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산

검색결과 15,525건 처리시간 0.037초

전산화단층촬영 주사시간(Scan Time)이 폐종양운동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of the Planning CT Scan Time on the Reflection of the Lung Tumor Motion)

  • 김수산;하성환;최은경;이병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55-63
    • /
    • 2004
  • 목적 : 방사선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활영(computerized tomography, 이하 CT) 시 주사시간이 종양부피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공호흡기의 환기작용에 의해 세로방향의 왕복 운동을 하는 N자형 모형을 제작하였고, 호흡주기를 T로 하였을 때 주사시간을 상대적으로 각각 0.33, 0.50, 0.67, 0.75, 1.00, 1.33, 그리고 1.53 T로 설정하고 CT촬영을 시행하였다. 또한 2002년 3월 19일부터 2002년 5월 21일까지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정위방사선수술(stereotactic radiosurgery)을 시행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명을 대상으로, 주사시간이 빠른 CT (LightSpeed, GE Medical Systems, 주사시간 0.8초)와 느린 CT (IQ Premier, Picker, 주사시간 2.0초)를 각각 $1\~4$회 시행하였다. 각각의 slice에서, N자형 모형의 왕복 운동이 CT 영상에 반영된 좌우방향 선분의 길이를 측정하여 치료계획용 CT 촬영이 모형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정위적 체부 고정틀을 이용하여, 빠른 CT 및 느린 CT의 종양을 하나의 CT 영상조합에서 재구성하여 종양의 체적과 장경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모형실험에서 주사시간에 비례하여, 세로방향 운동을 CT 촬영에서 반영하는 정도는 증가하였으며 1.00 T 이상에서는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주사시간 1.00 T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준으로, 1.00 T 미만의 주사시간을 가지는 CT촬영에서 모형운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비율이 각각 $0.33\;T:\;30\%,\;0.50\;T:\;27\%,\;0.67\;T:\;20\%,\;0.75\;T:\;7.0\%$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시검사로 측정한 종양의 세로 방향 움직임이 각각 3 mm, 5 mm, 10 mm이었던 각각의 환자에서 느린 CT에서 얻어진 종양의 세로방향 장경이 빠른 CT에 비해 $5.3\%\;17\%,\;23\%$ 증가하였다. 결론 : 주사시간을 환자의 호흡주기 이상으로 하는 경우 setup margin만을 고려하여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정상 폐조직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줄여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동지역 매실 당절임의 표준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Sugar-preserved Prunus mume Manufactured in Ha-Dong)

  • 고유진;이효형;김은자;김희훈;손용휘;김진용;강상동;안지혜;이완수;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24-4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동 지역에서 제조되고 있는 13종의 매실 당절임 제품을 수집하여 외관, 조직감, 신맛, 단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 관능평가 결과 우수한 제품 5종을 선별하여 이화학적 및 제조 특성을 조사하였다. 5종의 매실 당절임 제품의 수분함량은 45.2~53.3%였으며 pH는 약 2.8 내외로 모든 실험구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산도는 0.4% 내외로 모든 당절임 제품에서 유사하였고 당도는 13번 제품이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나 당과 산의 함량이 낮은 제품의 관능적 기호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도 모든 실험구들에서 각각 약 0.4, 0.8% 내외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시 조직감이 가장 우수하다고 선별된 13번 제품의 기계적 경도 값이 다른 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색도는 밝은 색에 황색과 청색에 가까운 제품이 소비자의 관능에 우수할 것으로 생각된다. 5종의 우수한 매실 당절임 제품의 주요 유기산은 수산, 사과산, 구연산 및 푸마르산으로 나타났으며 구연산 함량은 전체 유기산 함량의 60% 이상 수준이었다. 또한 주요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rhamnose 및 sucrose로 나타났으며 glucose 함량은 전체 유리당 함량에 65% 이상 검출되어 당도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동지역에서 제조되고 있는 매실 당절임 제품 13종의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가 우수한 5종의 제품 중 2, 10 및 11번은 하동지역에서 재배되는 품종을 알 수 없는 재래종이었고 12번 제품은 남고(南高), 13번 제품은 백가하(百加賀) 품종으로 제조된 것이었다. 또한 매실 과육과 자당의 배합비율은 5.5 : 4.5로 제조된 13번 제품을 제외하고 4종의 제품에서 동일한 비율로 제조하였으며 7개월 이상 저온에서 숙성시킨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하동지역에서 주로 생산되고 지역적 상품화가 될 수 있는 매실 당절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백가하 품종으로 과육과 자당을 5.5 : 4.5 비율로 배합하여 $5^{\circ}C$의 저온에서 약 7개월 이상 숙성시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합 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Three Dietary Growth Hormones on Growth Performance and Lysozyme Activity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Lee, Seung-Hyung;Yoo, Gwang-Yeol;Park, Gun-Jun;Kim, Young-Chul;Lee, Jun-Ho;Bai, Sung-Chul C.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1권4호
    • /
    • pp.183-189
    • /
    • 2008
  • In this study,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 dietary growth hormones, administered in various amount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lysozyme activity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ree dietary growth hormones,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rHGH),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A (rBST A) and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B (rBST B) were tested at three different supplemental levels (10, 20 or 40 mg/kg body weight per week) by a $3{\times}3$ factorial design and a complete randomized design in comparison to a control group. Fish were fed one of the ten experimental diets (control, $rHGH_{10}$, $rHGH_{20}$, $rHGH_{40}$, rBST $A_{10}$, rBST $A_{20}$, rBST $A_{40}$, rBST $B_{10}$, rBST $B_{20}$ and rBST $B_{40}$) for 6 weeks and afterward were analyzed for growth performance by measuring weight gain (WG), feed efficiency (FE),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Based on the factorial design analysis, fish fed rHGH die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performance than fish fed rBST A or rBST B die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G, FE, SGR and PER between fish fed rBST A and rBST B diets. Neither hormone level n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ifferent hormones and their various leve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G, FE, SGR, PER, lysozyme activity or whole-body proximate composition. A complete randomized design analysis confirmed fish fed $rHGH_{10}$, $rHGH_{20}$, $rHGH_{40}$, rBST $A_{10}$, rBST $A_{20}$, rBST $A_{40}$, rBST $B_{20}$ and rBST $B_{40}$ diets for 6 weeks showed higher WG than fish fed the control diet (P<0.05). A higher FE was observed in fish fed $rHGH_{10}$, $rHGH_{20}$, $rHGH_{40}$, rBST $A_{20}$ and rBST $A_{40}$ diets in comparison to fish fed the control diet. Fish fed all graded rHGH, rBST A and rBST B supplemented diets showed a higher SGR than fish fed the control diet. Regarding PER, fish fed $rHGH_{10}$, $rHGH_{20}$, $rHGH_{40}$, rBST $A_{10}$, rBST $A_{20}$, rBST $A_{40}$ and rBST $B_{20}$ diets were higher than fish fed the control diet. Furthermore, the lysozyme activity of fish fed a diet of $rHGH_{2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any other diet. The results measur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ish clearly suggest the biopotency of dietary rHGH could be higher than those of both dietary rBST A and rBST B. Further implied is the probability that within the range of 10 to 40 mg/kg BW/week the dietary growth hormones could accelerate growth performance, and that 20 mg rHGH/kg BW/week could possibly enhance lysozyme activity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신개발 인산칼슘계 근관 봉함재의 세포독성 및 유전독성에 관한 연구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of Newly Developed Calcium Phosphate-based Root Canal Sealers)

  • 김희정;백승호;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1호
    • /
    • pp.36-4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상용화된 근관 봉함재인 레진계 봉함재 (AH 26, AH Plus), 산화 아연 유지놀계 봉함재(Tubliseal EWT Pulp Canal Sealer EWT), 수산화 칼슘계 봉함재 (Sealapex), 기존의 인산삼칼슘계 봉함재(Sankin Apatite type I, II, III)와 새로이 개발된 인산칼슘계 근관 봉함재 (CAPSEAL I, CAPSEAL II)의 세포독성과 유전독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MTT test를 통해 세포독성을 평가하였으며 미생물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 (Ames test)으로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즉시군이 24시간군에 비해 MTT assay에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p<0.001). 2. 즉시군에서 CAPSEAL I과 CAPSEAL II는 AH 26, AH Plus, Tubliseal EWT Pulp Canal Sealer EWT, Sealapex와 SARCS II 보다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p<0.01). 3. 즉시군에서 AH 26은 TA98과 TA100에 각각 S9 fraction을 처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유전독성을 나타냈으며, AH Plus 또한 TA100에 S9 fraction을 처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유전독성을 나타냈다. 4. 즉시군에서 Tubliseal EWT, Pulp Canal Sealer EWT Sealapex가 TA100균주에 S9 fraction을 처리하였을 때 유전독성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그 외의 경우는 모두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5. 24시간군에서는 SARCS II가 TA98균주에서 S9 fraction처리했을 때와 처리하지 않았을 때 모두 유전독성이 나타났고, AH 26은 TA98에 S9 fraction을 처리하였을 때 유전독성이 나타났다 그 외의 경우는 모두 음성반응을 보였다. 6. CAPSEAL I과 CAPSEAL II는 유전독성에서 모두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7. CAPSEAL I과 CAPSEAL II 두 근관봉함재 간에는 세포독성실험과 유전독성실험에서 즉시군과 24시간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어 내장(內臟)젓 의 맛성분(成分) (The Taste Compounds in Fermented Entrails of Clupanodon Osdeckii)

  • 정승용;김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3-32
    • /
    • 1980
  • 젓갈은 전통(傳統)있는 수산발효식품(水産醱酵食品)으로서 옛부터 즐겨 먹어온 우리나라 고유(固有)의 기호식품(嗜好食品)으로 널리 애용(愛用)되고 있으나 이들에 관(關)한 상세(詳細)한 연구(硏究)는 많지 않다. 본(本) 연구(硏究)는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성분(成分)을 밝히기 위해 전어내장(內臟)젓 숙성(熟成)중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betaine, TMAO 및 TMA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다. 전어내장(內臟)젓 숙성(熟成)중 ATP, ADP, AMP 및 IMP는 감소(減少)하고 반면 hypoxanthine은 증가(增加)하여 숙성(熟成) 50일(日) 후에는 7.2u mole/g으로서 원료(原料)에 비(比)하여 2배(倍)나 증가(增加)하였다. 원료(原料)의 유리(遊離)아미노산조성(酸組成)을 보면 함량(含量)이 많은 것은 lysine, glutamic acid, valine, alanine, serine이며 함량(含量)이 적은 것은 arginine, phenyl-alanine, tyrosine이었고 cysteine 및 proline은 흔적량(痕迹量)에 불과(不過)하였다. 젓갈 숙성(熟成) 중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양적(量的)인 변화(變化)는 있었으나 조성(組成)에는 변화(變化)가 없었고 대부분(大部分) 원료(原料)에 많았던 lysine, valine,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이 젓갈중에도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엑스분질소(分窒素)에 대한 유리(遊離)아미노산질소(酸窒素)의 비율(比率)은 50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이 가장 높았다. betaine은 젓갈의 숙성(熟成)과 더불어 계속해서 증가(增加)하여 숙성(熟成) 50일(日) 후에는 14.5mg%로서 원료(原料)에 비(比)하여 약(約) 4.5배(倍) 증가(增加)하였다. TMAO는 성숙(成熟) 50일(日) 후에 17.1mg%, TMA는 56.0mg%였다.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성분(成分)으로서는 함량(含量)이 많은 lysine, valine, glutamic acid, leucine, methionine, serine, alanine, argin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과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로서는 hypoxanthine 등이 식염(食鹽)의 짠맛과 조합(組合)되어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에 중요(重要)한 구실을 할 것이라고 추정(推定)된다.

  • PDF

기능성 지질 추출 소재로서 Fish Frames의 지질성분 특성 (Lipid Characteristics of Fish Frame as a Functional Lipid Resource)

  • 김정균;한병욱;김혜숙;박찬호;정인권;최영준;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0-388
    • /
    • 2005
  • 수산가공 부산물인 fish frame을 기능성 지질 추출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6종의 fish frame(붉은메기, 연어. 삼치, 고등어, 붕장어, 가다랑어 등)에 대한 지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ish frame에 대한 어류 뼈의 수율은 가다랑어가 6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연어(57.9%), 붕장어(54.6%), 붉은 메기(42.0%), 삼치(41.7%)등의 순이었으며, 고등어가 32.6%로 가장 낮았다. 어류 뼈 유래 총 지질 중 중성 지질의 함량은 삼치가 23.3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붕장어 (21.5 g/100 g), 연어 (16.0 g/100 g), 고등어 (15.5 g/100 g)의 순이었으며, 가다랑어와 붉은 메기의 경우 다른 4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다. 붉은 메기를 제외한 5종 어류의 중성지질 모두가 근육 및 뼈 지방에 관계없이 TG가 주성분(근육지방, 71.9-83.2%; 뼈지방, 74.2-86.9%)이었고, 다음으로 근육지방의 경우, FFA(8.1-19.2%), 뼈지방의 경우 FS(5.5-l5.5%)이었다. 붉은 메기의 경우, 중성지질의 주성분인 TG의 조성비(근육지방, 48.6%; 뼈지방, 45.3%)가 다른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고, FFA의 조성비 또한 근육지방(41.6%) 및 뼈지방 (43.4%)에 관계없이 모두 5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높았다. 어류 뼈의 중성 지질의 EPA+DHA 조성은 연어 가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다랑어(27.1%), 붉은 메기(27.0%), 고등어(25.7%), 삼치(21.6%)의 순이었고, 붕장어의 경우 14.9%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수율, 중성지질 함량, 유리지방산 조성 및 EPA+DHA 조성 비율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기능성 지질 추출원으로는 연어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삼치, 붕장어, 고등어, 가다랑어 등의 순이었으며, 붉은 메기의 경우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죽방 마른멸치의 성분조성 및 품질 (Food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Dried Anchovies Caught by Pound Net)

  • 김종태;강수태;강정구;최동진;김석무;오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186-1192
    • /
    • 2003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조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고 있는 일반 마른 멸치와 지역특산품인 죽방멸치의 이화학적 식품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시판 마른 멸치의 수분 함량은 일반 마른 멸치가,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죽방멸치가 다소 많았으며,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일반 마른멸치가 다소 많았다. 한편, 지질의 산패는 TBA값으로 보아 죽방멸치가 약간 더 진행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마른 멸치 및 죽방멸치의 구성아미노산함량은 각각 41.g∼46.5 g/100 g 및 42.0∼49.2 g/100 g으로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 leucine, alanine 및 arginine 등이 주요 구성 아미노산이었으며, 양 시료 모두 중대멸이 소멸에 비해 구성아미노산들의 함량이 많았다. 일반 마른멸치와 죽방멸치의 지방질 조성에서 중성 및 극성지방질의 조성은 양자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체로 극성지방질의 조성비가 상당히 높았다. 각 지방질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14:0, 16:0, 16:1n-7, 18:1n-9, 20:5n-3 및 22:6n-3 등이었으며, n-3계열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일반 마른멸치가 높았다. 일반 마른멸치와 죽방멸치의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각각 953.7∼1,044.8 mg/100g 및 968.8∼ 1,306.4 mg/100 g이었으며, taurine, histidine, alanine, 1-methyl histidine, Lysine, glutamic acid및 glycine의 함량이 많았다. IMP 및 TMAO, creatinine등의 염기류는 죽방멸치 쪽의 함량이 약간 많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주요 정미 발현성분의 하나인 무기성분 함량은 소멸쪽이 중대멸에 비해 대체로 많았으며, 일반 마른멸치와 죽방멸치 간에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중대멸은 조직감을 제외한 맛, 외관 및 냄새에서 죽방멸치 쪽이 우수하였으나, 소멸의 경우에서는 양자간에 관능적인 차이가 거의 인지되지 않았다. 시판 마른멸치류의 품질은 이화학적 구성 성분의 함량 차이보다는 마른멸치의 외관, 맛, 냄새 등 관능적 면에서 결정되었다.

알대구의 식품성분(食品成分) (Food Components of Aldaegu(Salted and Dried Cod))

  • 이응호;안창범;차용준;황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2-187
    • /
    • 1985
  • 우리나라 전통수산가공식품(傳統水産加工食品)의 식품성분(食品成分)에 대한 자료를 얻은 목적으로 염건품(鹽乾品)의 일종인 알대구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및 무기질(無機質)등을 분석(分析)하였다. 알대구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28.3%였고 염도(鹽度)는 10.5%로서 일반염건품(一般鹽乾品)의 염도(鹽度)와 비슷하였다. 총유리아미노산함량(含量)은 814.9 mg%이었고 이중 tyrosine, alanine, histid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valine등이 전체의 45%를 차지하였다.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로는 inosine과 hypoxanthine만이 검출되었는데 hypoxanthine의 함량(含量)의 많았다. 알대구의 엑스분질소(分窒素)중에서 핵산관련물질질소(核酸關聯物質窒素), 유리아미노산질소(窒素), 암모니아질소(窒素), 총 creatinine질소(窒素) 및 betaine질소(窒素)가 전체의 78.6%를 차지하였는데 암모니아질소(窒素)가 특히 많아 36.0%나 차지하였다. 그리고 총지질(總脂質), 중성지질(中性脂質), 인지질(燐脂質)에서는 polyene산이 48% 정도로서 많은 양을 차지하였고, 탕지질(糖脂質)은 포화산이 39.8%로서 가장 많았으며, 양적(量的)으로 많은 지방산(脂肪酸)은 palmitic $acid(C_{16:0})$, stearic $acid(C_{18:0})$, oleic $acid(C_{18:1})$, docosahexaenoic $acid(C_{22:6})$, eicosapentaenoic $acid(C_{20:5})$, eicosatetraenoic $acid(C_{20:4})$ 등이었다. 알대구의 무기질(無機質)중 Na가 27, 430.24 ppm 으로서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Pb, Cd는 기준치 이하로 위생적(衛生的)으로 안전한 값이었다. 알대구의 풍미(風味)에는 유리아미노산, 암모니아, hypoxanthine, betaine, creatine 및 creatinine, 무기질(無機質)등이 서로 어울려 독특(獨特)한 맛과 냄새에 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 PDF

건어육(乾魚肉) 저장(貯藏)중의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 저하요인(低下要因) (Factors Influencing on the Drop of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in Dried Fish Meat)

  • 김상애;이강호;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5
    • /
    • 1986
  • 우리나라에서 건제품(乾製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갈치와 가자미의 건조(乾燥) 및 저장시(貯藏時) 일어나는 지질(脂質) 및 산화지질(酸化脂質)과 단백질(蛋白質)과의 반응(反應)이 이들 어육(魚肉)의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저하(低下)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수반되는 available lysine의 불용화(不溶化) 및 효소(酵素) 불소화성(不消化性) 물질(物質) 생성(生成) 정도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자미 및 갈치 생시료(生試料)의 소화율(消化率)은 87.63, 86.08%이었고, 일건(日乾), 열건시료(熱乾試料)는 건조(乾燥) 중 $1{\sim}2%$정도 저하(低下)되었으나 탈지시료(脫脂試料)는 각각 89.15, 87.15%로 증가하였다. 저장(貯藏) 중의 소화율(消化率)은 모든 시료(試料)에서 저하(低下)되었고 특히 갈치 열건시료(熱乾試料)는 78.00%로 심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TIS함량은 생시료(生試料)에서 가자미, 갈치가 각각 0.88, 0.96mg/g solid이었으며, 탈지시료(脫脂試料)는 건조(乾燥) 및 저장(貯藏) 중 TIS함량의 증가가 적었고 소화율(消化率)은 높게 나타났다. VBN 및 PoV는 저장 10일에 저장초기의 2배(倍)정도로 증가하였고, 저장 30일에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갈변물질(褐變物質)의 형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가자미 및 갈치 지질(脂質)의 주요(主要)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은 $C_{18:1},\;C_{16:0},\;C_{22:6}\;C_{16:1}$등이었으며 총불포화지방산(總不飽和脂肪酸)함량은 가자미 79.2%, 갈치 67.8%이었고 저장 중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이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vailable lysine은 갈치가 가자미보다 많았으며 저장 30일에는 저장초기량의 8.23%가 각각 손실되었다. 이상에서 수산단백식품(水産蛋白食品)은 건조(乾燥) 저장(貯藏) 중 산화지질(酸化脂質)과의 반응(反應)으로 단백질(蛋白質)의 양적(量的) 손실(損失)을 초래하였고, 비효소(非酵素)적 갈변(褐變), 지질일단백질(脂質一蛋白質)의 불용성(不溶性) 복합체(複合體) 형성(形成), available lysine의 불용화(不溶化), TIS의 생성(生成), 어육(魚肉)내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과 아미노산의 변화(變化)로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저하(低下)를 비롯하여 어육(魚肉)의 갈변(褐變), 풍미손상(風味損傷) 및 영양가손실(營養價損失)등의 어육(魚肉)의 품질저하(品質低下)를 초래하는 주요인(主要因)으로 분석되었다.

  • PDF

고강도 고함량 고로슬래그 혼합 시멘트 모르터의 수화 및 포졸란 반응에 미치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퓸의 영향 (Effects of Limestone Powder and Silica Fume on the Hydration and Pozzolanic Reaction of High-Strength High-Volume GGBFS Blended Cement Mortars)

  • 정지용;장승엽;최영철;정상화;김성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27-136
    • /
    • 2015
  • 본 연구는 고강도 고함량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퓸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50%에서 최대 80%까지 고로슬래그를 다량 혼합하고, 석회석 미분말을 최대 20%, 실리카퓸을 최대 10%까지 혼합한 물-결합재비 20%의 고강도 시멘트 모르터의 유동성, 강도발현, 수화 및 포졸란 반응 특성, 공극율 및 공극 크기 분포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고함량 고로슬래그 배합은 포틀랜드 시멘트 배합에 비해 고로슬래그의 낮은 표면 마찰로 유동성이 크게 향상되고, 시멘트 수화에 필요한 자유수가 많아져 수화반응이 촉진되면서 초기강도가 증가하나, 너무 낮은 물-결합재비와 단위시멘트량으로 인해 수산화칼슘의 생성량이 부족하여 포졸란 반응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함에 따라 장기강도 발현이 억제된다. 석회석 미분말은 유동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역시 시멘트의 초기 수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화를 가속하는 효과는 고로슬래그보다 높지 않고, 고로슬래그와 달리 수경성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석회석 미분말의 치환율이 높아질수록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분말의 고로슬래그를 사용하거나, 또는 실리카퓸으로 고로슬래그를 치환하는 경우 시멘트 수화에 필요한 자유수를 더 많이 흡착함으로써 유동성과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배합의 공극율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배합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석회석 미분말은 공극율에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실리카퓸은 낮은 시멘트 수화도로 인해 공극율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극 크기 분포에 있어서는 고로슬래그와 실리카퓸를 혼합한 경우 미세공극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