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생태계 모니터링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ffective fo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nstallation project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사업의 효과 평가)

  • Choe, Hye-Seon;Geronimo, Franz Kevin;Jeon, Min-Su;Reyes, Nash Jett;Kim, Le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06-206
    • /
    • 2020
  •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라 비점오염원 부하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 증가 등으로 지표면에 축적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 환경부에서 효율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하여 2004년부터 현재까지 3단계에 걸쳐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을 수행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비점국고보조사업을 추진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를 통한 수질개선 및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점국고보고사업을 통해 구축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대상으로 시설 설치 및 운영 현황과 강우시 비점오염저감 효과 분석을 통한 시설의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시설은 시범시설 및 국고보조시설 총 70개소로 2005~2017년에 준공되었으며, 2016년부터 현재까지 총 4년동안 진행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설의 용량은 34~97,000㎥의 범위로 SA/CA 1.2~6.6%의 범위이다. 강우시 모니터링은 선행무강우일수 3일이상을 고려하여 수행하였으며 도시지역의 경우 5mm 이상, 농촌지역 10mm 이상시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시설의 유입과 유출부에서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을 진행하였으며,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준하여 BOD, COD, SS, T-N 및 T-P 항목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국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평균 부하량은 SS 250.4 kg/day, BOD 89.2 kg/day, COD 136.2 kg/day, TN 51.4 kg/day, TP 7.1 kg/day 로 분석되었으며, 유출부 의 경우 SS 83.8 kg/day, BOD 37.2 kg/day, COD 51.0 kg/day, TN 15.4 kg/day, TP 2.0 kg/day로 나타났다. 또한, 은 오염물질 유입 및 유출 부하량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SS, BOD, COD의 유입 및 유출 부하량의 상관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기물질(BOD, COD)의 상관성은 0.8이상으로 분석되었다(p<0.005). 이는 비점오염저감시설에 적용된 식생, 미생물, 여재 등을 통하여 물리학적 및 생태학적 처리를 통해 저감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TN은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으로 배출 특성으로 상관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DNA Technique - From the Experiment at the Freshwater Fish Ecological Learning Center in Yangpyeong, Gyeonggi Do -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 가능성 - 경기도 민물고기생태학습관 중심으로 -)

  • Kim, Gawoo;Song, Youngke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1
    • /
    • pp.1-12
    • /
    • 2021
  • This study focused on verifying the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DNA (eDNA) technique. The research of DNA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ecology, since this is more sensitive of identify rather than traditional investigation method. Which is difficult to detect species hidden in water and be easily influenced by diverse factors (sites, bad weather, researchers and so on). We applied the pilot test in aquarium (Freshwater Fish Ecological Learning Center in Yangpyeong, Gyeonggi Do), where freshwater fish species are inhabits. We conducted to sampling and analyzing the sixteen water samples (50 species from 7 orders and 13 families) using MiFish primer set. The results showed that 45 species (90%) was investigated by eDNA. It highlight that eDNA with universal primer is possible to detect freshwater fish species of Korean. However, the errors on species identification seems to be caused by the primer that be not suited perfectly and the pollution such as aquarium, sampling collectors.

Evaluation of impact on aquatic communities after the operation of floating photovoltagic systems in agricultural reservoirs (저수지 수상태양광 설치가 수생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평가)

  • Choi, Sunhwa;Lee, Seungheon;Heo, Namjoo;Joo, Ji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33-233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의 2030년 10GW의 농촌 태양광 보급목표 달성을 위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저수지 및 댐 등의 공유 수면을 활용한 수상태양광 설치가 적극 검토되고 있다. 수상태양광 사업의 증가와 함께 수상태양광 설치 및 운영이 환경적 측면에서 논쟁이 대두되고 있으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이 호소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장기적인 조사나 과학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에 설치되어 있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에 의한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상태양광이 운영되고 있는 2개소의 저수지를 대상으로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군집조사를 2개년(2017~2018년) 동안 실시하여 각각의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 지수를 분석하였다. 1차년도에는 수상태양광 패널 설치지역 및 패널로부터 200~250m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총 6지점을 조사하였으며, 2차년도에는 수상태양광 패널 하부(영향권) 3지점과 패널로부터 약 250m 이격된 2지점(비영향권)을 대상으로 총 6회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식물성플랑크톤, 동물성플랑크톤, 저서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군집에 대한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에 대한 분석결과,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는 발전시설 영향권 지역과 비영향권 지역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풍부도는 수상태양광 패널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수록(열린수역으로 향할수록) 감소하는 수치를 보이다가 저수지 수변부에 가까워지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종다양도 역시 종풍부도 결과와 유사하게 수상태양광 패널 지역으로부터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열린수역으로 향할수록) 지수가 감소하다가 저수지 수변부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식물성 플랑크톤과 저서생물 및 어류 군집의 종풍부도, 종다양도가 수상태양광의 영향권과 비영향권간에 큰 차이를 없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부 분류군의 경우 열린 수면보다 수상태양광 설비에 의한 반 폐쇄수역에서 종풍부도와 종다양도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설치된 수상태양광 패널이 전체 수면의 5% 미만에 해당하는 소규모 시설이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서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넓은 수면적에 설치되어 있는 대규모 시설 및 20년 이상 장기간 운영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누적된 환경영향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Zooplankton Community as an Indicato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 Application of Rotifer Functional Groups for Evaluating Water Quality in Eutrophic Reservoirs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수생태계 환경 평가 지표 활용: 부영양화 저수지 수질 평가를 위한 윤충류 기능성 그룹의 적용)

  • Oh, Hye-Ji;Chang, Kwang-Hyeon;Seo, Dong-Il;Nam, Gui-Sook;Lee, Eui-Haeng;Jeong, Hyun-Gi;Yoon, Ju-Duk;Oh, Jong M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404-417
    • /
    • 2017
  • In this study, we analyzed response patterns of rotifer community to eutrophic state, and estimated the applicability of rotifer community as an environmental indicator for highly eutrophicated reservoirs.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and the water quality of rotifer community, we selected the Jundae Reservoir and Chodae Reservoir in Chungcheongnam-do, Korea, which are geographically adjacent but have different water quality, particularly in their eutrophic states. For the analyses on their correlations, monthly survey of water quality and rotifer communit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November 2013 in both reservoirs. The rotifer community was divided into different compositions of functional groups as well as species. Functional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shape of trophi which can represent feeding behavior of rotifer genus. To reflect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body size and habitat preferences were also considered. Species-based composition did not show a consistent tendency with water quality parameters related with eutrophication. On the contrary, functional group composition showed relatively clear group-specific patterns, increasing or decreasing according to the parameters.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le application of rotifer functional group composition as an indicatorforthe lentic systems, especially hyper-eutrophicated reservoirs. The present study can suggest the applicability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s from the limited time scale and sites, and further studies on feeding behavior of the rotifer functional group and its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variables are necessary for the further application.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Seonakdong River algae using hyperspectral imaging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서낙동강 조류 발생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Jongmin;Gwon, Yeonghwa;Park, Yelim;Kim, Dongsu;Kwon, Jae Hyun;Kim, Young D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4
    • /
    • pp.301-308
    • /
    • 2022
  • Algae is an indispensable primary producer in the ecosystem by supplying energy to consumers in the aquatic ecosystem, and is largely divided into green algae, blue-green algae, and diatoms. In the case of blue-green algae, the water temperature rises, which occurs in the summer and overgrows,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algae bloom. Recently, the change in the occurrence time and frequency of the algae bloom is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Existing algae survey methods are performed by collecting water and measuring through sensors, and time, cost and manpower are limit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existing monitoring method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erform remote monitoring using spectroscopic devices such as multispectral and hyperspectral using satellite image, UAV, etc.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pecies classification of remote monitoring through laboratory-scale experiments through algal culture and river water collection. In order to acquire hyperspectral images, a hyperspectral sensor capable of analyzing at 400-1000 nm was used. In order to extract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ed river water for classification of algae species, filtration was performed using a GF/C filter to prepare a sample and images were collected. Radiation correction and base removal of the collected images were performed, and spectral information for each sample was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extracting spectral information of algae to identify and compare and analyze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algae, and remote sensing based on hyperspectral images in rivers and lakes. We tried to review the applicability of monitoring.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Rainfall Runoff Characteristics in Songya-stream of Downstream of Andong Dam (안동댐 하류 송야천 유역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 분석)

  • Kang, Tae Seong;Yu, Na Yeong;Shin, Min Hwan;Park, Bae Kyung;Kim, Jong 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2-282
    • /
    • 2021
  • 강우시 농경지와 축산시설로부터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하류 수계의 수질과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고 다양한 비점오염 저감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안동댐 하류 중 송야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기간은 2020년 6월부터 11월까지 총 5회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상·하류와 유입하천을 포함한 총 8개의 모니터링 지점을 대상으로 강우사상별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 오염부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산정하였으며, 오염원 그룹별 비점배출부하를 산정하여 오염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 조사결과를 이용한 EMC 농도 산정 결과 유입하천인 오산천 지점이 SS와 TOC 항목을 제외한 모든 수질항목의 EMC 농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산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T-P 항목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물한천 지점(0.69 kg/ha)과 오산천 지점(0.69 kg/ha)이 크게 나타났다. 결과와 같이 오산천 지점과 물한천 지점이 오염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상류 오염원 현장 정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강우발생시 상류에 위치한 농경지와 축사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이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었으며, 여러 축사에서 배출되고 있는 유입수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T-P 농도가 평균 0.935 mg/L로 높게 나타났다. 전국오염원조사자료(국립환경과학원, 2017) 내용을 참조하여 송야천 유역의 오염원 그룹별 비점배출부하를 산정해 오염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T-P 항목의 경우 축산계와 토지계의 비점배출부하가 전체 비점배출부하의 약 63%와 37%를 차지해 비점배출부하 기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송야천 유역의 경우 강우시 농경지와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하천 수질오염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비점오염원 발생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송야천 유역의 비점오염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Direction of the Monitoring of Household Chemical Products in Aquatic Environments: The Necessities for a Trophic Magnification Factor (TMF) Research on Fish (다양한 수생태계에 적용 가능한 유해물질의 영양확대계수 (trophic magnification factor, TMF) 연구 - 생활화학제품에서 기인한 성분과 어류조사를 중심으로)

  • Eun-Ji Won;Ha-Eun Cho;Dokyun Kim;Seongjin Hong;Kyung-Hoon Sh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3
    • /
    • pp.185-200
    • /
    • 2022
  • The risk of various hazardous substances in aquatic environment comprises not only the concentration of substances in the environmental medium but also their accumulation in fish through complex food web and the health risks to humans through the fish. In Korea, the monitoring of residual toxicant in aquatic ecosystems began in 2016 following the enforcement of the Acts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for the management of chemicals used in daily life (consumer chemical products), and attention has been paid to potentially hazardous substances attributed to them. Recentl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se hazardous substances in the ecosystem and calculate their emission factors. These include the accumulation and transport of substances, such as detergents, dyes, fragrances, cosmetics, and disinfectants, within trophic levels.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ults of recently published research on the inflow and distribution of hazardous substances from consumer chemical products to the aquatic environment and presents the scientific implication. Based on studies on aquatic environment monitoring techniques,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directions for monitoring the residual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in aquatic ecosystems. In particular, this study introduces the directions for research on trophic position analysis using compound specific isotope analysis and trophic magnification factors, which are needed to fulfill the contemporary requirements of selecting target fish based on the survey of major fish that inhabit domestic waters and assessment of associated health risk.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biota monitoring and chemical research in Korea.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Unit Load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during a Storm (교통 관련 토지이용에서의 중금속 오염원단위 산정)

  • Kim, Cheol-Min;Lee, So-Young;Lee, Eun-Ju;Kim, Lee-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6
    • /
    • pp.155-160
    • /
    • 2008
  • The urban areas have various landuses such as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and official purposes that are highly concerned with human activities. The other landuses are relating to vehicle activities, which are roads, parking lots, bridges, parks etc. The mainly using landuses by human activities are possessing three different areas that are buildings, parking lots/roads and landscapes. Of these areas, the buildings and landscapes can be classified as non-pollution areas. However, the parking lots or roads are classifying as the main pollution areas because of vehicle activities. Therefore, the landuses arising the nonpoint pollution during a storm in urban areas are roads and parking lots. The vehicles are emitting lots of nonpoint pollutants such as metals and particulate matters and it is impacting on water qualities and aqua-ecosystems nearby the city area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characterizing the pollutant types and determining the EMCs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unit pollutant loads during a storm. The monitoring was performed on 9 locations such as highways, service area, tollgates, parking lot and bridges. All of the landuses selected for monitoring are concerned with transportation. The results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edict the pollutant loading before urban planning and to select the BMPs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reducing the pollution.

Determination of EMCs for Rainfall Ranges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교통관련 토지이용에서의 강우계급별 EMC 산정)

  • Lee, So-Young;Maniquiz, Marla C.;Choi, Ji-Yeon;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2
    • /
    • pp.67-76
    • /
    • 2009
  • The contribution of pollutant loadings from non-point source (NPS) to the four major rivers in Korea exceeded 22~37 % of the total loadings in 2004 and is expected to reach 60 % in 2020. Most of NPS loadings are coming from urban areas, especially from paved areas.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rate, many types of NPS pollutant are accumulating on the surface during dry periods. The accumulated pollutants are wash-off during a storm and highly degrading the water quality of receiving water bodies. For this reason,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MOE) developed the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program to protect the water quality by managing the point source and NPS loadings. NPS has high uncertainties during a storm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watershed areas.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can affect on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mass loadings, flow rate, etc.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EMCs for rainfall ranges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such as road and parking lot. Two sites were monitored over 45 storm events during the 2006/06 through 2008/10 storm seasons. Mean TSS EMCs decrease as rainfall ranges increase and highest at less than 10mm rainf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efficient scale of BMP facility considering specific rainfall range.

  • PDF

Establishment of Fish Monitoring Technique for Estimation of Environmental Flow and Stream Health Assessment (환경유량산정 및 하천건강성평가를 위한 어류모니터링 기법 확립)

  • Seo, Jin-Won;Lim, In-Soo;Kim, Gee-Hyoung;Kim, Jy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54-459
    • /
    • 2008
  • 하천의 건강성을 유지하고 수환경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수서생물들에게 알맞은 서식환경 조성,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차단, 적절한 유량과 같은 다양한 조건이 요구된다(Gore 1895; Gore et al. 1989). 이 중 유량은 수생태계를 이루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소들 가운데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Bunn and Arthington 2002; Nilsson and Svedmark 2002; Arthington et al. 2006). 국내 하천관리를 위한 하천유지유량의 산정에서 고려하고 있는 갈수량, 하천생태계, 하천수질 등 8가지 항목 가운데 최근 생태계와 환경에 대한 사회적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천생태계를 고려한 환경유량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나, 현실적으로 생태계를 고려한 정량적 조사자료 구축 및 환경유량산정 등의 객관적 자료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과거 해당수계 및 하천의 어류분포 현황 파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어류조사는 환경유량 산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거나 직 간접적으로 어류상이 변화하는 원인을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류모니터링 기법 확립은 환경유량산정에 있어 요구되는 정량화와 자료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으로 문헌조사와 청문조사를 포함한 사전조사, 현장조사, 조사결과 정리, 고찰 등의 총 4가지 과정을 기본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정하였다(그림. 1), 청문조사와 문헌조사 등의 사전조사를 통해 기존자료를 확보하고 현장의 답사, 조사구간, 방법, 시기 등의 선정을 통해 두 번째 단계인 현장조사의 효율성을 높였다. 현장조사에서는 어류분포 현황 외에도 해당지점의 하상재료, 식생, 유속, 수심, 수질 등 조사지점의 수 환경요소 전반을 기록하여 어류의 서식과 물리 화학적 수환경과의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찰단계에서는 조사 대상 지역 전반적인 어류상 특징과 함께 보호종, 한국고유종, 외래도입종 출현유무 및 빈도, 물리적, 화학적 수환경의 특징, 수환경에 따른 어류상 특징 등의 분석과 함께 조사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어류모니터링 기법 확립을 통해 환경유량산정 시 요구되는 객관적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나아가 오염물질 유입, 하천정비사업 등의 각종 교란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능등적으로 대처하고 교란에 의해 악화된 수환경의 복원을 위해 요구되는 객관적 기초자료 생산에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