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량연구

Search Result 3,93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termination of Clark IUH for Calculating Probable Maximum Flood (PMF)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하기 위한 Clark 단위도의 결정)

  • Lee, Jinwook;Lee, Myungseob;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5-585
    • /
    • 2015
  • 가능최대홍수량(PMF)이란 가능최대강수량(PMP)을 입력으로 한 강우-유출해석의 결과를 말한다. 즉, 대상유역의 가능최대강수량을 산정하여 시 공간분포를 고려한 가능최대호우를 결정한 후, 강우-유출관계를 이용하여 최대홍수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산정된 가능최대홍수량은 실무에서 댐 설계를 위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홍수량을 설계홍수량으로 채택하고 있는 국외의 강우-유출 해석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국내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평균 개념의 Clark 단위도를 사용할 경우 홍수를 과소평가할 우려가 있으며, 큰 홍수사상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최대 개념을 적용한 단위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최대 개념을 적용한 기존의 연구들 또한 관측 기록년 이후에 기록된 수문량에 비해 월등히 큰 수문량이 발생할 때, 과거의 자료를 토대로 추정한 PMF의 신뢰성이 급격히 저감된다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국내 모든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일관성 있는 단위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 속도를 고려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최대 개념을 고려한 유역의 특성속도에 따른 Clark 단위도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단위도의 변화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변화를 검토하여, 단위도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Difference Factors Analysis of between Quantity Take-off Using BIM Model and Using 2D Drawings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rame (건물 골조수량 산출 시 BIM모델 기반 수량과 2D도면 기반 수량 차이 요인 분석)

  • Kim, Gwa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5
    • /
    • pp.651-662
    • /
    • 2023
  • Recently, research on the us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for various construction management activiti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interest in 3D model-based estimation is increasing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us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3D model. Therefore, this study aim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quantities is calculated the quantity based on the 2D drawing of a building and is extracted from the 3D model created by the Revit software was compared and tried to find out the cause. The difference in the quantity calculated by the two methods was the largest in the formwork, followed by the smallest in the order of the quantity of rebar and concrete.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s that there is a part where the quantity extraction in the 3D model is not suitable for the quantity calculation standard,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ormwork, it was difficult to separate only the quantity of the necessary part. In addition, since the quantity of rebar was not separated by member, it was impossible to accurately compare the quantity and identify the cause of the differ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reasonable to use application software that imports only the numer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quantity calculation from the 3D model and applies a separate calculation formula.

A Proposal for Improving th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Unit Water Content in In-Situ Concrete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측정 및 관리 개선 방안 제시)

  • Yun, Ja-yeon;Jang, Hyo-Jun;Lee, Taegyu;Choi, Hyeong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4 no.3
    • /
    • pp.319-329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concerning concrete unit weight, along with an evaluation of unit weight in concrete poured on construction sites. Fluctuations in unit weight were observed to correlate with concrete quality issues such as material separation, bleeding, and latency. A word cloud analysis, centered on the concept of concrete quality, further highlight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unit weigh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 and Japan revealed few substantial differences in unit weight management and measurement techniques. However, calculation of concrete unit weight at delivery, using the unit volume mass method, indicated considerable variability among random on-site samples. Notably, the unit weight often exceeded the recommended standard.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strict adherence to unit weight standards by all stakeholders involved in concret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including ready-mix concrete (REMICON) producers, construction firms, and inspectors. To ensure consistent quality of cast concrete on-site, the establishment of a more comprehensive and practical system is recommended, incorporating measures such as on-site inspection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Heavy Snowfall on Gangwon Province in Early 2011 (2011년 강원 폭설과 GPS 가강수량의 상관성 분석)

  • Song, Do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1
    • /
    • pp.97-104
    • /
    • 2012
  • In this paper, the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was retrieved by estimating of GPS signal delay in the troposphere during the progress of heavy snowfall on the Gangwon Province, 2011. For this period, the time series analysis between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fresh snow depth was accomplished. The time series and the comparison with the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the fresh snow depth indicates that the temporal change of two varia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gress of the heavy snowfall. Also, the periodicity of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using the wavelet transform method was showed a similar cycle of saturated water vapor pressure a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span. The result shows that the decrement of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was conflicted with the increment of fresh snow depth at two sites, Gangneung and Ulj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the saturated water vapor pressure for the event wa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mpare with the non-heavy snowfall periods.

Calculation of optimal design floods using cost-benefit analysis considering uncertainty (불확실성을 고려한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한 최적설계홍수량 산정)

  • Kim, Sang 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5-275
    • /
    • 2020
  • 홍수빈도분석의 실용적 측면의 목적은 특정 재현기간에 대하여 발생 가능한 홍수량을 설계홍수량(design flood)으로 설정함으로써 댐, 제방, 배수시설, 하수관거 등의 치수기능을 가진 치수시설물이 설계홍수량 내에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그 규모와 기능을 설계함에 있다. 이와 같은 중요한 기능을 담고 있는 홍수빈도분석의 기술적 절차는 해외 및 국내의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보다 적절한 설계홍수량 산정절차 및 설계홍수량의 최종 결정을 위한 기술적 수단의 제공을 위한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금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결정된 설계홍수량이 특정유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규모에 대해 얼마나 적정한 지의 여부를 과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빈도분석을 통해 산정된 설계홍수량의 적정성 여부를 과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비용-편익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최적설계홍수량을 결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으로 발생되는 범위를 고려한 최적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Metropolis-Hasting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종류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년최대계열 및 부분시계열 자료를 각각 적용하였다. 한강유역에서 가평대성, 여주 및 한강대교 수위표 지점에서 측정된 자동관측유량장치에 의한 홍수량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적설계홍수량이 기존 설계홍수량에 비해 크게 산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An Estimation of the Peak Flood Discharges Based on the Mean Daily Discharges during a Flood Event (홍수사상별 일평균유량 자료로부터의 참두홍수량 산정)

  • 원석연;윤용남
    • Water for future
    • /
    • v.26 no.2
    • /
    • pp.59-65
    • /
    • 1993
  • In the present study the methods proposed by Fuller and Sangal were evaluated to estimate the peak flood discharge based on the mean daily discharges during a flood period. The total of 198 flood events observed at seven stage gauging stations in the Han River basin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ak flood discharges estimated based on the mean daily flows have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e observed peak floods. Hence, a regionalized relation and method is proposed for a possible application to estimate the peak flood discharges at the stage gauging stations with no hourly flood stage data, but with the mean daily stages.

  • PDF

Analysis of Water Balance in Paddy Fields using Open Source SWMMModel (Open source SWMM모형을 활용한 논배수로 물수지 분석)

  • Kim Beom gu;Choo In Kyo;Kareem Kola Yusuff;Jung Yo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3-403
    • /
    • 2023
  • 도시화로 인한 생활, 공업, 농업용수의 수요는 증가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댐 건설은 생태계의 단절, 수몰 지역 생성 등의 이유로 비판적인 여론이 많아 신규 수자원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신규 수자원을 확보하기보다 기존 수자원의 물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합리적인 물 배분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중 농업용수의 회귀 수량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다. 수리 시설물에서 공급된 농업용수는 전량 작물에 의해 소비되는 것이 아니며, 포장으로 공급되지 않고 용수로를 통해 배수되기도 한다. 포장으로 공급된 수량은 물꼬를 넘어 배수되기도 하고, 일부는 침투되어 지하수를 통해 흘러나가기도 한다. 이 와 같이, 농업용수 공급량 중 소모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관계 회귀 수량이라 한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농업에 소모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회귀수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농업용수 회귀수량을 계산하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은 도로, 도랑, 관로, 초지 등 주로 도시지역의 강우-유출-지표면 유출을 해석하는 모델이며 농지의 수로네트워크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용수로를 개수로로 고려하여 테스트베드 모형을 구축할 것이다. SWMM은 농업용수 물순환 모의를 위해 이미 활용되고 있으나 논에서의 증산량이 미반영되며 수혜지역 내의 지하수위가 미반영 되는 등 정확한 물순환 모의를 위해서 한계점 개선이 필요하다. 이 한계점 개선을 위해서 회귀수량 공식을 c언어로 구현 후 EPA SWMM의 소스코드를 활용하여 회귀수량 추정이 가능한 SWMM을 구현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농업용수의 회귀수량을 계산하여 정확한 물수지 분석이 가능하여 농업지역의 수자원 확보에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Water Content Formula of Fresh Concrete by Microwave Oven Drying Test Method (고주파 가열건조 시험방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추정식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Min-Yong;Han, Min-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2
    • /
    • pp.143-152
    • /
    • 2023
  • In this research, the microwave oven drying method was investigated as a potential accurate testing approach for determining the water content of fresh concrete. To do so, water content estimation formulas employed in three prominent oven drying test methods were selected, and the calculation principles for each equation, along with potential error factors arising during the actual testing process, were considered. Moreover, a concrete test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possible error factors.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estimation errors in the water content of fresh concrete can occur due to sample deviations arising during the wet screening process for creating mortar specimens or deviations in the coarse aggregate sampling quantity during the sample collection process.

Research on the change of water footprint according to food self-sufficiency (식량자급률 조정에 따른 국내 물발자국의 변화 연구)

  • Lee, Sang-Hyun;Yoo, Seung-Hwan;Choi, Ji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6-466
    • /
    • 2011
  • 가상수는 Allan에 의해 1993년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모든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된 물의 양( /kg)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차 농산물의 경우 생육기간동안 농산물이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이 가상수로 사용되고, 가공품의 경우 가공과정을 거치며 소비되는 물의 양이 가상수에 포함된다. 이러한 가상수의 개념을 활용한 소비 기반 물사용 지표가 물발자국이며 이는 2002년 Hoekstra에 의해 도입되었다. 물발자국은 개인이나 지역, 집단 등이 소비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와 같은 물 부족 국가에서는 농 축산물 관련 정책의 수립 시 정량적인 생산량뿐만 아니라 소비되는 물의 양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현 정부는 2015년 식량자급률 목표치(곡물자급률 25%, 육류자급률 71%)를 설정하여 농 축산물의 생산 및 수입량을 조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식량자급률의 목표치에 따라 국내 생산 및 수입량의 비율이 변화하게 되므로 국내 물발자국의 값도 변화하게 되며 이는 수자원 정책 수립 시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식량자급률의 변화에 대해 단순히 생산량의 관점뿐 아니라 물 소비 절약의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정부의 식량자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하여 각 품목별로 소비되는 가상수의 양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국내적으로 소비 또는 절약되는 가상수의 양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추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식량자급률 목표치에 따른 생산량의 조정으로 인한 물발자국의 변화와 그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식량 자급률 목표치 설정에 포함된 농 축산물의 단위 가상수량과 생산량 추이, 목표 생산량 등을 조사 하였다. 이중 곡물의 단위 가상수량은 국내의 실정을 적용한 국내 연구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축산물의 단위가상수량은 음용, 세척을 위한 원단위 필요수량과 소비되는 사료의 재배를 위한 단위 가상수량을 활용하여 전체 축산물의 가상수량을 산정하였다. 조사, 산정된 자료를 활용하여 2015년 식량자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해 필요로 하는 가상수의 변화량과 국내적으로 소비 또는 절약되는 가상수의 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PDF

Optimized Boreoung Dam Emergency Diversion Tunnel Operation Rule Study, considering Water Quantity-BOD-Electric Power in Boreong Dam Water Supply Network (보령댐계통 물 공급망 운영에 있어서의 수량-수질(BOD)-전력을 고려한 보령댐 비상도수로 최적운영 Rule 연구)

  • Lim, Gun Muk;Kim, Sung Hoon;Ryoo, Kyung Sik;Jeong, Kwan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2-42
    • /
    • 2020
  • 충남서부권은 기상이변으로 강수량이 적고 가뭄이 심화되고 있는 반면, 신규수원 개발 적지 부족 등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가뭄시 비상용수공급을 위해 비상도수로를 건설하였다. 이 비상도수로는 보령댐의 가뭄단계 상황기준으로 운영중에 있다. 가뭄단계 상황이 경계단계에 진입하면 도수로를 가동시작하여 관심단계 회복시에 중단하게 된다. 동 연구는 현재 운영중인 보령댐도수로의 가동Rule을 수량(이수안전도), 수질(BOD), 전력비용을 고려하여 시나리오별로(상시도수, 총 도수량대비 25%, 50%, 75%, 100%) 도수할 때 어느 도수 Rule이 수량-수질-에너지 넥서스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지를 밝혀 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기초자료는 보령댐도수로 준공이후 2016년~2019년 도수실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량(이수안전도) 검토는 MODSIM을 활용하였고, 수질개선효과는 실측 BOD를 기준으로 도수조건별로 오염부하량으로 검토하였다. 전력비용은 금강원수 도수년도별로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추가 연구결과를 통해 가뭄단계 상황기준, 월별 물관리 여건을 고려하여 기준향후 비상도수로 운영에 있어서 수량절량, 수질개선, 전력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