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목건전도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8초

아황산가스가 조경수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ulfur Dioxide on the Growth of Ornamental Trees)

  • 김태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9-233
    • /
    • 1981
  •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하고 있는 도봉농장내에서 생육하고 있는 조경수목이 인근 공장의 연료연소시 발생되는 $SO_2$ gas에 의해 피해를 입어 고사된 것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해수종별 엽내유황함량을 분석한 결과 피해가 심할수록 전유황함량이 증가하는 각수종에서 나타났다. 농장서쪽 경계선에서 $70\~120m$ 거리가 피해가 가장 심하였고, 여기서 전유황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전유황함량의 최대치가 $0.5\~0.6\%$인데, 이러한 피해가 발생된 것은 급성적인 피해가 기온의 차이가 큰것에 기인된다. 2. 향나무에서 동일개체내의 건전부위와 피해부위의 전유황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엽조직의 해부학적 조사에서 피해엽은 공통적으로 갯솜조직과 표피세포의 원형질분리가 일어나 수축 파괴가 일어났고, 또한 세포간극과 기공주변이 넓어진다.

  • PDF

도시지역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식재박스형 침투시설의 개발 (Development of infiltration facility by utilizing tree box for urban storm water runoff reduction)

  • 주진걸;조혜진;이유화;김이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30-5336
    • /
    • 2011
  • 우수유출저감과 건전한 도시 물순환 환경의 구축을 위하여 다양한 침투시설들의 개발 및 적용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 가로수목공간으로 사용되는 식재박스를 활용하여, 우수유출의 저감, 도시내 물순환 체계 개선 및 친환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침투시설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설은 작은 규모로도 설치할 수 있어 광로, 대로, 중로, 소로 및 보행도로나 좁은 공간의 구분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기존 도시 및 신도시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개발된 기술을 4차로에 적용할 경우 식수대의 설치간격을 6m미만으로 유지한다면, 98%의 호우사상에 대하여 우수의 유출을 65% 이상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로수목공간 조성기술 적용을 통하여, 우수유출 저감에 따른 치수효과와 더불어 녹색도시의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팔공산자연공원에서의 등산로 및 야영장 이용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Use Impacts of Trail and Campsite on Natural Environments in Mt. Palgong Natural Park)

  • 권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34
    • /
    • 1990
  • 팔공산자연공원 동화사지구의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실태와 그 주변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최대깊이, 등산로물매 및 노면의 토양경도는 이용강도가 높은 바위골등산로가 수수골보다 컸으나 나지노출폭에서만 이용강도의 영향이 인정되어다. 2. 등산로의 훼손형태는 암석노출 42%, 종침식 20% 및 뿌리노출 18% 등의 순으로 토양침식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었으며, 건전한 지점은 33%이었다. 3. 등산로경계부에서 임내로 갈수록 토양경도는 데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토양 pH, 토양함수량 및 유기물 함량 등은 변화경향이 일정하지 않았다. 팔공산 자연공원의 등산로주변 토양환경에 대한 이용영향이 아직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다. 4. 등산로 주변의 식생구조의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이용형태에 따라 경향을 구분할 수 있었으나, 인위적 간섭이 뚜렷한 조사지에서 종수, 개체수 및 종다양도 등은 영향범위의 파악에 유의한 인자였다. 특히 이용이 통제된 수수골에서는 식생구조가 회복되는 곳도 있었다. 5. 바위골야영장이 수수골야영장보다 파괴정도가 심했고 피해도 3등급 이상의 비율도 각각 91.8%, 44.5%였다. 야영장내 수목훼손형태는 뿌리노출 63%, 수간상처 43% 및 가지손상 30%의 순이었고 훼손목의 거리별 출현빈도는 이용객의 영향범위 파악에 유의한 기준이었다. 6. 생장량비교조사에서 야영장내 수목생장은 비야영장에 비해 적었고 5년전에 비해서도 현재의 생장이 떨어지고 있었다. 7. 야영장주변에서 식생환경에 대한 이용간섭의 범위가 토양환경에 비해 넓었고 이용에 따른 종구성의 이질화가 매우 심하였다. 야영장으로부터 잠재적 영향을 포함한 이용간섭의 영향범위는 바위골 야영장에서 70∼90m, 수수골 야영장에서 20∼30m이었다. 8. 야영장주변에서의 인위적 간섭에 대한 내성수종은 조록싸리, 개옻나무, 산딸기, 노박덩굴, 단풍나무 등으로 파악되었다.

  • PDF

안전계통의 이용불능도 및 최적시험주기에 미치는 인간실수의 영향 (Effects of Human Error on the Optimal Test Internal and Unavailability of the Safety System)

  • Chung, Dae-Wook;Koo, Bon-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74-182
    • /
    • 1991
  • 안전계통의 이용불능도 및 최적시험주기 평가에 있어서 주기적인 시험과 관련된 인간실수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시험 및 보수와 관련된 인간실수는 건전한 계통이 시험 후 잘못된 상태에 놓이게 될 가능성과(Type A인간실수)건전하지 못한 계통이 시험시 감지되지 못할 가능성(Type B인간실수)이다. 계통이용불능도 및 최적시험주기에 미치는 인간실수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안전계통의 이용불능도를 계산하기 위한 사상수목모델이 개발되었다. 또한 안전주입계통의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계통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민감도 분석 결과, (1) 계통이용불능도는 인간실수의 확률이 커질수록 증가하며 Type A인간실수의 영향이 훨씬 크다. (2) 최적시험주기 는 Type A 인간실수가 커 질수록 약간 증가하나, Type B 인간실수가 커 질수록 감소한다. (3) 안전주입펌프의 시험주기를 고정시키면 안전주입계통의 이용불능도는 Type A인간실수가 커질수록 크게 증가하나 Type B 인간실수가 커지더라도 약간 증가한다. 따라서 인간실수의 영향을 고려 할 때 계통의 이용불능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험주기(최적시험주기가 아님 )를 줄여야 한다. 그리고 시험 및 보수시 Type A 인간실수는 계통의 이용불능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특히 TyPe A 인간실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PDF

Berberine Sulphate를 이용(利用)한 형광현미경기법(螢光顯微鏡技法)에 의(依)한 수목(樹木)마이코플라스마검정(檢定) (Detection of Mycoplasma-like Organisms in Some Tre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Berberine Sulphate)

  • 박원철;라용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32-236
    • /
    • 1991
  • 형광색소(螢光色素) berberine sulphate의 DNA 및 RNA-결합성질(結合性質)을 이용(利用)한 형광현미경기법(螢光顯微鏡技法)의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like organism ; MLO) 감염진단(感染診斷)에 대(對)한 효용가치(效用價値)를 조사(調査)하였다. 이병(罹病) 대추나무, 오동나무, 뽕나무 및 일일초(日日草)의 조직절편(組織切片)을 berberine sulphate로 염색(染色)하여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던 바, 사부조직(篩部組織)에서 MLO-특이형광반응(特異螢光反應)이 나타났으나, 건전조직(健全組織)의 사부(篩部)에서는 특이형광(特異螢光)이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berberine sulphate의 조직염색법(組織染色法)은 목본(木本) 및 초본식물(草本植物)의 MLO감염(感染)을 정확(正確)하게 진단(診斷)하는데 매우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임을 보여 주었으며, 사용(使用)이 간단(簡單)하고 비용(費用)이 저렴(低廉)하므로 대량(大量)의 시료(試料)에 대한 신속(迅速)한 검정(檢定)에 이용(利用)될 가능성(可能性)을 보여 주었다.

  • PDF

소나무를 가해(加害)하는 천공성해충(穿孔性害蟲)에 관(關)한 연구(硏究) (Boring Insects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in Korea)

  • 이찬용;이상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09-617
    • /
    • 2000
  • 강원도 춘천 홍천의 소나무 건전림과 평창 정선의 솔잎혹파리 피해지역(충영형성율 70%) 임내에 식이목을 설치하고, 1999년 4월부터 8월까지 천공성해충의 분포 및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총 12과 35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가운데는 한국미기록종 5종과 천적 2과 5종이 채집되었다. 천공성해충의 종에 따른 수목의 가해선호부위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의 수간하부에는 왕바구미(Siphalinus gigas)외 3종, 수간중부에는 깨다시수염하늘소(Monachamus sutor)외 7종, 수간상부에는 이비나무좀(Orthotamicus suturalis)외 1종으로 가해부위에 따라 종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소나무줄나무좀(Hylurgops interstitialis)은 수간전체부위에서 조사되었다. 천공성해충의 가해습성은 가문비왕나무좀(Xyleborus validius) 및 하늘소과(Cerambycidae)는 변재부, 솔곰보바구미(Hybitelus haroldi) 왕바구미(Siphalinus gigas)는 심재부, 노랑무늬 솔바구미(Pissodes nitidius) 노랑점바구미(P. abscurus) 솔흰점박이바구미(Shirahoshizo insidiosus) 및 나무좀과(Scolytidae)는 인피부(靭皮部)를 가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가야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환경에 대한 이용영향 (Trail and Campground Deteriorations and Use Impact on their Natural Environment in Mt. Kaya National Park)

  • 권태호;오구균;정남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1-94
    • /
    • 1989
  • 가야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과 주변 자연환경에 대한 이용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989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및 최대 깊이는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고, 전체 51개 조사지 점에서 관찰된 훼손형태는 매우 다양하였으며, 훼손된 지점의 등간로 상태중 최대깊이와 등산로물매는 건전한 지점의 상태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주변 토양 및 식생인자의 변화경향을 이용영향의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었고 등산로주변부에 미치는 이용영향은 약 15m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야영장의 훼손은 심각하여 피해도 5등급의 비율이 약 36%이었고 3등급이상인 지역도 약 69%에 달하였다. 야영장에서의 이용활동이 수목의 직경생장을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구성의 이질화를 극심하게 진행시키고 있었다. 야영장의 이용강도의 차이나 이용영향의 범위를 파악하는데 적합한 토양 및 식생인자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용간섭의 영향범위는 약 50m이었다. 야영행위에 대한 내성수종은 물푸레나무, 개옻나무, 노린재나무, 국수나무 등이었다.

  • PDF

완도지역 붉가시나무의 개화특성과 종실생산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Acorn Production of Quercus auta Thunb. in Wando Island, Korea)

  • 박인협;김소담;박종원;채경석;김갑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6-330
    • /
    • 2014
  • 완도수목원내 백운로 상부의 붉가시나무림을 대상으로 붉가시나무의 개화특성과 종실생산을 조사하였다. 개화특성은 개화기인 5월에 평균 흉고직경급에 속하는 임목 중 개화가 충실한 임목 3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종실생산은 $20m{\times}25m$ 방형구 8개를 설정하고, 가로 1m, 세로 1m, 높이 1.5m의 종자트랩을 방형구당 3개씩 총 24개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암꽃의 모지당 잎과 화서의 수, 수꽃의 모지당 화서의 수는 수관 상, 중, 하부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수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임목당 암꽃 수는 5,025개이었으며, 수관 상, 중, 하부에 각각 60.3%, 28.4%, 11.3% 분포하고 있었다. 임목당 수꽃의 화서 수는 7,063개이었으며 수관 상, 중, 하부에 각각 51.6%, 26.5%, 21.9% 분포하고 있었다. 종자트랩 24개 전체의 종실생산량은 947립/$24m^2$이었으며, 건전, 충해, 부후, 쭉정이 종실의 구성비는 각각 11.0%, 61.9%, 25.1%, 2.0%이었다. 월별 전체 종실량은 8, 9, 10, 11, 12월에 각각 240립/$24m^2$, 632립/$24m^2$, 56립/$24m^2$, 17립/$24m^2$, 2립/$24m^2$이었다. 건전 종실이 없는 12월을 제외한 8, 9, 10, 11월에 낙하된 건전 종실의 평균 길이는 각각 15.5mm, 16.5mm, 20.9mm, 19.1mm, 평균 지름은 각각 11.1mm, 10.6mm, 13.8mm, 10.8mm, 평균 무게는 각각 0.84g, 0.66g, 1.87g, 1.36g이었다. 붉가시나무는 9월에 종실 낙하량이 가장 많으며, 종실의 크기와 무게는 10월에 낙하한 종실이 최대치를 보였다.

붉가시나무의 종실 생산량 및 형질특성 - 전라남도 완도, 진도, 해남을 중심으로 - (Acorn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Quercus acuta Thunb - Focused on Wando, Jindo and Haenam in Jeollanam-do, Korea -)

  • 김소담;박인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21-631
    • /
    • 2021
  • 전남지역의 완도, 진도, 해남을 대상으로 난대상록활엽수림 복원 시 붉가시나무 종실 공급과 묘목 양성에 대한 정보 필요성에 따라 붉가시나무의 종실 생산량 및 종실 형질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을 위해 표면적 1m2의 종자 트랩을 10개(완도 8개, 해남 1개, 진도 1개) 방형구에 방형구 당 3개씩 총 30개를 설치하였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8월에서 12월까지 매월 말 종자 트랩 내로 낙하한 종실을 수거하였으며, 낙하 종실을 수거해 건전, 충해, 부후, 쭉정이 등으로 구분 후 종실 생산량을 산정하였다. 건전 종실의 경우 각두를 제거한 종실의 길이, 지름, 무게 등 종실 형질을 측정하였다. 조사한 종실 생산량 및 종실 형질은 연별, 임분별, 월별, 처리구별 등을 연평균 값 비교분석을 위해 Duncan의 다중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각 방형구 내 종자 트랩 낙하 종실량은 2013년에 5~350립/3m2, 2014년에 17~551립/3m2, 2015년에 5~454립/3m2, 2016년에 14~705립/3m2로 방형구 간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방형구내 임목 밀도 등으로 인한 수광량의 유입차로 추정진다. 전체 연도별 종실 생산량을 ha당 산정한 결과 각각 2013년에 335,000립, 2014년에 932,000립, 2015년에 556,000립, 2016년에 1,037,000립이었으며, 2년을 주기로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종실 생산량 증감은 임분 간 동시성을 보여 붉가시나무는 임목 개체 간 결실 풍흉 및 결실 시기의 주기성이 뚜렷한 것으로 판단된다. 9월에 가장 많은 종실이 낙하하였으나 충해종실의 피해 또한 많은 것으로 나타나 종실의 조기 낙하를 방제한다면 결실 기간을 높여 충실 종실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별 연평균 종실 길이의 경우 유의성이 없었으며, 종실 지름과 종실 무게의 경우 해남 종실이 완도, 진도 종실에 비해 유의적으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월별 연평균 종실 형질은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11월의 연평균 종실 길이, 지름, 무게가 각각 19.72mm, 12.23mm, 1.64g으로 8월~11월 중 최대치를 보였다.

주요 가로수 묘목의 오존노출에 따른 대기오염내성지수 비교 (Air Pollution Tolerance Index (APTI) of Main Street Trees Following Ozone Exposure)

  • 조수빈;이형섭;이종규;박상희;김한동;곽명자;이금아;임예지;우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1호
    • /
    • pp.50-61
    • /
    • 2020
  • 가로수는 도시 생활에서 중요한 녹지의 한 부분이고 대기오염을 극복하기 위해서 건전한 생장을 하는 수종을 선정, 식재, 관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존은 수목에 활성산소를 만들어 생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생태적인 피해를 유발한다.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가로수종인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느티나무(Zelkova serrat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그리고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묘목을 오존에 노출하여 실험하였다. 2년생 묘목을 Phytotron에서 100 nL·L-1(ppb)의 농도로 약 4주간 실험하였다. 묘목이 생장하는 동안 오존에 대한 생화학적 반응 및 대기오염내성지수(APTI)를 비교하여 오존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였다. 아스코르브산 함량, 총 엽록소 함량, pH, 상대수분함량의 수치를 바탕으로 대기오염내성지수를 계산했을 때 왕벚나무와 느티나무는 오존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APTI의 변화가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이팝나무는 오존처리구에서 증가했으며 소나무는 다른 수종에 비해서 감소했다. 본 실험을 통해, APTI를 산출하는 요소에 대한 수종별 반응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종과 도시 내 대기 환경에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대기오염물질인 오존에 따른 도시 내 수종 선별에 대해서 예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