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면력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카페인 음료섭취와 학습 집중력, 수면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affeinated-Beverage Intake, Learning Concentration, and Sleep Quality)

  • 박진아;김진희;김나윤;김민지;김민지;김은지;김수정;박진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5-31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카페인 음료의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학습 집중력과 수면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한 달 평균 하루 2.45병의 카페인 음료를 섭취하고 있었고 잠을 쫓기 위한 섭취 이유가 집중력이나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보다 수면의 질이 더 낮았고, 하루 2병을 섭취하는 경우가 하루 1병을 섭취하는 경우보다 수면의 질이 더 낮았다. 수면의 질은 카페인 섭취 이유, 학습 집중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잠을 쫓기 위한 카페인 음료 섭취 및 하루 2병 이상의 카페인 음료 섭취는 수면의 질을 저하 시키므로 카페인 음료 섭취를 자제하고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여 학습 집중력의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수면부족 및 자기통제력 융합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Sleep Deprivation and Self-control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황지민;이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7-55
    • /
    • 2022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수면부족을 파악하여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충청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치위생과 대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은 높게, 자기통제력은 낮게 나타났고,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에 만족할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은 낮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과의존과 수면부족은 양의 상관관계를, 스마트폰 과의존과 자기통제력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부족과 자기통제력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마트폰 과의존의 하위영역인 문제적 결과와 수면부족이 자기 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면문제와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수면 관련 요인에 대한 융합 연구 : 스마트폰 의존을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the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Dependence of Smartphone-)

  • 한숙정;천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65-476
    • /
    • 2019
  • 본 연구는 Spielman의 3P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의 수면과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한 융합 연구이다. 대상자는 시험을 1~2주 앞둔 대학생 및 대학원생 191명이며, 수면의 질과 관련 변수로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시험 불안, 스마트폰 의존 정도, 주간 졸림증을 고려하였다. 좋은 수면군과 나쁜 수면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 수면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Chi-square test, t-test를 이용하였고, 수면의 질과 일반적 특성 및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시험 불안, 스마트 의존 정도, 주간 졸음증과의 상관관계 파악을 위해 Pearson's coefficient correlation 분석을 사용하였다. 수면을 방해하는 촉발요인으로 스트레스와 시험불안, 그리고 수면 장애를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스마트폰 의존, 수면 관련 요인인 주간 졸림증이 수면의 질과 관련요인으로 나타났고, 생물심리학적 영역인 유발요인으로써 자기통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대학생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인 스트레스 및 시험 불안, 그리고 수면장애를 지속시키는 스마트폰 의존과 같은 정신 건강의 개선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수면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 생각된다.

전수면박탈이 시각변별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Sleep Deprivation on Visual Discrimination)

  • 이헌정;양재원;이분희;함병주;서광윤;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2호
    • /
    • pp.122-126
    • /
    • 2002
  • 목 적 : 본 연구는 37시간의 수면박탈이 정상인의 시각변별력에 미치는 영향을 Cybernetic Flicker Fusion Analyzer(FLIMK)를 사용하여 평가를 하고자 하였으며, 이런 수면박탈의 시각변별력에의 영향이 졸음, 피로, 불안 및 기분상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방 법 : 26명의 대상(남:녀=20:6, $24.50{\pm}1.45$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37시간 동안 감시하에서 수면박탈이 시행되었다. 이틀간의 실험기간 동안 아침, 저녁에 한 차례씩 총 4회에 걸쳐 FLIMK와 졸음, 피로, 불안, 기분상태에 대한 자가보고 척도를 시행하였다. 결 과 : FLIMK 검사결과, 융합주파수는 37시간의 수면 박탈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융합주파수에 이르는 검사회수(반응회수)도 수면박탈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융합주파수의 감소는 졸음과 피로도의 증가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5), 반응회수는 불안, 피로 및 부정적 정서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 본 연구는 37시간의 수면박탈이 시각변별력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을 보여주었다. 향후 수면박탈이 시각변별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수면이갈이 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후 교합력 및 동기능적교합분석: 예비 연구 (Changes of bite force and dynamic functional occlusion analysis after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in sleep bruxism patients: a pilot study)

  • 김재연;최이슬;송율빈;박원서;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4호
    • /
    • pp.204-212
    • /
    • 2022
  • 목적: 수면이갈이 환자에서 한달 간 수면 시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하였을 때 교합력과 교합 접촉 면적 및 동기능적교합분석의 변화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21년 10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 외래에 방문한 수면이갈이 환자 30명 중 교합안정장치를 수면 중 착용하는 실험군(treatment; n = 15)과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대조군(control; n = 15)으로 구성하였다.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 장착 1개월 후에 교합력 검사와 동기능적교합분석(측방, 전후방 하악 운동 시 좌/우 힘의 균형, 평균 교합력, 최대 교합력, 최대 접촉 개수)을 진행하였다. 결과: 한달 간 수면 중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는 실험군과 교합안정장치를 착용하지 않는 대조군에서 교합력과 교합 접촉 면적은 차이가 없었으나 측방 및 전후방 운동에서 평균 교합력과 최대 교합력, 전후방 운동에서 최대 접촉 개수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관찰하였다. 결론: 교합안정장치가 측방, 전후방 운동을 하는 이갈이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으로 대단위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이중 맹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수면 양상 및 영향요인 (Sleep pattern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hospitalized elderly in long-term care hospital)

  • 장효열;김태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773-789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24시간 수면기록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일일 평균 수면시간은 10.7시간이었으며 낮 수면시간은 평균 3.9시간, 밤 수면시간은 평균 6.8시간 이었다. 총 수면규칙성은 71.7%였고, 낮 수면규칙성은 평균 58.1%, 밤 수면규칙성은 평균 80.5%였다.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병실 내 치매환자 유무로 10.3%의 설명력을 나타냈고, 수면 규칙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통증, 병실 내 치매환자 유무, 신체기능으로 16.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본 연구에서 확인된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청소년기 수면 부족과 시공간 기억력 저하 (Insufficient Sleep and Visuospatial Memory Decline during Adolescence)

  • 이창우;전세현;조성진;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1호
    • /
    • pp.16-22
    • /
    • 2019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에서 전산화 신경인지 검사를 이용하여 수면 부족과 시공간 기억력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방 법: 심각한 내외과적 질환이 없는 만 16세에서 만 18세 사이의 고등학생 103명(남자 26명, 여자 77명, 평균 연령 $17.11{\pm}0.50$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주중 총 수면 시간과 주말 총 수면 시간에 대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주간 졸음과 우울 증상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엡워스 졸음 척도와 벡 우울 척도를 자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시공간 기억을 평가하기 위해 캠브리지 신경정신검사 자동화 총집의 7개 하부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나이와 성별, 엡워스 졸음 척도, 벡 우울 척도를 보정한 상관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말 총 수면 시간이 길수록 지연 표본 대응(r = -0.312, p = 0.002)와 패턴 재인 기억의 즉각 회상(r = -0.225, p = 0.025)의 정답률이 낮았다. 주말 수면 보충 시간이 길수록 지연 표본 대응(r = -0.236, p = 0.018)과 패턴 재인 기억의 즉각 회상(r = -0.220, p = 0.029), 패턴 재인 기억의 지연 회상(r = -0.211, p = 0.036)의 정답률을 낮았다. 결 론: 주중 수면 부족를 반영하는 주말 수면 보충 시간이 길수록 시각 기억의 지연 회상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에 수면 부족이 심할수록 청소년의 시공간 기억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자유수면의 출렁임이 이동형 소방용수 저장탱크의 수직 벽면에 미치는 동수력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n Hydrodynamic Force Affecting the Vertical Wall of a Portable Water Storage Tank)

  • 박진수;소수현;장택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49-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이동형 소방용수 저장탱크 내의 소방용수의 낙하를 단순화하고 이 낙하에 따른 자유수면의 출렁임을 수치 해석하여 수직 벽면에 미치는 동수력을 계산하였다. 소방용수의 낙하에 따른 자유 수면의 출렁임을 수치해석하기 위해 Jang에 의해 개발된 분산관계 보존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자유 수면의 출렁임을 수치 해석하고자 소방용수의 낙하 높이, 낙하 위치 및 물기둥 폭 조건에 대해 계수 영향 해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산관계 보존 방법을 통한 소방용수 저장탱크 내의 자유 수면의 출렁임을 효과적으로 수치 해석할 수 있었고 소방용수 저장탱크의 동수력 영향을 예측하는 데에 적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 측정기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Meter)

  • 백정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393-394
    • /
    • 2014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수면 중 잦은 각성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졸음, 피로, 집중력 저하와 같은 주간 증상을 유발하게 되어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고혈압이나 부정맥 등과 같은 심각한 심폐질환 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코골이와 달리 수면 무호흡증은 본인이나 타인에 의한 정확한 관측이나 진단이 어려워 전문병원에 입원하여 수면다원검사를 통하여 진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밀하고 응답속도가 빠른 온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호흡주기를 측정함으로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진단하고 경보를 발생하는 휴대형 수면 무호흡 측정기의 설계 및 구현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수면의 질과 영향요인 (Quality of Sleep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 박민정;정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187-195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수면유형 및 건강생활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7년 4월 5일부터 6일까지 전북의 4개 대학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 하였고, SPSS WIN Version 24.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 수면의 질은 여학생(3.06점)이 남학생(2.70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에 있어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적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 및 운동 여부 이었고, 이들 변수의 수면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25.4% 이었다. 여학생에 있어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적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 및 음주 여부이었고 이들 변수의 수면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39.2% 이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 상담 등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