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리 특성

Search Result 2,5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시추자료와 순간충격시험의 관련성에 의한 금정산 화강암지역의 수리적 특성

  • 정재열;함세영;이병대;류상민;김광성;우윤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78-381
    • /
    • 2002
  • 금정산지역의 수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7개 지하수 공을 대상으로 순간충격시험(주입, 인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순간충격시험자료는 C-B-P법, Hvorslev법, Bouwer & Rice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서는 AQTESOLV(Version 3.01)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또한, 자료의 해석을 위해서 시추자료와 연관하여 해석하였으며, 이때 시추시 용출심도와 수리전도도와의 관련성 분석으로 dummy의 충격과 심도의 관련성을 고찰해 보았다. 순간충격시험 분석결과 얻어진 수리전도도는 7.69E-8 ~ 2.30E-5m/sec를 보인다.

  • PDF

Analysis of Effect on Stream Flow for Vegetated Dense (식생밀도가 하천흐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im, Che Man;Cho, Won ch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7-355
    • /
    • 2015
  • 최근 활발한 하천개발을 통하여 하안에는 많은 식생도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통상 하안에 자생하고 있는 조밀한 식생은 수리학적 저항이 증가되고 통수능이 감소되어 수위상승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리 해석 모형을 활용하여 중소규모 3개소의 하천을 대상으로 자연 상태와 조밀한 식생 분포에 해당하는 11가지 조도계수 모델조건을 적용하여 수리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하천별 전 구간에서 식생에 의하여 하천정비계획에서 분석된 수위보다 1.2~2.7m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하천별로 계획된 여유고 0.6~1.2m를 감안하면 계획홍수 이상의 강우가 발생될 경우 적절한 대책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하천변 식생이 활착되면 하천의 규모, 하상경사에 관계없이 수리학적 흐름 특성은 매우 민감하게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Hydrogeological Properties of Geological Elements in Geological Model around KURT (KURT 지역에서 지질모델 요소에 대한 수리지질특성)

  • Park, Kyung Woo;Kim, Kyung Su;Koh, Yong Kwon;Choi, Jong W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0 no.3
    • /
    • pp.199-208
    • /
    • 2012
  • To develop site characterization technologies for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research in KAERI, the geological and hydrogeological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1997. In 2006, the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was constructed to study a solute migration, a microbiology and an engineered barrier system as well as deeply to understand geological environments in in-situ condition. This study is performed as one of the site characterization works around KURT. Several investigations such as a lineament analysis, a borehole/tunnel survey, a geophyscial survey and logging in borehole, were used to construct the geological model. As a result, the geological model is constructed, which includes the lithological model and geo-structural model in this study. Moreover, from the results of the in-situ hydraulic tests, the hydrogeological properties of elements in geological model were evaluated.

계단형 낙차공의 수리모형 실험 및 수치모의 세굴 형상 비교 분석

  • Lee, Ji-Hun;Jo, Hun-Sik;Yeo, Chang-Geon;Lee,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2-142
    • /
    • 2011
  • 자연형 하천 복원 사업은 하천 복원 사업과 함께 친환경적 기능을 중시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계단형 낙차공의 평면형상의 곡선형 낙차공에서의 수리모형 실험과 수치모의를 통해 흐름 특성 및 형상을 검증하였다. 계단형 낙차공으로 수리모형 실험과 수치모의를 한 결과 복잡한 수공 구조물의 흐름 특성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수리모형과 수치모형은 동일한 SCALE과 실험조건으로 하였다. 계단형 낙차공은 우측에어도가 설치되어 있어 흐름이 우측으로 많이 편향 되어 세굴심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 이러한 세굴 특성은 실제 자연형 하천에 적용 되었을 경우 문제점을 야기 시킬 수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물받이공 산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in Four-Way Combining Manholes Using Fluent Model (Fluent 모형을 이용한 4방향 합류맨홀의 흐름특성 분석)

  • Kim, Chae Rin;Kim, Jung Soo;Han, Jung Suk;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60-360
    • /
    • 2016
  • 도시 배수 시스템에서 유입유량이 관거의 만관 상태를 초과하거나 하류 흐름 때문에 발생하는 역류의 영향을 받는다면, 관거 시설은 과부하(surcharge) 상태인 압력흐름이 된다. 중력흐름 상태에서 맨홀의 수두 손실은 일반적으로 무시되지만, 과부하 맨홀에서의 수두 손실은 중요하며, 우수 관거 시스템의 전체 손실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개의 맨홀을 가지는 도시 배수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한 사항이 된다. 따라서 관거 시설 내 맨홀에서의 수리적 에너지 손실에 대한 연구와 보다 구체적인 설치 기준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배수관거 시스템의 하류부에 설치되는 4방향 합류맨홀은 맨홀으로 유입되는 주 유입관과 측면 유입관의 유입흐름의 영향으로 맨홀 내의 유수교란에 의한 흐름특성이 복잡하므로 이에 따른 흐름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에너지 손실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우수 관거 시스템의 우수 배제 능력을 증가시켜 도심지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관거시설의 적정 설계 기준이 필요하며, 합리적인 설계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과부하 4방향 합류 맨홀 내에서의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실험의 물질적,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과부하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복잡한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3차원 유체거동의 특성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FLUENT 6.3 모형을 선택하였다. 합류맨홀 및 접합 관거의 기하 모형의 격자망은 수치해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맨홀과 연결관의 합류부분에서는 사면체 격자로 구성하고 합류부분을 제외한 구간에서는 6면체 격자로 구성하였으며, 각 격자의 면은 가능한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형태를 취하도록 하였다. 합류맨홀 모형의 벽면에는 No-Slip 경계조건을 부여하였으며, 유입부에는 속도 조건, 유출부와 맨홀의 자유수면 부분의 경계에서는 대기압 조건을 부여하였다. 수리모형 실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유입 관거의 유속 조건을 수리 모형실험의 조건과 동일하게 채택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의 적용 결과 맨홀 내에서의 유속변화, 수심변화 및 압력변화에 대해서는 수리모형 실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치모형에 의하여 산정된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값과 수리모형 실험에 의하여 산정된 손실계수 값이 유사하므로 우수 관거 시스템의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흐름 변화 및 손실계수 예측하는 데에 있어서 FLUENT 6.3 모형은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Gagokchon River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hannel Environment (가곡천 하도환경 변화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 Choi, Jong Ho;Jun, Kye Won;Yoon, Y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0-260
    • /
    • 2019
  • 해안과 만나는 하천의 하구부에서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연안토사의 이동과 유황에 따른 하천상류에서의 토사유입량에 의해 하구부가 빠르게 변화한다. 본 연구대상지인 가곡천은 유로연장이 짧고 경사가 급한 산지하천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집중호우시 토사가 하류로 빠르게 유입되어 일반하천에 비하여 하구부의 지형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가곡천 하구부는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호산해수욕장과 경관적 및 자연적 가치로 인해 보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하중도인 솔섬이 위치해 있다. 그러나 현재 솔섬 주변 하구부 인근의 일반산업단지 건설과 고향의 강 조성사업에 따른 하도환경의 변화로 하도를 유하하는 유수의 흐름 및 침퇴적 양상의 변화를 가져와 홍수의 원활한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현장조사 및 모니터링 결과 하구 지형변화로 인해 하도안정 유지관리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곡천 하구부의 하도환경 변화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및 하천형태학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하도안정을 파괴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가곡천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빈도별 홍수량, 기점홍수위를 경계조건으로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인 SRH-2D모형을 이용하여 하도환경 변화 전 후의 대상구간에 대해 수리특성 및 하상변동 양상을 모의하였다. 모의결과 하도환경 변화(홍수터 및 징검여울 등의 하천시설물 조성)에 따른 수리특성변동양상과 침 퇴적지점에 대한 변동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해안 하구부에 위피한 하천의 다양한 변화 해석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Stream Diversion in Small Stream (소하천에서 유로변경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 An, Sang-Jin;Jeon, Gye-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5
    • /
    • pp.561-566
    • /
    • 2001
  •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 for stream diversion reach by numerical model test. Through it we can provide the basis data in flood, and in grasping stream flow characteristics.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Seoknam stream were implemented by using computer model HEC-RAS(one-dimensional model) and RMA2(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As a result we became to known that RMA2 to simulate left, main channel, right in stream is more effective method in analysing flow in channel bends, steep slope, complex bed form effect stream flow characteristics, than HEC-RAS.

  • PDF

혼성방파제의 무공과 유공케이슨의 수리 및 파압특성

  • 오영민;박우선;전인식;서경덕;이달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130-134
    • /
    • 1992
  • 본 연구의 목표는 혼성방파제의 무공 및 유공 케이슨에 작용하는 파압분포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조사, 분석, 정리하고 실제로 이들에 대한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여 관측된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곡본승리 등 1982, 고교중웅 등 1983, Goda 1985, Takahashi 1991)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케이슨에 작용하는 파압은 물론 기타 수리현상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중략)

  • PDF

Effect of Joint Aperture Variation on Hydraulic Behavior of the 2-D DFN System (절리간극의 변화가 이차원 DFN 시스템의 수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Han, Jisu;Um, Jeong-Gi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6 no.4
    • /
    • pp.283-292
    • /
    • 2016
  • A computer program code was developed to estimate hydraulic behavior of the 2-D connected pipe network system, and implemen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joint aperture on hydraulic parameters of fractured rock masses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A total of 216 stochastic 2-D DFN(discrete fracture network) blocks of $20m{\times}20m$ were prepared using two joint sets with fixed input parameters of joint orientation, frequency and size distribution. Two different cases of joint aperture variation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hydraulic parameters were estimated for generated 2-D DFN blocks. The hydraulic anisotropy and the chance for equivalent continuum behavior of the DFN system were found to depend on the variability of joint aperture.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Surimi Manufactured by pH Adjustment during Freezing Storage (pH 조절법으로 제조한 닭가슴살 수리미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냉동변성방지제 첨가 효과)

  • Jin, Sang-Keun;Kim, Il-Suk;Choi, Yeung-Joon;Yang, Han-Sul;Park, Gu-Boo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7 no.3
    • /
    • pp.320-32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H adjustment and the addition of cryoprotecta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surimi. We prepared surimi from Alaska pollack, as a the control, by two time washing times and the addition of cryoprotectants. Different preparations of surimi were manufactured by adjusting to pH 11.0 and the addition of different addition cryoprotectants during frozen storage (T1 : 5% sorbitol and 0.3% polyphosphate, T2: 4% sugar, 5% sorbitol and 0.3% polyphosphate, and T3: 2% salt, 4% sugar, 5% sorbitol and 0.3% polyphosphate). The moisture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trol and T3 samples.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with storage times. The crude protein was higher in the control. The water-holding capacity, myofibrillar protein and shear for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3 than other surimi samples. All ge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and T3 than other surimi samples. pH 11.0 adjusted chicken breast surimi had greater lightness than the control, and T3 samples had the highest lightness and whiteness. Sensory evalu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and T3 than the other samples. The ge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T3 were similar to the control. T3 samples had superior color and pH than the control Alaska pollack suri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