - (Aspects of Korean and English Translation of 'KURERU' in the Novel - about NATSUMESOSEKI 『KOKORO』)

  • 양정순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327-353
    • /
    • 2017
  • 본고는 근대소설 "こころ"안에서 사용된 'くれる類' 동사가 번역가에 의해 재생산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번역 양상을 '표현주체와 상대에 따른 사용'과 '이동대상'에 초점을 두어 분석했다. '표현주체와 상대에 따른 사용'은 다음과 같다. 'くれる類' 동사의 사전적 어휘용법에 머무르지 않고 장면에 따라 번역되었다. 그런데 '주는 자'가 손위의 인물일 때 사용된 'くれる'에 대한 한국어 역은 '주는 자'가 부모라면 전부는 아니지만 가급적 그 행위를 높여서 번역하는 경향이 보였다. 정중도에 대한 영어 역의 차이는 'くれる類' 동사가 부탁 의뢰 명령과 같은 용법으로 사용될 때 나타났는데, 'くれる'보다 'くださる' 쪽에서 'please'의 사용이 보였다. '이동대상'에 따른 번역 양상은 다음과 같다. 본동사로 사용될 때의 한국어 역은 'くれる' 'くださる'에 대응하는 '주다' '주시다'로 번역되었지만, 영어 역은 이동대상의 특징에 따라 번역 어휘가 다양했으며 구체화된 행위의 표현으로 번역되었다. 보조동사로 사용될 때의 한국어 역과 영어 역은 행위의 이동 이외에 사물의 이동이 포함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번역 어휘가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어 역은 구체적인 사물과 더불어 행위의 이동이 있을 때는 '-주다' '-달라' '-주시다' 등과 같은 수익을 나타내는 번역이 우세했다. 추상적인 사항과 함께 행위의 이동이 있을 때와 이동 대상에 행위만 있을 때의 한국어 역은 수익을 나타내는 번역도 있었지만, 전항동사의 행위로 번역된 예도 보였다. 영어 역은 구체적인 사물 및 추상적인 사항이 포함된 행위의 이동이 있을 때나 행위의 이동만 있을 때도 전항 동사의 행위로 번역된 예가 우세했다. 부탁 의뢰를 나타내는 표현에 한국어 역은 '-달라' '-주세요'와 같이 'くれる'와 'くださる'에 대응하는 번역이 있었던 반면, 영어 역은 'must' 'ask' 'wish' 'would' 'would like to' 'please'와 같이 문 구조나 언어기능 항목에 초점을 두어 행위를 구체화 시키는 번역이 중심을 이뤘다.

수수동사 'くれる·くださる'에 관한 고찰 - 에도기부터 다이쇼기의 작품속의 여성화자의 사용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Giving Verbs 'kureru' and 'kudasaru': by Analyzing Dialogues of Female Speakers in Novels of the Edo Period, Meiji Period and the Taisho Period-)

  • 양정순
    • 비교문화연구
    • /
    • 제31권
    • /
    • pp.371-39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know word forms and usages according to personal relationships of 'Kureru Kudasaru' by analyzing dialogues of female speakers. Novels of the Meiji period when there were attempts of a language revolution were mainly used for this study as well as novels of the Edo Period and the Taisho Period. Firstly, the number of exampl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 the novels was as follows. In case of 'Kureru', female speakers showed a high usage rate in the novels of the Edo period. 'Kureru' was mostly connected with female languages such as 'Naharu', 'Namasu', 'Nansu'. These expressions were not used i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and the Taisho Period. Although 'Okureru' and 'Okurenasaru' were used i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the number of examples of 'Kureru' by female speakers was decreased i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and the Taisho Period. 'Kudasaru' was predominantly used by female speakers. Especially, female speakers used clearly to show vertical relationships in the novels of the Edo Period and"Doseishoseikatagi"of Meiji 10s. After"Ukigumo", the usage rate of female speakers was decreased but the usage rate of male speakers was increased. Gender differences became gradually smaller. Female speakers in the novels were increased from geisha and relatives such as wife, sister, mother and children to young women, teacher and student. Aspects of benefactive verbs' usage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emale speakers at licensed quarters used clearer and more typical expressions according to vertical relationships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novels of The Edo Period tha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and the Taisho Period. I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female speakers in a sophisticated social group used benefactive verbs to show strong respect and concern for the other person. In the novels of the Taisho Period, female speakers used benefactive verbs to show respect and concern for the other person according to their areas of outside activities. I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female speakers used 'Okureru' when the other person was younger than them and was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close to them. Also, 'O~Nasaru' which was one of respect expressions was used by female speakers. Female speakers used it to older people in the Edo period but they also used it to younger people in the Meiji Period. Examples were not shown in the novels of the Taisho Period. Usages of 'Kureru' 'Kudasaru' according to vertical relationships were as follows. If 'a giver' was an older person, 'Kureru' with respect expressions 'Nasaru' 'Nansu' 'Namasu' was used more than 'Kudasaru' in the novels of the Edo Period. However, many examples of 'Kudasaru' were shown o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and the Taisho period. I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Okureru' and 'Okurenasaru' which were expressions included in 'Kureru' were shown. Female speakers used them to older people who were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close to them like family. There were not many examples of 'a giver' and 'a receiver' around the same age. However, 'Kureru' and 'Okureru' were used in a younger group and 'Kudasaru' was used in an older group in the novels of the Meiji Period. If 'a giver' was an younger person, 'Kureru' was mainly used in the novels of the Edo period and "Doseishoseikatagi"in Meiji 10s. However, 'Kudasaru' was used many times in the novels of the latter Meiji Period and the Taisho Period.

소설 『こころ』에 나타난 감정표현 '포(怖)'에 관한 번역 양상 - 한국어 번역 작품과 영어 번역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the aspect of translation on 'Hu(怖)' in novel 『Kokoro』 - Focusing on novels translated in Korean and English -)

  • 양정순
    • 비교문화연구
    • /
    • 제53권
    • /
    • pp.131-161
    • /
    • 2018
  • 감정표현은 마음 의식의 내적 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종류에는 '감정표현어휘', '고백표현', '문 구성', '간투사 표현', '사역 수동 수수 표현', '조사' '호칭', '문체 선택' 등이 제시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감정표현 가운데서 감정을 묘사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こころ"에 나타난 '포(怖)'의 감정표현의 번역 양상을 '품사' '주어처리' '의미 분류'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포(怖)'에 관한 번역 양상을 보면, 사전에 제시된 지시적 표현 이외에, '포(怖)'의 의미가 아닌 다른 표현, 다른 품사로도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 문에서 사용된 '포(怖)'의 감정 어휘에 대해, 한국어역은 일부 '명사', '관용구', '부사+동사'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일본어와 유사한 품사로 번역되었다. '명사'인 경우는 용언으로 풀어 설명한 후 강조 어휘를 더해 번역했으며, '부사+동사'는 2개 이상의 어휘가 이용된 어구로 번역되기도 했다. 상황에 따라 번역 어휘는 'Fear류(類)' 뿐 아니라 'Surprise류(類)'와 'Sadness류(類)'의 어휘까지도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영어 역의 경우, 한국어 역에서 보였던 것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주로 '동사⇨동사, be+동사의 과거분사', '형용사⇨형용사, 동사, be+동사의 과거분사' '명사⇨be+동사의 과거분사'로 번역되었으며, 'Surprise류(類)', 'Anger류(類)', 'Fear류(類)' 등의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 외에 감정 주체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어휘까지 이용되는 등 매우 다양했다. 일본어 문의 감정 주체의 유무에 따른 한국어 역은 대체로 일본어 문과 유사한 문 구조로 번역되었고, 감정 주체가 생략된 3인칭인 일부 예에서는 생략된 요소가 복원 가능하도록 유도한 번역이 보였다. 영어 역을 보면, 일본어 문의 감정 주체의 생략 유무와 관계없이 감정 주체와 판단 주체까지도 복원했으며, 서술자 중심의 주어를 내세워 그에 따른 서술어를 선정해 번역하기도 했다. 그러나 주어 자리에는 반드시 감정을 느끼는 사람만 사용된 것이 아니라 사건, 행위, 감정의 요인 등이 사용되기도 했으며, 화자가 화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서술하기 보다는 주변 상황과 장면을 설명하면서 그로 인해 일어나는 감정을 서술한 경우도 있었다.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 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2 보(報). 직파재배(直播栽培) 벼와 잡초(雜草)와의 경합(競合) (Emergence of Weed Species and Their Competitive Characteristics in Direct-Seeded Rice (Oryza sativa) - 2. Durations of Weed Competition with Direct-Seeded Rice)

  • 허상만;조이기;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9-297
    • /
    • 1995
  •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두 양식(樣式)(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하(下)에서 효율적(效率的)인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하여 잡초생장(雜草生長)과 잡초(雜草)의 경합(競合)에 대한 벼의 수량(收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반응(反應)에 대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잡초(雜草)의 신장은 건답(乾畓)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파종후(播種後) 45일(日)경부터 벼의 신장(伸張) 생장(生長)을 앞질러 광(光)과 공간(空間)에 대한 경합(競合)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파종후(播種後) 75일(日) 이후(以後)부터는 가장 큰 초장(草長)의 차이를 나타냈다. 2. 잡초(雜草)의 건물(乾物) 생산량(生産量)은 건답(乾畓)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모두 파종후(播種後) 30일(日) 이후(以後)부터 급격히 증가(增加)하여 벼와의 경합(競合)을 시작하는 시점(始点)으로 사료되었으며, 생육기간(生育期間)이 진전(進前)됨에 따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보다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잡초(雜草)의 생장속도(生長速度)가 조금 더 빨랐다. 3. 경합기간(競合期間)이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은 건답(乾畓), 담수직파(湛水直播) 모두 파종(播種) 후(後) 75일(日)까지의 경합(競合)에서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收量)에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75일(日)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 뚜렸하였고, 수량(收量)에 대한 영향 역시 경합기간(競合期間)이 75일(日) 이후부터는 크게 감소하였다. 무잡초유지기간(無雜草維持期間)은 파종(播種) 후(後) 30일간, 잡초발생허용기간(雜草發生許容期間)은 파종(播種) 후(後) 75일까지로 나타나, 잡초방제(雜草防除) 요구기간(要求期間)은 파종(播種) 후(後) 30~75일(日)까지 45일간(日間)이었다. 4. 잡초(雜草)의 생장량(生長量)이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은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주수(株數)는 피, 알방동사니, 미국가막사리에서, 수수(穗數), 수당영화수(穗當穎花數), 천립중(千粒重), 수량(收量)은 피, 여뀌, 여뀌바늘, 알방동사니, 마국가막사리, 너도방동사니 생장량(生長量)과 고도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의 피는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주수(株數), 수수(穗數), 수당입수(穗當粒數), 수당영화수(穗當穎花數), 수량(收量)에서 고도의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며, 등숙율(登熟率)은 알방동사니에서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고, 그 외의 초종(草種)들은 영향이 적었다.

  • PDF

메이지·다이쇼 작품의 てくれ·てください의 표현 양상 (Expressions of requests using give and receive verbs in the era of Meizi and Taisyo)

  • 양정순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391-411
    • /
    • 2012
  • Request expressions can be defined as expressions that demand or ask the other person to do certain movements. There are direct request expressions that ask the other person to do certain movements directly and indirect request expressions that ask the other person to do certain movements by describing the speaker's condition. The study analyzed gender and hierarchy of speakers and listeners who used 'tekure' and 'tekudasai' in dialog examples of the Meiji Period and the Taisho Period. In those periods, the modern Tokyo dialect was formed and established. "Toseishoseikatagi"in Meiji 10s,"Ukigumo""Natsukodachi""Tajotakon"in Meiji 20s,"Hakai""Botchan"in Meiji 30s,"Huton""Inakakyoshi" in Meiji 40s and "Aruonna"in the Taisho Period were analyzed for the study. 'kure' was used more by male speakers than female speakers. Examples by female speakers were shown on the novels after Meji 30s. In case of male speakers, they often used it to listeners with an equitable relationship at "Toseishoseikatagi"in Meiji 10s but they often used it to younger listeners at "Hakai"in Meiji 30s. 'okure' was used more by female speakers than male speakers. Listeners were varied from older ones to younger ones. In case of female speakers, 'okure' was used more often at "Aruonna"in the Taisho Period than the other novels. In case of male speakers, 'okure' was used only at "Ukigumo""Natsukodachi"and "Hakai". 'Okurenasai' was used outstandingly by female speakers on the form of 'okun_'. In case of 'kudasai', female speakers used it more than male speakers at "Toseishoseikatagi" and "Aruonna"but male speakers used it more than female speakers at "Tajotakon"and "Hakai". Listeners were varied from older ones to younger ones. 'o~kudasai' was not shown until Meiji 20s but shown after Meiji 30s among the analyzed novels. According to gender, it was used a little bit more often by female speakers than male speakers. According to hierarchy, listeners were usually older than speakers. 'o~nasatekudasai' was used more often by male speakers than female speakers. Listeners were also usually older than speakers.

강원지역(江原地域) 논잡초(雜草)의 시기별(時期別) 발생량(發生量)이 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Weed Amounts Emerged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 on Rice Yield)

  • 김기식;안명훈;장진선;허범량;김득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3-92
    • /
    • 1990
  • 강원도지방(江原道地方)의 잡초(雜草)의 종류(種類), 발생시기(發生時期)m, 발생량(發生量) 및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잡초방제(雜草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평야지(平野地)인 표고(標高) 74m인 춘천(春川), 중산간지(中山間地)인 표고(標高) 300m의 홍천(洪川), 산간고냉지대(山間高冷地帶)인 표고(標高) 450m의 횡성(橫城), 영동해안지대(嶺東海岸地帶)인 표고(標高) 14m의 명주(溟州) 등(等) 4개(個) 지대(地帶) 4개(個) 장소(場所)에서 벼를 이앙후(移秧後) 10일(日)부터 60일(日)까지 10일(日) 간격(間隔)으로 6회(回)를 시기별(時期別)로 잡초(雜草)를 조사(調査)하고 경합시기(競合時期) 수량(收量)을 조사(調査),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역별(地域別) 잡초발생잡초종수(雜草發生雜草種數)는 춘천(春川) 8과(科) 12종(種), 홍천(洪川) 10과(科) 16종(種), 횡성(橫城) 7과(科) 12종(種), 명주(溟州) 10과(科) 14종(種)이었고 분포비율(分布比率)은 각(各) 지대(地帶) 공(共)히 광엽잡초(廣葉雜草), 방동사니(科) 화본과(禾本科) 순(順)이었다. 2. 잡초(雜草)의 종류(種類)는 각(各) 지대(地帶) 공(共)히 화본과(禾本科)는 미미(微微)하였으나 광엽잡초류(廣葉雜草類)는 벗풀, 마디꽃, 밭뚝외풀, 올미, 여뀌, 가래, 물달개비 등(等)이었고 방동사니과(科)는 너도방동사니, 올챙고랭이, 올방개, 매자기 등(等)이었고 그 외(外) 닭이장풀, 중대가리풀, 곡정초 등(等)도 발생(發生)하였다. 3. 지대별(地帶別) 우점초종(優占草種)은 지역간(地域間) 다소(多少) 차이(差異)가 있었으나 대부분(大部分)이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인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벗풀, 올미 등(等)이었다. 4. 잡초발생시기(雜草發生時期)는 명주(溟州)는 이앙후(移秧後) 10일(日)부터 발생(發生)하였으나 그 외(外) 지역(地域)은 이앙후(移秧後) 20일경(日頃)부터 시작(始作)하였다. 5. 지대별(地帶別)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춘천지방(春川地方)이 가장 많았고 횡성지방(橫城地方)이 제일 적었으나 춘천(春川)과 명주(溟州)는 이앙후(移秧後) 30~60일(日), 홍천(洪川)과 횡성(橫城)은 이앙후(移秧後) 40~60일(日) 사이에 가장 많았다. 6. 잡초(雜草)와 벼의 경합기간중(競合期間中) 지대별(地帶別)로 간장(稈長) 2~4cm, 수수(穗數)는 주당(株當) 1.3~2.9개(個), 수당입수(穗當粒數)는 3.3~7.5입(粒)이, 등숙비율(登熟比率)은 3.3~6.5% 감소(減少)되었으며 천립중(千粒重)도 정도(程度)임 미미(微微)하였으나 감소(減少)의 경향(傾向)이었다. 7. 잡초(雜草)와의 경합기간(競合期間)이 길어질수록 벼 수량(收量)도 12~17%정도(程度) 감수(減收) 되었다.

  • PDF

온실과 포장조건에서 수수 추출물 Sorgoleone의 제초활성 및 작물 선택성 (Herbicidal Effects and Crop Selectivity of Sorgoleone, a Sorghum Root Exudate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 로미즈 우딘;원옥재;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2-420
    • /
    • 2010
  • 잡초는 농업생태계에서 경합에 의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며, 환경 및 인류의 부정적인 관심 때문에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합성 제초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수 추출물의 일종인 sorgoleone의 제초활성과 작물 선택성을 온실과 포장조건에서 검정하였다. Sorgoleone은 토양처리와 경엽처리에서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화본과 잡초보다 광엽잡초에서 효과가 높았다. 온실조건에서 대부분 광엽잡초의 생장은 Sorgoleone $200\;{\mu}g\;ml^{-1}$에서 80%이상 억제되었고, 소리쟁이와 갈퀴덩굴은 완전히 고사되었다. 포장조건에서도 sorgoleone의 제초활성은 광엽잡초에 가장 우수하였고, 방동사니, 화본과 잡초 순이었다. 포장조건에서 잡초생장 억제정도는 전반적으로 온실조건보다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벼, 보리, 밀, 옥수수, 콩, 들깨, 토마토와 배추에서는 sorgoleone에 의한 생장억제는 거의 없었으나 상추와 오이는 생장이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