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송.배수시스템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배수조건에 따른 측방유동 해상말뚝의 거동특성 (Undrained and Drained Behaviors of Laterally-loaded Offshore Piles)

  • 서동희;정상섬;김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8호
    • /
    • pp.149-160
    • /
    • 2008
  • 1990년대 이후로 인천과 부산신항 등의 물류중심항구 및 송도 신도시와 같은 유비쿼터스 도시 개발에 발맞추어 인근해상연약지반 매립공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측방유동 해상말뚝기초의 거동특성에 폭넓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측방유동 말뚝기초 거동에 대한 연구 및 규명은 원심모형기 개발과 컴퓨터 기능의 향상으로 인하여 폭넓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말뚝구조물에 작용하는 측방유동압의 특성이 가장 중요한 초점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변형 압밀연계 유한요소해석 기법(LDFE)을 바탕으로 배수조건(비배수 : 단기, 배수 : 장기)에 따른 측방유동 해상 말뚝기초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말뚝-지반 상호작용을 고려한 측방유동압에 중점을 두었다. 본 수치해석에서는 지층조건, 말뚝두부의 경계조건, 성토하중 크기, 평균압밀도 네 가지 중요변수에 따른 거동양상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비배수 단계와 배수 단계에서의 측방유동압의 분포형태와 크기에 대한 정량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수돗물 수질개선을 위한 배수관망시스템 관리 정책 - 수질모니터링을 중심으로 - (Monitoring of Distribution System to Improve Tap Water Quality)

  • 전제상;김자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1-420
    • /
    • 2005
  • Maintaining a good quality of drinking water produced through appropriate water treatment processes to the tap is as important as improving water quality in a water treatment plant (WTP). The quality of most tap water, however, does not have the same quality as that of the water produced in a WTP due to the contamination in the distribution system while they are delivered through pipes and water tanks.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water quality in distribution system to water suppliers for consumer's health and safety. Furthermore, it is not possible to investigate the water quality of all points in the distribution system because the system has a wide area and very complex hydraulic characteristics. One economic solution to prevent water quality in distribution system from being deteriorated is monitoring several points that might have the least water quality in the distribution system. If the quality of water of the monitoring points selected by proper ways is better than the quality index of Drinking Water Quality Guidelines sugges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ll other points in the distribution system would be safe to drink.

삽교천 하구둑 영향을 고려한 수리학적 홍수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Hydraulic Flood Forecasting Model for Considering the Sapgyocheon Estuary Bank Effects)

  • 송재현;윤광석;김주영;여규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6-760
    • /
    • 2007
  • 삽교천 홍수예보시스템은 1999년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나, 개발 이후 유역특성의 변화를 반영한 모형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삽교천 하구둑의 영향을 고려한 모형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지역 중에서 특히 천안/아산지역은 급격한 인구증가와 산업화 및 도시화에 의해 면적당 자산의 고도화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홍수시 피해잠재능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하구둑의 영향을 고려한 모형을 개발하여 정확한 홍수예보를 위한 전산시스템의 개선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삽교천 하구둑에 의한 배수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FLDWAV모형을 이용하고, 삽교천 하구둑 수문조작에 따른 내수위(하류경계 조건)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여 하구둑 운영을 고려한 연계모형을 개발하였다. 향후 설치될 우강지점에 대한 수위자료가 구축되면 예측의 정확도를 검증할 수 있으며, 홍수예보시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과부하 사각형 맨홀의 배수능력 증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Drainage Capacity Increment at Surcharged Square Manholes)

  • 김정수;송주일;윤세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9-625
    • /
    • 2008
  • Urban sewer systems are designed to operate in open-channel flow regime and energy loss at square manholes is usually not significant. However, the energy loss at surcharged manhole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inundation in urban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head loss associated with manholes, especially in surcharged flow.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can change the manhole inner profile(CASE I, II, III, and IV) and the invert types(CASE A, B, C) were install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ischarge was $16{\ell}/sec$. As the ratio of b/D(manhole width/inflow pipe diameter) increases, head loss coefficient increases due to strong horizontal swirl motion. The head loss coefficients for CASE I, II, III, and IV were 0.46, 0.38, 0.28 and 0.37, respectively. Side covers increase considerably drainage capacity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when the ratio of d/D(side cover diameter/inflow pipe diameter) was 1.0. The head loss coefficients for CASE A, B, and C were 0.45, 0.37, and 0.30, respectively. Accordingly, U-invert is the most effective for energy loss reduction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This head loss coefficients could be available to evaluate the urban sewer system with surcharged flow.

상수관망시스템의 골격화 방안 연구 (Skeletonization of Complex Water Distribution System)

  • 최정욱;김경완;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7-157
    • /
    • 2015
  • 최근 들어, 송 배수 시스템의 펌프운영을 최적화하여 운영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펌프운영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수 일간의 시간모의가 필수적이며, 최적화 알고리즘 등과의 연계를 통한 시뮬레이션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규모 네트워크의 경우 관로 및 절점의 수가 수천, 혹은 수 만개에 달해 수리해석 및 최적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수리해석을 위해 상수관망 네트워크를 골격화(skeletonization)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수관망시스템의 골격화는 본래의 상수관망 수리 거동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관로와 절점의 삭제, 통합을 통해 복잡한 상수관망을 단순화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골격화 방법은 단순골격화 방법과 등가길이관 방법(Equivalent Length Pipe Method)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순 골격화 방법은 해당 상수관망 수리해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구경관을 삭제하거나, 특정 구역의 여러 수요절점을 하나의 수요절점으로 통합하는 방법이다. 등가길이관 방법은 관경과 연장이 상이한 복수의 관에 동일한 유량이 흐르는 경우, 관경, 연장, 조도계수 등을 조절하여 동일한 수두 손실이 발생하는 하나의 관으로 통합하는 방법이다. 국내에 실제 운영되고 있는 지방상수도를 대상으로 골격화를 진행하였으며, 수리해석 프로그램은 미국 환경청에서 개발한 EPANET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골격화 기법을 통해 대규모 상수관망의 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실제 상수관망의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송·배수시스템의 최적 잔류염소농도 관리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Optimal Operation Model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in Water Supply System)

  • 김기범;형진석;서지원;신휘수;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87-597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ethod to optimiz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in the process of providing water supply.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capable of optimizing the chlorine input into the clearwell in the purification plant and the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 of rechlorination facilities, and chlorine input. This study applied genetic algorithms finding the optimal point with appropriat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and deriving a cost-optimal solution.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SN purification plant supply area.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meet the target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with the minimum cost. Also, the optimal operation method in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and volume of supply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 most economical operational method of coping with water pollutio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water supply and satisfying the service level required by consumers in the aspects of cost effectiveness. It is considered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increasing service level required by consumers in the future and to use the study results to establish an operational management plan in a short-term perspective.

과부하 원형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Circular Manhole)

  • 김정수;송주일;장석진;윤세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305-314
    • /
    • 2008
  • 도시 우수 배수 시스템에서 우수 관거는 개수로 흐름 상태로 가정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맨홀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일반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과부하흐름에서 에너지 손실은 관거의 배수능력을 저하시켜 도심지역의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과부하 맨홀 내에서의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맨홀에 대한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실험장치 제작과 실험조건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조건인 인버트 형상 조건(CASE A, B, C), 단차 조건(CASE I, II, III) 및 실험 유량($1.0\;{\sim}\;5.6\;{\ell}/sec$)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맨홀 직경($D_m$)과 유입관경($D_{in}$)의 비($D_m/D_{in}$)가 증가할수록 손실계수가 증가하였으며, 맨홀 수심($h_m$)과 유입관거 직경($D_{in}$)의 비($h_m/D_{in}$)가 $1.0{\sim}1.5$일 때 손실계수가 가장 크게 산정되었다. 또한, CASE A, B, C의 평균 손실계수는 각각 0.45, 0.37, 0.3으로 산정되었다. 맨홀에 U자형 인버트를 설치하면, 원형 맨홀에서 에너지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산정된 맨홀에서의 손실계수는 과부하흐름을 고려한 우수 관거 설계에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사각형 중간맨홀에서의 유사 퇴적 분석 및 산정식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 of Estimation Equation for Sedimentation in Square Manholes with Straight Path)

  • 김정수;송주일;임창수;윤세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7-189
    • /
    • 2012
  • Sediment load deposited in sewers and manholes reduces not only the capacity of pipes but also the efficiency of the whole sewer system. This causes the inundations of the low places and overflows at manholes, Moreover, sulfides and bad odor can occur due to deposited sediment with organic loads in manholes. Movements of sediment load in manholes are complicated depending on manhole size, location, inside structure, sediment load type, and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ovements of sediment load in manholes by experiments.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implemented by a square manhole with straight path to measure deposited sedimentation quantity. The experimental apparatus was consisted of a high water tank, an upstream tank, test pipes, a sediment supplier, a manhole, and a downstream tank to measure the experimental discharge. The quantity of deposited sediment load was measured by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the inflow condition of sediment(continuous and certain period), the amount of inflow sediment, discharge, and the type of sediment. Jumoonjin sand(S=2.63, D50=0.55mm), general sand(GS, S=2.65, D50=1.83mm) and anthracite (S=1.45, D50=0.80mm) were employed for the experiment. The velocities in inflow pipe were 0.45 m/s, 0.67 m/s, and 0.9 m/s. Sediment load movement and sedimentation quantity in manhole were influenced by many factors such as velocity, shear stress, viscosity, amount of sediment, sediment size, and specific gravity. Suggested regression equations can estimated the quantity of deposited sediment in the straight path square manholes. The connoted equations that were evaluated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y have velocity range from 0.45 to 0.9m/sec. The study results illustrates that appropriation of design velocity ragne between 1.0 and 2.0m/sec could implement to maintain and manage manholes.

과부하 90° 접합맨홀의 배수능력 증대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Drainage Capacity Increment at Surcharged Manholes with a 90° Bend)

  • 김정수;송주일;윤세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7-458
    • /
    • 2009
  • Energy loss at manholes, often exceeding friction loss of pipes under surcharged flow,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inundation in urban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head loss at manholes, especially in case of surcharged flow. Hydraul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cases. Case A is to test whether the shapes of the manholes influence head loss coefficients. Case B and C were proposed to further reduce head losses by improving the manhole hydraulic efficiency. In case B, the joining part of the pipe at both shapes of manholes is shifted from central part to side part. The test in case C is to check the average head loss coefficient by installing the side benching in square manhole, based on shifted joining part model. The average head loss coefficient for circular and square manhole on case A was 1.6. Thi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of the head loss coefficients in spite of the discharge variation in this case. However, case B and C show large difference between head loss coefficients due to the strong oscillation of water surface and the horizontal swirl motion. The circular and square manholes in case B reduced the head loss by 30% and 6% than ones in case A, respectively. The average head loss coefficient for circular manhole in case B was 1.1. Case C reduced average loss coefficients of the square manhole in case A from 1.6 to 1.1. Accordingly, the circular manhole in case B and the square manhole in case C showed the effective way to reduce the head loss. These head loss coefficients could be available to apply to the urban sewer system with surcharged flow.

기존 상수도 노후관망의 개량 및 관리 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for Old Water Distribution Systems)

  • 김중훈;김종우
    • 물과 미래
    • /
    • 제29권3호
    • /
    • pp.197-205
    • /
    • 1996
  • 상수도 관망시설에서 각 관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종 부식이 일어나 통수능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적절한 시기에 갱생이나 교체 등의 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본는 연구에서는 각 수요절점에서 요구수량, 요구압력 등 수리학적 조건을 만족시켜주며 동시에 최소의 비용으로 노구된 관로를 처리해주는 의사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체비용, 관파열보수비용, 양수비용, 관 파열율, 연이율 등은 각 관로의 교체시기를 경제적으로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배수시설의 수리학적 만족여부는 관망계산 프로그램 KYPIPE에 의해 점검된다. 시스템이 수리학적 조건을 만족지 못할 경우 교체시기는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앞당겨진다. 본 모형은 기존 송배수시설인 수도권 광역상수도 제1단계에 적용되었다. 모형을 이용해 산출한 최적교체시키는 수리학적으로 모의해본 결과 문제가 없으며를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