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소첨가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Middle distillate production by the hydrocracking of FT wax over solid acid catalysts (고체산 촉매상에서 FT WAX의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의한 중질유 생산)

  • Jeong, Heondo;Jung,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14.2-114.2
    • /
    • 2010
  • Fisher-Tropsch 반응을 통하여 생성되는 왁스는 황 또는 질소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또한 방향족 및 중금속 성분이 없기 때문에 청정 수송유로써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Fisher-Tropsch 왁스는 그 분자량이 매우 큰 사슬형 탄화수소이기 때문에 수소첨가 분해반응을 통하여 중질유 range의 탄소수를 갖는 탄화수소로의 전환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강한 산점을 지니고 있는 양이온 교환 지르코니아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강한 산점과 높은 산밀도, 그리고 기공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특정 반응이 제어되거나 활성화되는 형상선택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반응에 촉매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에 Pt 등의 귀금속을 담지한 촉매를 사용하여 Fisher-Tropsch 왁스의 전환율 및 중질유분의 선택도를 높이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제올라이트 촉매에 귀금속을 담지하여 촉매를 제조하고 1L 급 고압 배치형 반응기를 이용하여 Fisher-Tropsch 왁스의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의한 중질유 제조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 PDF

A Convenient Method for the Catalytic Hydrogenation of Aromatic Nitro Compounds to Aromatic Primary Amines (수소첨가 촉매 반응에 의한 니트로 화합물에서 방향족 1차 아민을 제조하는 편리한 방법)

  • Kim, Misoo;Lee, Hagyo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8 no.3
    • /
    • pp.131-135
    • /
    • 1997
  • Aromatic primary amines were prepared by the catalytic hydrogenation of aromatic nitro compounds in a benzene solution over 50 mg of 10 % palladium on charcoal at a room temperature under 45 psi. This paper describes a study on the catalytic hydrogenation of nitrobenzene-$d_5$, $^{15}N$-labelled nitrobenzene, and 4'-nitrobenzo-15-crown-5, respectively.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a exhibited a characteristic N-H stretching vibrations at 3450 and $3350cm^{-1}$.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non-readily available aromatic amines would be commercially produced by catalytic hydrogenation because of its good yield and little by-product formation.

  • PDF

감마선 조사에 의한 TCE, PCE 제거에 미치는 과산화수소의 효과

  • 윤정효;정흥호;정진호;유대현;이면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29-132
    • /
    • 2001
  • 감마선 조사에 의한 TCE와 PCE의 분해에 있어서, TCE는 과산화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지만, PCE는 과산화수소의 농도증가에 따라 분해가 감소되었다. 이들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과산화수소의 첨가에 따른 $\cdot$OH의 생성량 변화를 EPR/spin-trapping의 방법에 의해 확인한 결과, EPR의 DMPO-OH의 신호강도 조사에서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 모두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에 과산화수소를 별도로 첨가해도 $\cdot$OH의 생성량 증가가 없는 것으로 보아, 방사선에 의한 TCE 분해에 있어 과산화수소의 첨가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그러나 PCE의 경우는 향우 계속 연구될 예정이다.

  • PDF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iglyceride Molecular Species of Corn oil during Hydrogenation (수소첨가에 따른 옥수수유의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 및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 Kim, Hyeon-Wee;Cha, Ik-Soo;Kim, Jin-Ho;Kim, Hyun-Suck;Park, Ki-Moon;Son, Se-Hy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6
    • /
    • pp.637-642
    • /
    • 1993
  •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iglyceride molecular species of corn oil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 of hydrogenation; temperature $180^{\circ}C,\;H_{2}$, pressure $2.0{\pm}0.3bar$, the amount of Ni catalyst 0.048%(Ni/oil by wt.) and agitation speed 300 rpm. The rate of hydrogenation, expressed as the reduction rate of the iodine value with respect to time, is first order and high (K>0.01). When the reduction rate of the iodine value was 39.9%, hydrogenation time was 30 min, 18:1 was highest(77.06%), thereafter that was decreased and 18:0 increased. I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LL, LLL were reduced markedly in 10 min, thereafter reduced slightly. And PLO, PLL, OLO were eliminated in first 30 min. On the other hand, POO, PLS(CN52) and OOO, SLO(CN54) were increased sharply, and then that showed little change. The melting point(MP) of hydrogenated corn oil were $27.8^{\circ}C\;and\;44.1^{\circ}C$ after 20 min and 60 min, respectively. Trans isomer content increased to 46.8% during 40 mins of hydrogenation and then decreased insignificantly. The solid fat content were linearly increased with hydrogenation time. Accordingly, it is confirmed that this condition of hydrogenation was selective, preferential elimin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went stepwise and trans isomer was formed promoted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t modification techniques can be used for practical application.

  • PDF

Sulfate Modulation for Hydrogen Production by Chlamydomonas reinhardtii in Continuous Culture (Chlamydomonas reinhardtii 연속 배양에서 수소생산을 위안 황 조절)

  • Kim, Jun-Pyo;Park, Tai-Hyun;Kim, Mi-Sun;Sim, Sang-Jun
    • KSBB Journal
    • /
    • v.20 no.6
    • /
    • pp.453-457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lfate re-addition on hydrogen production under sulfur-deprived condition. When the final concentration of sulfate to cell suspensions($0{\sim}120{\mu}M$) was increased, chlorophyll concentration, culture density, and total amount of $H_2$ produced, increased up to an optimal concentration of $30{\mu}M\;MgSO_4$. Maximum hydrogen volume was 236 mL $H_2/L$ culture at $30{\mu}M\;MgSO_4$. However, the addition of excess sulfate(above $MgSO_4\;60{\mu}M$) delayed the start of hydrogen production and the induction of hydrogenase. Accordingly, the final yield of hydrogen production was reduced. Using these results, we attempted the continuous and sustained hydrogen production by sulfate re-addition($30{\mu}M\;MgSO_4$) using a single C. reinhardtii culture for up to 4 cycles. In total, hydrogen production volume was 625 mL $H_2/L$ culture.

Effects of Pd Addition on Electrode properties of Metal Hydride (Pd 첨가가 금속수소화물 전극 특성에 미치는 영향)

  • Choi, Jeon;Lee, Kyung-K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0 no.2
    • /
    • pp.141-149
    • /
    • 1999
  • Recently the Ni/MH secondary battery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to achieve higher energy density, longer cycle life and faster charging-discharging rate etc. In this work, the electrode properties of $(LM)Ni_{4.49}Co_{0.1}Mn_{0.205}Al_{0.205}$ alloy and $Ti_{0.6}Zr_{0.4}V_{0.6}Ni_{1.4}$ alloy with addition of Pd were investigated. These alloys did not show any change in XRD pattern by Pd addition. As Pd was added as alloy element, the activation behavior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in both $AB_2$ type and $AB_5$ type electrodes and, On charging and discharging in high current density, Discharge capacity with increasing of Pd content was more decreased. But cycle life was showed increasing. Especially the electrode of $Ti_{0.6}Zr_{0.4}V_{0.6}Ni_{1.4}+0.5wt%$ Pd alloy was not almost decreased discharge capacity for 400cycles.

  • PDF

Synthesis of Ni supported on Ce-$ZrO_2$ for HDO Reaction to Produce New Generation Bio-diesel (차세대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HDO 반응용 Ce-$ZrO_2$에 담지된 Ni 촉매 합성)

  • Jeong, Dae-Woon;Eum, Ic-Hwan;Kim, Ki-Sun;Ko, Chang-Hyun;Roh, Hyun-Seo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527-527
    • /
    • 2009
  • 1세대 바이오디젤인 fatty acid methyl ester(FAME)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 이다. 소위 차세대 바이오디젤은 triglyceride의 산소 화합물을 제거하여 정유 공정을 통해 생산된 디젤과 동일한 특성을 지닌 탄화수소로 전환시킨 오일이다. 이를 위하여 수소를 첨가하여 산소를 제거 시키는 Hydrodeoxygenation(HDO) 반응이 필요하다. 고온($300-400^{\circ}C$), 고압(50-100 bar)의 혹독한 조건에서 높은 수율과 안정성을 보이는 촉매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반응물중의 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산소 전달능이 뛰어난 $CeO_2$ 담체에 열안정성을 높이는 $ZrO_2$를 조합한 $Ce-ZrO_2$ 담체를 선정하였으며 수소첨가 탈산소 반응에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니켈을 활성성분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5%Ni-$Ce_{(1-x)}Zr_{(x)}O_2$ ($0{\leq}x{\leq}1$)촉매를 공침법(co-precipitation)으로 제조하였으며 $500^{\circ}C$에서 소성하였다. 촉매 특성분석은 XRD, BET, H2-TPR을 이용하였다.

  • PDF

Effect of Additive Gas on the Bonding Structure of a-C:H Films Deposited by rf PECVD (rf PECVD법으로 증착된 a-C:H 박막의 결합구조에 미치는 보조가스의 영향)

  • Song, Jae-Jin;Kim, Seong-Ji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9 no.11
    • /
    • pp.1088-109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rf PECVD(13.56MHz)법을 이용하여 $CH_4$가스에 소량의 보조가스($O_2$$N_2$)를 혼합하여 a-C:H 박막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박막의 증착속도는 rf power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다가 200W에서는 다시 감소하였으며, 산소와 질소가스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FT-IR분석으로 계산된 박막내의 수소함량은 rf power 증가와 산소 및 질소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산소가스 첨가 시에는 C=O 결합이 생성되며, 질소가스 첨가 시에는 C=N 결합이 생성됨을 FT-IR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산소와 질소를 보조가스로 첨가할 경우에 스퍼터링 효과로 박막내의 수소함량 감소와 더불어 a-C:H 박막의 구조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aman 분석결과 산소와 질소를 첨가함에 따라서 I(sub)D/I(sub)G비가 증가하였고, D line과 G line의 위치가 높은 파수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D line의 폭은 넓어지는 반면에 G line의 폭은 감소됨을 보였다. 이것은 산소와 질소의 첨가로 박막내의 수소함량 감소, 결합각의 disorder 감소 및 micro-crystallite 흑연의 형성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Graphite Spheroidization in Cast Iron by Addition of Misch Metal Hydrides (주철(鑄鐵)의 흑연(黑鉛)구상화에 미치는 Misch Metal Hydride의 첨가효과(添加效果))

  • Kim, Kwan-Hyu;Lee, Doh-Jae;Choi, Dap-Chun;Park, Choong-Nyeun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8 no.3
    • /
    • pp.322-328
    • /
    • 1988
  • 3.9%C-2.0%Si-Fe 조성의 압분체(壓粉體)를 $1350^{\circ}$, Ar가스 분위기에서 50분간 용해한 용탕에 시판(市販) misch metal과 misch metal hydride인 MmH와 $MmH_2$를 각각 여러비율로 첨가(添加)한후 서냉(徐冷)및 급냉(急冷)한 시편의 흑연형상(黑鉛形狀)의 변화로부터 misch metal hydride의 구상화능(球狀化能)과 흑연구상화(黑鉛球狀化) 기구(機構) 로서의 기포설(氣泡說)의 타당성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sch metal은 0.5% 이상, 그리고 misch metal hydride는 0.25% 이상 첨가한 때 구상흑연(球狀黑鉛)과 CV 흑연(黑鉛)이 나타났으며, misch metal hydride를 첨가한 때가 misch metal에 비하여 흑연립수(黑鉛粒數)가 더 많았다. 이와같이 misch metal hydride의 첨가량이 misch metal에 비하여 적었음에도 흑연립수(黑鉛粒數)가 더 많은 것을 보면 Mm으로부터 방출되는 다수(多數)의 수소기포(水素氣泡)가 구상흑연(球狀黑鉛)의 정출장소로 되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기포설(氣泡說)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2) Misch metal 과 misch metal hydride의 첨가량(添加量)이 1.0%로 증가되면 두경우 모두 흑연립수(黑鉛粒數)가 감소하였다. 이는 용탕중에 개재된 수소기포(水素氣泡)의 실수율차이에 의한 잔류 수소기포수의 증가율둔화와 첨가량(添加量)의 증가에 따른 잔류 misch metal량의 상대적(相對的) 증가로 인한 다량의 잔류 misch metal이 응고과정에서 수소를 재흡수 용해하여 흑연입수를 결정하는 용탕중의 유효수소기포수(有效水素氣泡數)를 감소시켰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