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소품질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11초

수소법에 따른 수소용품 검사시행에 대비한 기술기준 제정 (Establishment of Korea Gas Safety Standards for Hydrogen Appliance Inspection in Accordance with Hydrogen Law)

  • 정재환;김완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0-84
    • /
    • 2021
  • 수소법이 제정됨에 따라 수소용품 4종이 검사대상제품으로 지정되었다. 수소용품의 종류는 수전해설비, 수소추출설비, 고정형 연료전지, 이동형 연료전지이다. 수소용품 검사를 위한 안전기준 제정은 각 수소용품별 위험요소를 정의하였고 위험요소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기준을 수소용품 기준에 규정하였다. 각 수소용품 별 주요 안전기준은 수전해설비는 수소품질 및 안전제어, 수소추출설비는 독성물질 배출 방지 및 일산화탄소 배출 방지, 고정형 연료전지는 배출가스 규제 및 버너 안전성능, 이동형 연료전지는 진동안전성이 안전기준에 규정하여 안전성을 강화하였다.

급속 열분해 바이오 오일의 활용 및 품질기준 (Utilization and Quality Standard of Fast Pyrolysis Bio-Oil)

  • 박조용;도진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223-233
    • /
    • 2020
  • Fast pyrolysis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technologies for converting biomass to liquid fuels. Pyrolysis bio-oil can replace petroleum-based fuels used in various thermal conversion devices. However, pyrolysis bio-oil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petroleum fuels. Therefore, in order to successfully use pyrolysis bio-oi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uel characteristics of pyrolysis bio-oil. This paper focuses on fuel characteristics and upgrading methods of pyrolysis bio-oil and discusses how these fuel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the use of pyrolysis bio-oils. In addition, the fuel quality standards of fast pyrolysis bio-oil were examined.

수소충전소 내 연료전지용 수소연료 품질 관리 및 표준화 동향 (Current Status of Standardization for Quality Control of Hydrogen Fuel in Hydrogen Refueling Stations for Fuel Cell Electric Vehicles)

  • 김동겸;임정식;이정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284-292
    • /
    • 2022
  • Hydrogen is promising a candidate for energy supporting the carbon neutrality policy for greenhouse gas reduction, which is being promoted in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Although challenging efforts-such as lowering the costs of green hydrogen production and fuel cells-remain, hydrogen fuel cell electric vehicles (FCEVs) are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energy transition from fossil fuels to renewable energy. In line with this objective, the hydrogen FCEV working group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compiled and revised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hydrogen refueling stations as of 2019. A well-established hydrogen qua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tandard documents will increase the reliability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and accelerate the use of FCEVs. In this study, among the published ISO standards and other references, the main requirements for managing charging stations and developing related techniques were summarized and explained. To respond preemptively to the growing FCEV market, a continuous hydrogen quality monitoring method suitable for use at hydrogen charging stations was proposed.

수소품질 국제 표준화 동향 및 대응기술에 관한 연구 (A Stydy On Hydrogen Quality International Standards Trend and Countermeasure)

  • 이택홍;천영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54-460
    • /
    • 2006
  • In the production of hydrogen from various sources like cracking of LPG, LNG, Crude oil, or alkaline water electrolysis, the things that we keep in mind is the entrapment of unexpected impurities in the stream of produced $H_2$. If it is true that we are not able to produce 100% pure $H_2$, then subsequent procedure is the elimination of the impurities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s of each constituents in $H_2$ stream. By the way, each country has different constituents in its fuels and unavoidablely it was cost/economy debates between coutries. Thus, in this paper, our goal is to provide current international issues for hydrogen production.

수소에너지에 대한 ISO 표준화 동향과 시사점 (Current Status of Standardization of ISO TC197)

  • 김종원;이택홍;최재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45-255
    • /
    • 2016
  • Commercial production line of FCEV was built in 2013 by Hyundai and followed by Toyota in 2014, with additional manufacturers planning to enter the market around 2017. Now there is limited hydrogen infrastructure over the world, but more hydrogen stations are planned, particularly in Japan, Korea, Germany, UK and USA. ISO TC 197 which was created in 1990 focused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of systems and devices for the production, storage, transport, measurement and use of hydrogen. Total number of published ISO standards related to the TC and its SCs (number includes updates) is 17. Now there are 20 participating countries and 13 observing countries. The current status of activity of ISO TC197 was reviewed and particularly issues on hydrogen quality and hydrogen refueling station were discussed.

폐플라스틱 열분해 재생유의 불안정한 요인 규명과 무수탄산나트륨으로 품질 향상 (A Close Examination of Unstability and a Quality Improvement using Anhydrous $Na_2CO_3$ in Waste Plastic's Thermal Pyrolysis Oil)

  • 서영화;고광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71-1380
    • /
    • 2007
  • 폐플라스틱 열분해 재생유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불안정화 요인 규명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분해 재생유를 오존화반응시킨 결과 이중결합 불포화탄화수소가 알데히드와 케톤으로 변하면서 폐HDPE 열분해 재생유의 약 45%는 1-알켄구조불포화탄화수소이며, 폐PP 열분해 재생유는 $\sim47%$의 secondary alkene과 $\sim20%$의 primary alkene을 포함한 약 73 wt% 불포화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존화 반응 후 기름의 냄새, 짙은 색도가 개선되었는데 이중결합 불포화탄화수소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장 용기 별 시험에서는 철제 캔이 갈색유리병보다 좀더 기름의 질 변화를 일으킴을 보여주었다. 기름에 투입된 항산화제는 2-3일 만에 90여 wt%가 소모되면서 항산화제 기능으로 인하여 불포화탄화수소올레핀은 50일이 지나도 안정하였다. 불순물질 제거 흡착여과 시험에서는 실리카, 활성탄, 알루미나 순으로 불순물질 제거효율이 좋으나 수분의 제거효율은 낮았다. 무수탄산나트륨과 무수황산마그네슘이 수분 및 침전물 제거효율이 모두 높으나 실제 열분해재생유 생산 공정에 원가상승을 거의 하지 않은 무수탄산나트륨을 투여 혼합 여과하여 기름의 품질 향상을 달성하였다.

Roll to Roll 장비를 적용한 대면적 ITO 박막 증착 (ITO Thin film deposition in large area by Roll to Roll process)

  • 임경아;김종국;강용진;이승훈;김도근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2-183
    • /
    • 2012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나 organic photovoltaic device (OPV)와 같은 유기소자에 전극으로 쓰이고 있는 indium tin oxide (ITO) 박막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소 및 산소의 가스량을 조절하면서 rf power를 이용하여 ITO 박막을 증착한 후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관찰하여 보았다. 또한 ITO 박막의 대면적화 및 양산화를 위하여 Roll to Roll 장비를 적용하였다. 산소 분율 0.3%에서 두께 180 nm 와 면저항 21 ohm/sq.를 나타냈으며 수소 분율 0.8%에서 두께 180 nm, 면저항 22 ohm/sq.이 관찰되었다. 또한 산소 분율 0.3%로 고정한 후 수소 분율을 변화시키며 관찰한 결과 수소분율 0.3%에서 두께 180 nm, 면저항 19 ohm/sq.를 나타내었다.

  • PDF

발파 후 2차 연소의 원인 (The Cause of Secondary Explosion after Blasting)

  • 이영호;이응소;정천재;윤종화
    • 화약ㆍ발파
    • /
    • 제21권1호
    • /
    • pp.85-94
    • /
    • 2003
  • 발파후에 2차연소 또는 폭발(이하, 2차연소라 한다. )이 일어났다는 사실은 폭약이 폭발후에 어떤 가연성가스가 발생하고 그 가연성가스가 잔존하는 폭발열 또는 기타의 점화원에 의해 연소되었음을 의미한다. 폭약이 폭발하였을 때, 발생 가능한 가연성물질은 유리탄소, 일산화탄소, 수소 등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실험결과에서는 가연성물질의 주성분이 수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에멀존계 함수폭약이 산소평형, 알루미늄함량, 알루미늄형태와 크기 그리고 포장지의 두께에 따라 수소가 발생되는 양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의 열거한 요인들은 모두 수소발생량과 관계가 있는데, 이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산소평형과 알루미늄의 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예로 알루미늄이 15%가 포함되고 산소평형이 -10인 에멀존계 함수폭약은 폭발후에 19.4%의 수소를 함유하고 있는 후가스를 발생시켰으며 이 가스를 포집하여 공기중에 방출시키면서 성냥불을 가까이 하였더니 연소가 되었다. 따라서 에너지를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의 함량을 높이고 산소평형을 지나치게 마이너스로 설계한다면, 2차연소는 언제든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알루미늄의 함량을 가능한 적게, 산소평형을 가능한 0에 가깝게 설계해야 만이 2차연소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며 ㄸ한 최적의 설계뿐만이 아니라 정확한 제조와 품질검사도 2차연소 현상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몫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한우고기 품질 분석 (Analysis of Meat Quality for Hanwoo Beef using Machine Learning)

  • 이웅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0-452
    • /
    • 2022
  • 최근 빅데이터 기반의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분석이 유전자 분석을 비롯한 다양한 축산분야에 활발하게 접목되어 주목할 만한 결과들을 도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수집된 한우고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우고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육색, 수소이온농도, 보수력, 전단력, 가열감량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찾고, 이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의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 및 회귀 트리(Regression tree) 방안을 이용하여 한우고기의 품질을 예측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통계적 분석을 통해 한우고기의 식감에 큰 영향을 주는 보수력의 경우 육색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전단력, 가열감량의 경우 수소이온농도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인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 연구를 통해서 빅데이터 기반 기계학습 방안이 한우고기 품질 연구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우고기 품질 예측 및 품질 향상 연구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메탈로센 화합물인 [(TMDS)$Cp_2$]$ZrCl_2$ 촉매와 [$(n-Bu)_2Cp_2$]$ZrCl_2$ 촉매를 이용한 고품질의 폴리에틸렌 왁스 제조 (Production of Polyethylene Wax via Metallocene Catalysts [(TMDS)$Cp_2$]$ZrCl_2$ and [$(n-Bu)_2Cp_2$]$ZrCl_2$ in the Presence of Hydrogen Gas as a Chain Transfer Reagent)

  • 김지윤;윤석영;양영도;노석균
    • 폴리머
    • /
    • 제32권6호
    • /
    • pp.566-572
    • /
    • 2008
  • 메탈로센 [(TMDS)$Cp_2$]$ZrCl_2$, 촉매 1과 Exxon 촉매인 [$(n-Bu)_2Cp_2$]$ZrCl_2$, 촉매 2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왁스를 제조하였다.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수소를 연쇄이동제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수소의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중합활성의 감소 생성된 폴리에틸렌 왁스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의 감소 그리고 폴리에틸렌 왁스의 융점 저하가 관찰되었다. 수소의 주입으로 폴리에틸렌의 분자량은 1500, 융점은 60 $^\circ$C까지 조절이 가능하였다. 수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메탈로센을 통해 분자량분포가 좁고 융점이 낮은 고품질의 폴리에틸렌 왁스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촉매 1은 알려진 가장 우수한 메탈로센인 촉매 2와 폴리에틸렌 왁스 제조에서 경쟁이 가능한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