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련과정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9초

치과의사 전공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

  • 대한치과의사협회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1권5호통권408호
    • /
    • pp.327-345
    • /
    • 2003
  • 치협은 치과의사전문의제도 시행을 앞두고 인턴 및 레지던트들이 수련병원에서 최소 필요충분하게 교육받아야 하는 과정을 도출해냈다. 이를 위해 치협은 치의전문의제를 실시하는 10개 분과학회의 대표를 중심으로 치과의사 전공의 수련병원(기관) 수련교육 표준화 작업 연구위원회를 구성하고 몇 차례의 논의 끝에 '치과의사 전공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보고서를 완성했다. 보고서는 10개 분과학회별로 각 학회에서 논의를 거친 내용으로서 향후 치의전문의제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전공의들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을 제시해 준다. 회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고서의 전문을 게재한다.

  • PDF

전공의의 수련포기 의도와 영향요인 (Training dropout Intention and Related Factors of Residents)

  • 오수현;김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57-264
    • /
    • 2021
  • 전공의 수련은 우수한 역량을 지닌 전문의를 양성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2017년 4월에 수행한 전공의 수련 및 근무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전공의의 수련포기 의도와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전공의 1,748명을 대상으로 수련포기 의도를 조사한 결과, '그런 편이다'라고 응답한 전공의는 340명(19.5%), '보통' 518명(29.6%), '그렇지 않은 편이다' 890명(50.9%)으로 나타났다. 전공의의 수련포기와 관련이 있는 요인은 기업 연계병원 여부, 수련연차, 근무시간, 적절한 교육지도 여부, 수련과정 적절성 여부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전공의 교육 수련을 위해서는 전공의 근로환경 정상화와 더불어 내실 있는 교육수련 프로그램 개발, 공정하고 체계적인 평가,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마음수련명상이 교사의 불안, 자아존중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on Anxiety, Self-esteem and Self-actualization for Teachers)

  • 이인수;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74-177
    • /
    • 2011
  • 본 연구는 마음수련명상이 교사의 불안, 자아존중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단일군 전 후 원시실험연구이다. 마음수련명상 1단계 과정을 위한 교원자율연수에 참여한 10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마음수련명상 전과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마음수련명상은 교사의 불안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과 자아실현 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마음수련명상은 교사들을 위한 불안, 자아존중감 및 자아실현 관리뿐 아니라 현대인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 볼 수 있다.

  • PDF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의 스트레스 경험 (Stress Experiences by Traine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 심경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11-321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이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수련스트레스를 수련생의 입장에서 기술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임상교육의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신보건수련기관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수련생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포커스그룹으로 1-2회 이루어졌으며, 소요시간은 2시간내외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의미있는 진술은 85개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연구자가 구성한 의미는 32개로 도출되었다. 이들 구성된 의미들을 유사한 내용으로 묶고 분류한 결과 9개의 주제가 형성되었으며 4개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되었다. 수련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경험으로는 '대인관계가 어렵다', '수련일정이 빡빡하다', '기관에서 수련생에 대한 배려가 없다', '수련교육에 대한 체계성이 없다'로 4개의 주제묶음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검도동호인의 수련경험과 의미 (The Exploring Meaning and Training Experiences of Kendo Participants)

  • 박동주;이근모;임새미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6호
    • /
    • pp.71-80
    • /
    • 2017
  • 본 연구는 생활체육 검도 동호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검도 동호인의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검도장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남,여 11명을 대상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서 심층면담, 관련 보조 자료수집을 시행하였고 텍스트 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도 동호인들의 수련경험은 각각 세 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 해보면 다음과 같다. 검도 동호인들은 검도 수련이 자신과의 싸움의 연속이며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들은 수련자들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검도수련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한계의 선과 마주하였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준다. 이러한 과정에서 검도수련자에게 중요한 것은 예의였다. 검도장에서 가장 먼저 예의를 배우게 되고 예의는 검도 수련자가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검도는 신체활동을 통해 올바른 인품을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오랜 수련을 통해 사범의 자격을 갖춘 동호인들은 사범으로서 역량을 갖추기 위해 스스로 검도의 공부와 깊이 있는 수련을 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은 진정한 검도인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