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리지구화학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eo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Water Quality and Hydrogeochemistry of shallow Groundwater in the Uljin Area, Korea (지구통계 기법을 활용한 울진 지역 천부 지하수의 수질 및 수리지구화학 특성 해석)

  • 김남진;윤성택;김형수;정경문;김규범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2
    • /
    • pp.175-192
    • /
    • 2001
  • We have collected hydrogeochemical data of shallow groundwaters in the Uljin area located at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Geostatistical analysis (ANOVA test, clust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ets was pert'onned, in order to evaluate both the spatial and/or 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data and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as weJl as the principal reactions occurring in the aquifer. Results of the ANOVA test show that regional water chemistry are not significantly changed spatially in eight watersheds. However, some ions such as $Ca^{2+}$, $HCO_{3}^{-}$ and $SO_{4}^{2-}$ show a meaningful watershed variation. Water chemistry variation according to sampling time (season) is not shown, except for $SO_{4}^{2-}$. The cluster analysis shows that significant water chemistry variation is eXplained by the distance from the coast. Factor analysis indicates that the water chemistry is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as follows: in the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water-rock interaction (mainly, carbonate dissolution), sea-salt spraying, and then contamination by fertilizers and agrochemicals.

  • PDF

효율적인 지하수 수질 관리를 위한 수리지구화학 자료의 활용성 증대 방안 - 지하수 장해우려지역 조사연구 사례

  • Hong So-Yeong;Yun Seong-Taek;Choi Byeong-Yeong;Kim Gyeong-Ho;Kim Deok-Min;Mun Sang-Ho;An Gyeong-Hwan;Won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298-301
    • /
    • 2006
  • 지하수 장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지하수의 유동특성과 배경수질을 파악하기 위해 설치된 국가 지하수관측망에서는 지하수위, 전기전도도, 수온 항목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아울러 연 2회 생활용수 기준의 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들 측정항목의 시간적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해당 지하수계의 이상 징후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측정항목 만으로는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환경을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지하수 수질 장해가 인지되었을 경우 그 원인을 효과적으로 규명하기가 쉽지 않다. 지하수 수질 장해는 인위적인 오염 외에도 지질 조건과 관련한 자연적 과정에 의해서도 빈번히 일어난다. 지하수 수질 장해의 원인과 지하수의 수질 변화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측 항목에 추가하여 양/음이온 분석자료의 주기적 취득과 수리 지구화학적 해석이 필요하다. 금번 발표에서는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장기 관측 결과 지하수 수질 장해 우려지역으로 제안된 5개 지역의 수리지구화학 조사연구 사례를 소개한다. 관측망 관정 외에 주변 지역 지하수에 대한 양/음이온 분석을 수행하고 수리지구화학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수 수질장해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 PDF

포천지역 하천과 지하수의 환경동위원소 및 수리지구화학 연구: 질소계 오염물질의 기원과 거동에 관한 예비 해석 결과

  • Chae Su-Ho;Yun Seong-Taek;Kim Gyeong-Ho;Jeon Jong-Uk;Gwon Hae-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336-339
    • /
    • 2005
  • 포천지역의 포천천과 그 주변의 8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2003년 8월부터 2004년 8월까지 하천 8개 지점과 기존 지하수 관정 66개소를 선정하여 수리지구화학 및 환경동위원소 연구를 실시하였다. 복합적인 토지이용과 관련하여 연구지역 수계에서는 오염물질 유입이 광역적으로 인지되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지하수계로의 오염물질 유입이 강하게 나타나 인근 하천까지 영향을 줌이 확인되었다. 오염기원으로 해석되는 대표적인 무기이온종인 $NO_3,\;Cl,\;SO_4$의 존재비를 이용하여 연구 지역의 지표수와 충적 지하수를 크게 3개 수질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그룹들은 각각 특징적인 충진 특성과 용존 이온의 분포/거동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논문에서는 세 유형의 지표수/충적 지하수 외에 암반 지하수를 포함하여 연구지역 자연수의 수리지구화학 진화 경로와 오염물질의 유입 및 거동 양상에 대하여 토의한다.

  • PDF

Use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pproaches for Decoding Chemical Evolution of Groundwater near Underground Storage Caverns (다변량통계기법을 이용한 지하저장시설 주변의 지하수질 변동에 관한 연구)

  • Lee, Je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5 no.4
    • /
    • pp.225-236
    • /
    • 2014
  •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have been extensively applied to hydrochemical measurement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ata. This study examines anthropogenic factors obtained from applications of correspondence analysis (CA)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o a hydrogeochemical data set. The goal was to synthesize the hydrogeochemical information using these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by incorporating hydrogeochemical speciation results calculated by the program, commonly used, WATEQ4F included in the NETPATH. The selected case study was LPG underground storage caverns,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Korea. The highly alkaline groundwaters at this study area are an analogue for the repository system. High pH, speciation of Al and possible precipitation of calcite characterize these groundwaters. Available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were used to confirm these statistical model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hydrogeochemical attributes and establishing the changes of phase when two anthropogenic effects (i.e., disinfection activity and cement pore water) in the study area have been introduced. Comparisons made between two statistical results presented and the findings of previous investigations highlight the descriptive capabilities of PCA using calculated saturation index and CA as exploratory tools in hydrogeochemical research.

남해 서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해수침투에 대한 예비 고찰

  • 신광섭;윤성택;허철호;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258-261
    • /
    • 2002
  • 남해 서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해수 침투 영향을 광역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186개소의 지하수 시료를 random하게 채취하고 수리지구화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시료 중 23.6%에서 500$\mu\textrm{m}$/cm을 초과하는 높은 EC값을 나타내어 상당한 정도의 해수 영향을 반영해 주었다 또한, 해수 영향 판단의 또 다른 파라메터로 사용되는 Cl/HCO$_3$ 몰비 역시 전체 시료의 23%에서 1.3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대표적으로 해수침투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각각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Cl과 NO$_3$의 농도에 관한 누적도수분포도(cumulative frequency curve)를 작성하여 배경수질군과 오염영향군을 구분 짓는 배경치(background concentration)를 구한 결과, 각각 Cl : 22.4 mg/1 및 NO$_3$= 23.4 mg/1로 나타났다. 이 두 파라메터의 농도 분포를 활용하여 샘플링된 지하수 시료를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자연적 또는 인위적 기원이 오염이 배제된 그룹 1은 전체 시료의 32%, 자연적 오염(해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2는 전체의 15%,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3은 전체의 7%, 해수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을 동시에 반영하는 그룹 4는 전체의 46%로 나타났다 그룹 4 중 Piper diagram 상에서 Na-Cl 유형으로 점시되어 해수 영향을 강하게 반영하는 일부 시료와 그룹 2의 시료를 합쳐 보면, 전체 지하수 시료의 약 23%에서 해수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지구화학 방법에 의한 해수 영향 판단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지구화학적 파라메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연안 지역 해수침투의 효과적인 파악은 물론 예측 및 방지, 복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울시 암반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특성 : 공간적 변화 특성에 패한 예비 고찰

  • 유순영;윤성택;소칠섭;유인식;이평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0.11a
    • /
    • pp.237-240
    • /
    • 2000
  • 서울시 암반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오염 특성을 토지 이용 특성과 관련하여 시.공간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3년간에 걸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차년도 취득 자료에 대한 예비 고찰 결과를 소개한다. 서울시 암반 지하수의수질 유형은 Ca-HCO$_3$ 유형으로부터 Ca-Cl(-NO$_3$) 유형에 걸쳐 폭넓게 분포한다. 서울시 동부 지역 지하수의 경우, 중랑천을 중심으로 상류에서 하류 지역으로 가면서 용존고체함량(TDS)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K, Ca, Mg 등 주요 양이온과 Ba, Fe, Sr 등 미량원소도 유사한 공간적 분포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수질 항목은 대체적으로 지하수 유동에 수반된 수/암 반응의 증가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NO$_3$, Cl 등 음이온의 변화는 다소 불규칙하여 지역적인 토지이용 특성과 관련한 오염 요인의 기여를 반영한다. 한편, 도시 특성에 따라 서울시 암반 지하수의 수질특성을 전반적으로 고찰한 결과, 외곽의 비오염 지역에 비하여 중심부의 교통혼잡 지역, 남서부의 공단 지역, 서부와 남부의 농업 지역에서 뚜렷한 수질 저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Na, Cl, NO$_3$, SO$_4$, Ni, Pb, Se 등의 수질 항목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