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목생장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morphopallus Paeoniifolius in Greenhouse Environment: Leaf Cycle (인공환경 생육조건에서의 Amorphopallus paeoniifolius: Leaf Cycle)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8-48
    • /
    • 2019
  •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는 영명으로 Elephant yam 또는 Whitespot giant arum 으로 불리는 천남성과(Araceae) 식물로 동아시아, 뉴기니, 오세아니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숲의 가장자리 또는 2차림에서 발견 된다. 다년생 식물로 덩이줄기는 어두운 갈색의 둥근모양으로 직경 20~25 cm로 자라고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달린다. IUCN 적색목록(Red List)에 관심대상 종(LC: Least Concern)에 속하는 식물이다. 현지인들은 마(Dioscorea Polystachya Turcz.)처럼 채소로 먹기도 하며 약용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복부장애, 소화불량, 천식, 기관지염, 빈혈 등에 약효가 있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은 $25^{\circ}C{\sim}35^{\circ}C$, 연강수량 1,000~1,500 mm에서 잘 자란다. 가운데 눈이 올라오면서 생장을 시작하고 며칠이 지나서야 잎 또는 꽃으로 자라는지 알 수 있다. 잎의 생육주기는 잎눈이 생장을 시작하면 잎자루 끝에 소엽과 소잎자루가 접힌 채로 올라온다. 소엽들이 펴지면서 완전한 모습을 갖추는데 30일 이상의 생장기간을 갖는다. 잎의 형태는 우상복엽(pinnate compound leaf)으로 우산처럼 보이는 잎 하나로 광합성을 한다. 잎은 최대 높이 2.5~3 m, 너비 3 m까지 자라며, 잎자루의 색은 녹색과 청색으로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 인공환경 조건에서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생활사 중 잎의 주기를 연구하기 위해서 광, 온도 등의 지상부 환경은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자생지와 유사하게 조성하였고, 지하부 환경은 인공 배합토를 사용하여 조성하였다. 평균온도는 $25{\sim}28^{\circ}C$, 겨울철 최저 $16^{\circ}C$, 여름철 최고 $33^{\circ}C$를 유지 관리 하였다. 자동 환경제어시스템으로 온도 및 환기를 유지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수동제어 관리를 병행하여 조절하였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는 잎을 먼저 생성하고 광합성으로 생산된 영양물질을 덩이뿌리에 저장을 하고 그 영양물질을 이용하여 꽃을 피우는 생육 특성을 지닌다. 실험에 사용된 공시 식물은 2018년 12월 미얀마에서 생체(덩이줄기) 형태로 도입되었다. 화분에 식재 후 약 5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잎의 생장이 시작되었다. 2019년 7월 29일 기준으로 높이 80 cm, 너비 60 cm의 크기로 성장하였으며, 생육환경에 따라 3~5개월 뒤 잎이 지고 나면 다시 덩이줄기로 되돌아갈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식물에 알려진 정보는 인공환경에서의 연구가 아닌 자연환경에서의 연구결과이기 때문에 인공적인 온실 환경에서 자란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는 잎의 주기는 더 오래 갈 수도 있으며 꽃의 주기 또한 느리거나 빠를 수 있다. 잎의 생장주기(Leaf Cycle)시 잎자루가 낮과 밤의 방향을 달리 하여 자라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광합성을 위해서 잎자루의 방향을 햇빛 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판단된다. Amorphophallus paeoniifolius를 실내 조경 식물 또는 식 약용의 소재식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꽃의 생장주기 등 추가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Planting Improvement and Original Landscape of Gyeonghoeru Area in Gyongbokkung Palace (경복궁 경회루 권역의 식생경관원형과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Choong-sik;Jeong, Seul-k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6
    • /
    • pp.17-25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optimum height of trees, estimating a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ree growth for the landscape improvement of the Gyeonghoeru area. For the verification of measures for management, this study conducted a photographic survey of the Gyeonghoeru area and used the Pressler's formula to examine the growth rate of the pine forest of Manse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field survey and landscape analysis, trees in the Gyeonghoeru area are large ones with more than a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30cm, except for weeping cherry trees and persimmon trees, an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m or replace with small trees through the landscape of Mansesan, which screens the landscape and pruning the trees in the terraced flower garden in the north. Second, as a result of a measurement of the growth rate of trees, for 10 years on average, they grew up by 14% in source diameter and 5% in tree height 5% in south of Mansesan and by 7% in source diameter and 2.4% in tree height in the north of Mansesan. Furthermore, when a simulation was prepared based on the measured growth rate of trees, it was found out that 20 years later, on the landscape on the second floor of Gyeonghoeru, the pine forest of Mansesan would cut off the skyline of Mt. Inwang-san. Third, this study analyzed a landscape improvement simulation and proposed a plan for tree management to take a view of the landscape of the Gyeonghoeru area.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drew an efficient planting maintenance policy, considering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hoeru area.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Gibberellin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of Penthorum chinense Pursh.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종자 발아에 대한 온도와 Gibberellin처리의 영향)

  • Chi Hyeon Song;Mi Hyun Lee;Cho Hee Park;Sang Geun Kim;Beom Seok Oh;Min Woo Ahn;Yang Su Kim;Ki Seon Song;Chae Sun Na;Soon Young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4-34
    • /
    • 2020
  • 희귀식물(LC)인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는 '수택란', '차근채'로 불리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하천개수 및 습지매립 등으로 자생지가 파괴되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낙지다리의 종 보존 및 활용을 위하여 종자의 최적발아조건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종자는 2017년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수집되어 연구에 사용되기 전까지 건조 상태(15℃, 15% RH)로 시드뱅크(-20℃, 40% RH)에 저장하고 있었다. 종자의 최적발아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온과 변온 66조건에서 발아율과 최종발아율의 50%가 발아하는데 소요되는 일 수(T50)를 조사하였으며, 생리적 휴면 타파를 위해서 GA3(20~1000 mg·L-1) 처리 후 발아율과 T50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GA3 처리에 따른 유묘 생장에 대한 GA3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자 치상 30일 후 유근·아 생장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낙지다리 종자는 항온보다 변온에서 발아율 증가와 T50 감소를 보였다. 특히 낮/밤의 온도 차가 11~25℃일 때, 85%이상의 발아율을 보였고, 그 이상의 온도차이가 나면 발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50은 온도차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발아가 균일하며 빨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GA3 처리시 생리적 휴면 타파가 진행되어 발아율(79.8%~100%)과 발아속도가 증가(T50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나, GA3 100mg·L-1 이상의 농도에서는 무처리(21.2m)에 비하여 유근의 길이 생장을 0.11~6.88mm로 지연시켰다.

  • PDF

Analysi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Trees in Apartment Complex -Focusing on Metropalace Complex, Daegu Metropolitan City- (아파트 단지 내 조경수목의 생장특성 분석 -대구광역시 메트로팔레스단지를 대상으로-)

  • Jung, Mun Hwa;Jung, Sung Gwan;Choi, Chul Hyun;Shin, Jae Yun;You, Ju 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1
    • /
    • pp.35-4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improving the method of landscape planting in apartment complex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growth ratio by type and ground planted in landscape tre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survival ratio of tree, Pinus densiflora was the highest and Abies koreana was the lowest in evergreen tree. In case of deciduous tree, the species of the highest survival ratio were Diospyros kaki, Zelkova serrata, Prunus mume, Lagerstroemia indica and Ginkgo biloba. There showed that Sorbus commixta and Chaenomeles sinensis had the lowest survial ratio. In case of tree growth by types, Pinus strobus was the highest and Pinus densiflora var. globosa was the lowest among evergreen trees. Among deciduous trees, the growth ratio of Zelkova serrata was the highest, and the trees showed the lowest growth were Lagerstroemia indica, Magnolia denudata and Cornus officinalis. Pinus strobus, Cornus kousa, Ginkgo biloba, Chionanthus retusa and Acer palmatum were good growth in natural ground, and Zelkova serrata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were good in artificial ground. In the future, if you study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hrubs that are excluded from the study of landscape trees in various locations are expected to derive objective data.

수형관리 - 어린나무의 성장단계별 전정기술

  • Gwon, Yeong-Hyu
    • Landscaping Tree
    • /
    • s.126
    • /
    • pp.51-56
    • /
    • 2012
  • 수목의 건전한 생육과 좋은 수형을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적절한 전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 1~2년 동안의 생장시기에는 모든 수목의 전정 방법이 거의 같지만 2년차 겨울부터는 수목 형태에 따른 차별화된 전정이 필요하다. 좋은 수형을 위해서는 이미 수형이 정돈된 어린 나무를 구입하여 이용해도 편리하나 아직 수형이 잡혀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적절한 전정을 한다면 원하는 수형으로 가꾸어 나갈 수 있다. 수목을 고르거나 어떻게 전정할지를 결정하기 전에 먼저 원하는 수형과 부지의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수목이 성장했을 때의 최대 높이와 너비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어린나무의 성장단계별 전정과 관목 및 생울타리 전정기술을 요약한 것이다.

  • PDF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s around Goosipo Beach, Gochang-Gun (고창 구시포 해안 곰솔림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Chong-Min;Kim, Seong-Won;Park, Seong-Ha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4
    • /
    • pp.365-375
    • /
    • 2009
  •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windbreak forest around Goosipo Beach, Sangha-Myon, Gochang-Gun, Jeollabuk-Do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oil in the site was light acid sand with pH 5.7, and the mean sodium concentration of soils was 1.42dS/m. The tree diameter, height, crown width, and shape ratio(Height/DBH) were better with tree density was coming lower. Especially, the rate of shape ratio under 60 was more in sites with low tree density. This demonstrated that the trees have grown more soundly when the tree density was lower. The direction of main winds and distribution ratio of tree inclination had a correlation. The inclined trees are seemed to be influenced by main winds when they were younger and by Typhoon partly. Eighty one vascular plant species were found in the sites, and more number of herbaceous plants (57 taxa) lived there than woody plants (24 taxa). And more plant species of dune were found at the site where dune have developed well. Some thinning works need at high tree density areas in order to ensure effects of coastal windbreak.

Effects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on Tree Growths in Central Korea (한반도 중부지역 수목생장에 미치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의 영향)

  • ;;;N. Pumijumnong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5 no.1
    • /
    • pp.53-61
    • /
    • 2001
  • To examine the effects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on the tree growths of central Korea, tree rings of Korean pine(Pinus koraiensis) ,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yew (Taxus cuspidata) were analyzed. Korean pine and red p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 and 7sites in Sorak Mountain ranges, respectively ; yew from one site in Sobaek Mountain. Correlations between ring-width and monthly temperature data showed generally positive relationships for the Korean pine and yew chronologies, but negative ones for the red pine chronologies.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ring-width and monthly S0 index data, only one Korean pine chronology at the lower Hangaerung valley site, and one red pine chronology at Baekdamjang shelter sit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 negative with April SOI for the former and positive with previous August-September SOI for the latter. The other chronologies at higher elevation sites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O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