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로 합류부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direct discharge estimation using K-River and Monte Carlo simulation at the Confluence of the Seomjin River and Yocheon (K-River와 Monte Carlo Simulation을 이용한 섬진강 요천 합류부의 간접유량 산정)

  • Kang, Han Sol;Kim, Yeon Su;Noh, Joon Woo;Byeon, Ji-Seon;An, Hyun 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13-113
    • /
    • 2022
  • 기후 변화에 따른 집중호우의 증가로 유례없는 홍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홍수 대비를 위한 수리구조물 설계 및 홍수 예측을 위해서는 기초자료인 유량 자료가 중요하며, 이는 Rating-curve를이용하여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를 기왕의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과 적용수위 이상에 대해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2020년 8월 섬진강에 발생한 홍수는 홍수량의 추정이 어려울 뿐 아니라 기존의 Rating curve를 활용하여 홍수량을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섬진강 하천정비기본계획(2021)에 따르면 섬진강 남원(신덕리) 관측소는 100년 빈도 홍수량이 7,470m3/s인 반면, 선형 보간을 통한 Rating curve 외삽 결과 약 23,000m3/s로 많은 차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삽의 불확실성과 직접 측량에 어려움이 있는 홍수기 유량 추정을 위해 수리학적 해석 방법을 이용한 간접유량 산정기법을 제시하였다.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사상을 재현하고, 이를 역으로 이용하여 관측 수위와 근접한 계산 결과를 보인 입력 자료로부터 대상 지역의 유량을 간접적으로 산정하였다. 상류단 유량자료의 생성을 위하여 Rating curve의 변수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을 생성하였고, K-River(1차원 수리해석 모형)를 이용하여 MCS(Monte Carlo Simulation)를 수행하였다. 계산된 수위와 관측 수위간 수위 재현성 평가(NSE, RSR)를 통해 최적 결과를 나타낸 Rating Curve의 변수들로부터 경계조건의 Rating Curve를 산정하였다.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 요천 합류부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 곡선식의 외삽에 따른 유량 자료의 수위 재현성과 비교하여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수자원 유량 자료의 신뢰도 개선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Water Quality after Rehabilitation of Cheonggye Stream using AGP Test (조류성장잠재력 조사를 이용한 청계천 복원 이후 수질 평가)

  • Park, Myung-Hwan;Hwang, Soon-Jin;Suh, Mi-Yeon;Kim, Yong-Jae;Kim, Baik-H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2
    • /
    • pp.234-243
    • /
    • 2007
  • Algal growth potential (AGP)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and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before and after a heavy rain event at six sampling sites in Cheonggye Stream (St. 1 and 2), Jungnang Stream (St. 3 and 4), and Lower part of Han River System (St. 5 and 6) after rehabilitation of Cheonggye Stream, October 2005. To test AGP on each sampling site,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was applied as a standard alga. Total nitrogen (TN) showed high values at Jungnang Stream, while St. 4 recorded highest values in this study. However, TN values of Cheonggye Stream and Lower Part of Han River showed similar levels. Total phosphate (TP) also showed high values at Jungnang Stream, while St. 4 recorded highest. However, TP in Cheonggye Stream were extremely low levels. Although chlorophyll-${\alpha}$ (chi-${\alpha}$) contents before the rain event were similar through the sampling sites, chl-${\alpha}$ after the rain increased dramatically at Jungnang Stream and Lower part of Ban River. In particular, after the rain, TP was the highest at St. 4, where Cyclotella sp. dominate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hen compared with control, AGP values before the rain were comparatively low in all sites, while those after the rain highly increased with the dose-dependently of field water added, due perhaps to the increased nutrients by rainfall.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Cheonggye Stream. Therefore, for the aesthetic fostering for the citizens, although Cheonggye Stream was Presently being sustained by treated water supply, they have a potential of outbreak of phytoplankton by the increased nutrients supply when a heavy rain comes.

Performance evaluation of hyperspectral bathymetry method for morphological mapping in a large river confluence (초분광수심법 기반 대하천 합류부 하상측정 성능 평가)

  • Kim, Dongsu;Seo, Youngcheol;You, Hojun;Gwon, Yeonghw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3
    • /
    • pp.195-210
    • /
    • 2023
  • Additional deposition and erosion in large rivers in South Korea have continued to occur toward morphological stabilization after massive dredging through the four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 subsequently requiring precise bathymetry monitoring. Hyperspectral bathymetry method has increasingly been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way to estimate bathymetry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in shallow depth for replacing classical intrusive direct measurement techniques.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ventional Optimal Band Ratio Analysis (OBRA) of hyperspectral bathymetry method,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in a domestic large river in normal turbid and flow condition. Maximum measurable depth was estimated by apply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produced during OBRA with cascadedly applying cut-off depth, where the consequent hyperspectral bathymetry map excluded the region over the derived maximum measurable depth. Also non-linearity was considered in building relation between optimal band and depth. We applied the method to the Nakdong and Hwang River confluence as a large river case and obtained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hyperspectal method showed acceptable performance in morphological mapping for shallow regions, where the maximum measurable depth was 2.5 m and 1.25 m in the Nakdong and Hwang river, respectively. Second, RMSE was more feasible to derive the maximum measurable depth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correlation coefficient whereby considering various scenario of excluding range of in situ depths for OBRA. Third, highly turbid region in Hwang River did not allow hyperspectral bathymetry mapping compared with the case of adjacent Nakdong River, where maximum measurable depth was down to half in Hwang River.

Purification Efficiency of Slop & Plane Water Treatment Part of SRT System Using Eco-Concrete (Eco-Concrete를 이용한 SRT System의 사면수처리부와 평면수처리부의 정화효율분석)

  • Jang, Won-Geun;Park, Jae-Young;Choi, I-Song;Chang, Jun-You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60-1864
    • /
    • 2006
  • 본 연구는 강우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와 합류식하수관거월류수에 의해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공법으로, 고수부지 및 제방사면부와 둔치부를 형상화하여 pilot를 제작하였고, 연속적으로 시운전을 한 SRTS(Stormwater Runoff Treatment System)에 관한 것이다. SRT system 내부의 사면수처리부와 평면수처리부에는 다공성 콘크리트를 충진하였다. system 상부에는 식생을 조성하여 뿌리가 수면에 닿아 영양물질을 흡수하는 목적으로 사면수처리부와 평면수처리부에 각각 정육각형과 직사각형인 식생포트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안하였다. 내부에서는 토양과 수처리조 사이에 연결관을 부착하였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토양이 수분을 흡수하도록 구성하였다. pilot plant는 유입부, 사면 수처리부, 평면 수처리부, 유출부로 나누었다. 유입부는 유입펌프와 V-notch로 구성하였고, 유입펌프는 2대를 설치하여 1시간 간격으로 연속적 유입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교대 운전을 하였다. 평면 수처리부$(W(1.0m){\times}(L(2.4m){\times}H(0.6m))$는 장방형의 접촉산화조로서 하부에 슬러지 침전 및 저류를 위한 hopper를 설치하여 슬러지의 원활한 수집 및 인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유출부는 사각weir를 설치하였다. 강우유출수의 pH는 $7.27{\sim}7.92$이고, DO농도는 $7.12{\sim}7.88mg/l$로 관측되었다. 2차처리수의 pH는 평균7.4이고 DO농도는 최저 4.5 mg/l에서 최고 8.9 mg/l로 평균 6.8 mg/l로 관측되었다. 또한 강우유출수의 유입수의 T-N, T-P 농도는 각각 $17.5{\sim}22.5mg/l,\;8.9{\sim}11.4mg/l$의 범위이고, 2차 처리수의 유입수의 T-N, T-P 농도와 유사하였다.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긴 분석기간의 주식가격정보에 의하여 최대한 발휘될 수 있음을 확인하

  • PDF

Hydrologic Cycle Simulation of Mokgam Watershed including CSOs (목감천 유역의 CSOs를 포함한 물순환 모의)

  • Lee, Kil-Sung;Hong, Won-Pyo;Chung, Eun-Sung;Kim, Ky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59-1463
    • /
    • 2007
  • 도시 유역의 하수관거는 대부분 합류식 하수관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하천의 물순환을 모의하기 위해 수량적인 측면이나 수질적인 측면에서 강우시의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즉, CSOs를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한 모의가 가능할 것이다. 목감천 유역은 중 상류 지역의 대부분은 농경 또는 임야로 이용되고 있지만, 하구부에는 밀집된 시가지가 전체유역 면적의 약 35.2 %인 $18.66\;km^2$를 형성하고 있고, 이중 대부분이 합류식 하수관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목감천 유역을 PCSWMM의 TRANSPORT 블럭내의 flow divider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성하여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의 연속유출모의를 실시하여 물순환 분석을 하였다. 결과를 보면 10년 평균 강수량은 1537.9 mm이며, 직접유출량 비율은 1,263.0 mm, 침투량은 335.7 mm, 증발량은 415.7 mm이다. 또한 10년 평균 상수량은 909.10 mm, 하수량은 736.3 mm(CSOs 355.0 mm), 하천유입하수량은 170.3 mm, 서남 및 역곡하수처리장 이송량은 211.0 mm이다. 부하량 결과를 살펴보면 발생부하량은 10,108,554 kg/year이며 배출부하량은 834,533 kg/year으로, 이는 곧 점오염원을 의미한다. 유역 총 배출량은 1,575,200 kg/year, 비점오염원은 740,667 kg/year, 하수처리장 이송부하량은 1,220,000 kg/year, 목감천 출구지점에서는 355,200 kg/year(CSOs 62,531 kg/year)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rasion of water level patterns and trends on the Namgang junction in the Nakdong River (낙동강 남강 합류부 수위 패턴 및 추세 비교)

  • Ahn, Jung Min;Yang, Duk-Seok;Lee, Injung;Jung, Kang Young;Shin,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9-24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의 진동과 적포교, 남강의 거룡강, 대산, 정암 수위표의 관측된 2015년부터 2016년 2년간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Self-Organizing Maps(SOM)과 LOcally WEighted Scatter plot Smoother(Lowess) 기법으로 패턴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SOM 분석 결과, 낙동강 본 류의 진동과 적포교, 남강의 거룡강, 대산은 동일한 패턴과 추세를 나타냈다. 수위의 범위도, SOM 분석에서 진동 최소 EL. 4.41m, 최대 EL. 5.01m 범위, 적포교 최소 EL. 4.56m, 최대 EL. 5.38m 범위, 거룡강 최소 EL. 4.53m, 최대 EL. 5.18m 범위, 대산 최소 EL. 4.57m, 최대 EL. 5.35m 범위로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거룡강과 대산 수위 관측지점은 낙동강 본류의 배수위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두 지점의 수위 관측 목적에 따라 상류로 지점 변경이 필요 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head loss coefficient formula at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square manhole with variation of inlet flow (유입유량 변화를 고려한 과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식 개발)

  • Jo, Jun Beom;Kim, Jung Soo;Yoon, Sei Eu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2
    • /
    • pp.877-887
    • /
    • 2017
  • The energy losses due to surcharged flow at four-way combining manhole, which is mainly installed in the downstream of urban sewer system, is the main cause of inundation in urban area.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manholes form various flow configuration such as straight through, T-type, and four-way manholes depending on variation of inflow discharge in inlet pip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change of energy loss and estimate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manhole with variation of inflow discharge ratio. The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can change inflow ratios were installed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at four-way combining manhole. In this study, to calculate the head loss coefficient according to change of the inflow discharge ratios at the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square manhole, the discharge conditions of 40 cases which the inflow ratios of each inlet pipe were changed by 10% interval was selected. The head loss coefficient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showed the lowest value of 0.40 at the straight manhole and the highest value of 1.58 at the $90^{\circ}$ junction manhole. In the combining manholes (T-type and four-way), the head loss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more higher as the lateral flow rate was biased. The contour map of head loss coefficient range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estimated head loss coefficients and the empirical formula of head loss coefficients was derived to consider the variation of inflow discharge ratios at the surcharged square manhole. The empirical formula c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and assessment of the urban drainage system.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and Size for Underground Sluiceway Design (지하방수로 설계를 위한 적정 위치선정 및 규모 결정에 관한 연구)

  • Lee, Jong-Tae;Lim, Taek-Sun;Hur, Sung-Chul;Park, S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5
    • /
    • pp.137-145
    • /
    • 2008
  • In this study, to reduce the flood damage caused by flood discharge exceeding project flood, the primary technology was applied to determining the optimal location and size for underground sluiceway. The Jungrang Stream was selected for this study because the stream was overflowed and the embankment section of the stream was destroyed owing to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in 1998 and 2001. Considering 200-year frequency storm, the inlets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ere located at Seoul City limits, the confluence of Danghyun Stream, Wolgye 1-gyo, and the confluence of Mukdong Stream. The outlets were located at the estuary of Jungrang Stream and rightbank of Banpo Bridge in Han River. The transverse discharg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overflow depth at the inlet of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as estimated and the effect of inundation reduction was analyzed. To examine the appropriate scale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the 8 operation methods for the management of outlet discharge were compared considering four rules (only storage, the constant discharge rate, the constant discharge volume, and the mixture of the constant discharge rate and discharge volume). As a result, the effect of inundation reduction was most significantly improved when the inlet was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Danghyun Stream. The appropriate size of underground sluiceway for 200-year frequency storm was studied, and as a result, the appropriate diameters of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ere 12 m in case of only storage(Rule D), 9m in 50% of discharge(Rule E), 8 m in constant discharge volume(Rule F), and 7 m in mixture method(Rule G). This investigation process can be applied to design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when the inundation damage is significant in coastal area due to embankment overflow. The underground discharge channel in Jungrang Stream can also be used as an underground road to link Seoul City to Uijeongbu City during dry season.

A Study on water quality change by the water depth in Namgang Dam Algal Growth Area (남강댐 조류 생장 구간의 수심에 따른 수질 변화에 관한 연구)

  • Lee, Ho Soo;Lee, Jae Gwa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30-130
    • /
    • 2019
  • 최근 호내 조류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2017년도에는 남강댐의 조류경보 발령이 동절기인 12월까지 지속됨에 따라 지역 사회의 수질관리 불안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내 조류생장과 수심에 따라 수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남강댐을 포함하고있는 남강댐 중권역은 경호강으로부터 남강댐까지 해당하며, 낙동강 전체 면적에 7.2%에 달하는 $2.293km^2$의 유역면적을 가지는 중권역이다. 남강댐 중권역에서 광역 및 지방을 포함하는 취수장이 총 10개 이며, 남강댐 중권역 내취수량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남강 취수원과 진주 취수원이 남강댐 호소수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남강댐 상수원의 수질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남강댐의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호내 조류 생장 구간의 특성을 파악하여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내의 조류 생장 구간인 오미천 유입부와 신풍리 지류 합류부 두 구간의 수심별 pH, DO, EC, 세포수, 클로로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두 구간의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조류 생장 구간인 두 지점의 특성을 파악에 비교 분석하며, 수심별 수질 변화를 예측하여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남강댐 호내의 수질관리에 필요한 선행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f Technical Approach Methods to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and of Following Effects from the Scan Training (간외담관 초음파검사의 주사방법 개선과 교육 후 주사 습득효과에 관한 연구)

  • Lee, In-Ja;Kang, Dae-Hyun;Kim, Bo-Young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2
    • /
    • pp.149-159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abnormal dilatation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by using transabdominal ultrasoun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bile ducts disease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and for it to give a new theoretical basis for the technical access to extrahepatic bile ducts, upon which to analyze the ripple effects of the scan training. After teaching technical access process based on the new theory about extrahepatic bile duct to the thirty students who are studying ultrasonography, we allocated three hours per one student (30 mins ${\times}$ 6 times) to focus on the training of scanning skill. Training has been performed by one-to-one method. For evaluation, all the students have to perform the scans on (1) confluence of the right and left hepatic ducts (extrahepatic bile ducts and cystic duct), (2) the suprapancreatic bile duct, (3) the intrapancreatic bile duct, (4) intrapapilla Duct, based on the clearly divided concept. The existing training and methods have had low confidency about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 and had limitation with which they could image only the suprapancreatic bile duct. The evaluation after finishing the train based on the new theory, however, all the students (30students) can access to (1) confluence of the right and left hepatic ducts(extrahepatic bile ducts and cystic duct), (2) the suprapancreatic bile duct objectively. 24 students can access to (3) the intrapancreatic bile duct and only one student can even make an image for (4) the intrapapilla Duct Though the evaluation on extrahepatic bile duct has to be performed with multi-sided method considering intrahepatic cause, bile duct cause and pathophysiological cause, only if we can image the extrahepatic bile duct to ampular of Vater objectively and confidently, we can greatly reduce invasive procedure such as ERCP, which is for the purpose of simple differential diagnosis and painful to the patients. Therefore if we concentrate on the scanning train based on the new theory to raise the confidency about ultrasonography, the effect will be doubl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