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소저장시스템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Hydrogen Generation System Using Sodium Borohydride for Small Fuel Cells ($NaBH_4$를 이용한 소형연료전지용 수소저장시스템 개발)

  • 강순기;한기철;조준배;박태희;유용호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6a
    • /
    • pp.129-134
    • /
    • 2004
  • 문헌 연구를 통해 최적의 수소저장물질의서 수소저장 효율, 물질의 안정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나트륨붕소수소화물($NaBH_4$, sodium borohydride)을 선정하여, 소형연료전지용 수소저장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NaBH_4$의 기초 물성 조사를 위해 수소 발생 능력, 용해도, 수소 비발생 등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촉매의 특성비교는 물론 수소저장시스템의 설계시 핵심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Key factor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Heat Storage and Utilization System Using Metal Hydride (수소저항합금을 사용한 열저장 및 이용시스템 연구)

  • Sim, K.S.;Han, S.D.;Kim, J.W.;Myung, K.S.
    • Solar Energy
    • /
    • v.18 no.3
    • /
    • pp.169-175
    • /
    • 1998
  • Metal hydrides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heat storage and transportation from the industrial complex which own recoverable waste heats to the neighboring cities by the medium of hydrogen. The properties of metal hydrides, some problems of heat transportation using metal hydrides, and the example of heat transportation system were discussed.

  • PDF

The development of hydrogen storing system for fuelcell vehicle (연료전지차량용 수소저장시스템 개발 동향)

  • 이성근;임태원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6a
    • /
    • pp.141-148
    • /
    • 2004
  • 지구의 환경보존과 에너지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고효율의 환경친화적 청정에너지 기술개발을 활발이 진행중에 있으며, 이중 수소를 이용한 연료전지차 개발이 최근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 연료전지차 실용화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과제가 많으나, 그 중에서도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수소의 안전적인 저장 문제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으나, 현재 기술로 이용 가능한 것은 압축저장 방식이다. 현재 소개되고 있는 연료전지차 대부분에는 350 bar 압축수소저장용기가 탑재되어 $120\~300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이는 소비자 입장에서 수소충전을 자주해야 하는 불편사항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초고압 (700 bar) 수소저장시스템과 저압이면서 수소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는 신 수소저장물질 개발을 각 연구기관에서 활발이 연구중에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에 연료전지차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연료전지차량용 부품 개발을 정부과제로 연구중이거나 예정이다. 수소저장분야도 21세기 프론티어사업을 통하여 산.학.연 합동으로 연구를 활발이 진행중에 있다.

  • PDF

Analysis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Metal-Hydride Module for the Actuation of a Rehabilitative System (재활시스템 구동용 수소저장합금 모듈의 열전달 특성 비교 분석)

  • Kim, Kyong;Kim, Seong-Hyun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11 no.2
    • /
    • pp.165-171
    • /
    • 2017
  • We suggested the novel actuator mechanism to apply to wearable assistive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using it. Characteristics of metal-hydride (MH) actuator is investigated in the novel actuating concept. The hydrogen equilibrium pressure increases when hydrogen is desorbed by heating a SMH alloys, whereas by cooling that alloys, the hydrogen equilibrium pressure decreases and hydrogen is absorbed. However, there are too long times in heat transfer mechanism to apply the assistive and rehabilitative device. In this study, 3 different SMH module were designed and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in each SMH modul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heat simulation.

Composition of the heat transportation system using metal hydride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열수송시스템 구성)

  • Sim, K.S.;Myoung, K.S.;Kim, J.W.;Han, S.D.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0 no.1
    • /
    • pp.41-48
    • /
    • 1999
  • The heat transportation from a complex of industry to a rural area needs more efficient method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usually more than 10km. Conventional heat transportation using steam or hot water via pipe line has limits in transportation distance (about 3-5 km) because of the heat loss and frictional loss in the pipe line. Metal hydride can absorb or discharge hydrogen through exothermic and endothermic reaction. After releasing hydrogen from metal hydride with heatings by waste heat from industry we can transport this hydrogen to the rural area via pipe line. In the urban areas other metal hydride reacts with this hydrogen and produces heat for heating. Cool heat is also obtained if it is possible to use metal hydride with low reaction temperature. So metal hydride can be used as a media for transportation, storage of heat. Some problems of the heat transportation using metal hydrides, and the example of heat transportation system were discussed.

  • PDF

고체 수소를 이용한 군용 연료전지 차량

  • 이부윤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1
    • /
    • pp.27-27
    • /
    • 2004
  • 미국 국방부 소속 육군차량사업부(National A Automotive Center)는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군용 차량 개발을 위해 Michigan 주 Rochester Hills에 위치한 E Energy Conversion Devices(ECD) 사와 일부 기술 개발 에 대한 기술 제휴를 한다고 발표했다. 국방부는 태양전 지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대체에너지 차량을 개발하 기 위해 ECD에 1단계 연구에 필요한 연구비를 지원했다. 이번 연구에는 연료전지를사용한차량개발을위해 5 500,$\omega$0달러가 투자되는데, Texaco Ovollic Hydrogen S Systems(TOHC)의 고체 휴대용 수소 연료와 채충천 (refueling) 시스탬이 주요 개발 목표로 설정됐다. ECD의 역할은 최근 개발된 Toyota Prius에 시범 적으로 장착된 저압 고체형 수소 저장 시스템의 기술을 군용 차량에 알맞게 전환시키는 것이다. TOHC와 ECD가 개발한 고체형 수소 보관 시스댐은 고압을 요구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 장 시스템이 갖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연료전지를 이용한 엔진 개발 중 최신 기술이다. 특히 전투 상황에서 차량이 폭발하기 쉬운 수소 저장 탱크를 장착한 채 전 장으로간다는 것은적에게 노출 될 경우자살과마찬가지인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개요를 살펴보면, 수소 저장 시스템은 적어도 약 lOkg의 수소를 적은 용적 내에 낮은 압력에서 안전하게 고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고체 저장 용기는 하루에 두 번 1.7kg의 수소를 10분 이내에 재급유할 수 있다. 수소는대부분고압가스형태나저온액체 형태로보관된다. 기체나액체 형태의 수소는 연료전 지에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점이 많다. Ovonie 수소 저장 방법은 수소를 저압 고체 형태 ( (metal hydride)로 보관하는 방법으로, 고압 기체나 저온 액체가 갖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 할수있다. 그림을 참조하면 고체 형태의 수소 보관 방법이 다른 보관 방법에 비교해 단위 체적당 최고 6배 많은수소질량을보관할수 있다. 이 고체 형태의 보관방법은수소가적절한합금과평형 압력 이 상의 환경에 놓일 경우 합금에 홉착되는 현상을 이용하고 있다. 수소를 흡수한 합금은 새로운 특성 을 가진 metal hydride로 변하게 된다. 이 과정 에서 열이 부산물로 발생한다. 반대로 수소를 metal hydride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합금을 가열해야 한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CNTs Based Solid State Hydrogen Storage System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고체수소저장시스템에 관한 전산해석)

  • Kim, Sang-Gon;HwangBo, Chi-Hyung;Yu, Chul Hee;Nahm, Kee-Suk;Im, Yeon-H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9 no.5
    • /
    • pp.644-651
    • /
    • 2011
  • Storing hydrogen in solid state hydride is one of the best promising methods for the future hydrogen economy. The total performance of such systems depends on the rate at which the amount of mass and heat migration is supplied to solid hydride. Therefore, an accurate modeling of the heat and mass transfer is of prime importance in optimizing the design of such systems. In this work, Hydrogen storage in Pt-CNTs hydrogen reactor has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by solving 2 dimensional mathematical models. Using a CFD computer software, systematic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heat and mass transfer during hydrogen charging periods. It was revealed that the optimized design of hydrogen storage vessel can prevent the increase of system temperature and the charging time due to the convective cooling effects inside the vessels at even high charging pressure. Because none has reported the critical issues of heat and mass transfer for CNT based hydrogen storage system, this work can support the first insight of the optimal design for solid state hydrogen storage system based on CNT in the near future.

수소공급용 배관재료 고찰

  • Kim, U-Sik
    • Journal of the KSME
    • /
    • v.51 no.11
    • /
    • pp.37-41
    • /
    • 2011
  • 수소 고급을 위해서는 수소 수송 인프라 구축이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산업원료와는 달리 에너지원으로서 수소를 사용할 때에는 불특정 범위의 일반 소비자들에게 공급되어야 하며, 생산, 저장, 이용시스템과 함께 공급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수소시스템과 수소수송배관 특징, 수소취성 기본개념 및 수소수송 배관재료 요구조건 등을 알아보도록 한다.

  • PDF

수소에너지시스템의 미래상

  • 이근철
    • 전기의세계
    • /
    • v.29 no.11
    • /
    • pp.704-708
    • /
    • 1980
  • 본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료로서의 수소 2. 수소의 생성법 3. 수소의 저장과 수송 4. 연구개발의 방향과 금후과제

  • PDF

Evaluation on Behavior of Hydraulic Cycling Test for Type3 Hydrogen Composite Cylinder (수소복합재용기 TYPE3에 대한 수압반복 거동 평가)

  • Cho, Sung Min;Lee, Seung Hoon;Lyu, Geun Jun;Kim, Young 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8.2-98.2
    • /
    • 2011
  •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며 유해한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연료전지자동차(FC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현재 구축하고 있는 평가장비는 이러한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으로 사용되는 고압용기의 수압반복시험 및 밸브류로 구성된 고압수소저장시스템의 단품 및 시스템 평가를 통한 안전신뢰성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수소연료전지자동차는 차량이나 부품의 시험 방법에 대한 통일된 기준/표준/시험법이 아직 완전하게 정비되어 있지 않고, 시장에서의 도입 제도, 기준 등이 만들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연료로 수소를 사용하는 도입단계에 있기 때문에, 수소용기가 반복압력변동에 따라 어떤 거동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실험관련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수소연료전지자동차용 고압수소저장시스템에 대한 내구성,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수소연료전지자동차에서 중요한 부품인 용기에 대한 반복피로시험이 필요하다. 특히 복합재 용기 분야에서 Type3용기에 대한 높은 안전성과 내구성이 보고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얼마나 다른 용기에 비해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는지 국내에서는 체계적으로 검증된바 없다. 따라서 구축된 수압반복 장비를 이용하여 Type3 용기에 대한 수압반복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소용기의 거동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