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송풍저항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An air flow resistance model for a pressure cooling system based on container stacking methods (차압예냉에서 청과물 상자의 적재방법에 따른 송풍저항 예측모델 개발)

  • Kim, Oui-Woung;Kim, Hoon;Han, Jae-Woong;Lee, Hyo-Jai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제20권3호
    • /
    • pp.289-295
    • /
    • 2013
  • The capacity of a pressure fan can be designed based on the air flow resistance of containers packed with fruits and vegetables in a pressure cooling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air flow resistance model that was dependent on changes in the air flow rate and the method of stacking containers. The air flow resistance of a container packed with uniformly shaped balls was 1.5 time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ir flow resistance of a vacant container and that of a wire net container packed with only balls. In addition, the air flow resistance increased exponentially as the width of the stacks increased; however, the air flow resistance did not increase greatly as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stacks increased, which indicates that the air flow resistance is primarily influenced by the width of the stack in the air flow direction. The air flow resistance in two lines of stacking was up to 17% less than that of the width of the stack. It wa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air flow resistance using a function of the air flow resistance through a single container and develop a prediction model. A prediction model of air flow resistance that is dependent on the stacking method and the air flow resistance of a single container was developed.

Static Pressure Drop as Affected by Moisture and Fine Material in Wheat (밀의 함수율과 미세립자가 정압강하에 미치는 영향)

  • Kim, Y.J.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5권4호
    • /
    • pp.339-345
    • /
    • 1990
  • 공기통풍 건조시 공기흐름(airflow)에 대한 곡물저항(grain resistance)은 송풍시스템에서 fan의 선정시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는 공기흐름에 대한 곡물저항은 주로 Shedd의 curve에 준하여 정해졌다. 그러나 실제의 경우 곡물수확 또는 건조시 기계적 원인에 의하여 미세립자(fine material)가 생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밀(red hard winter wheat)을 대상으로 송풍량, 함수율, 미세립자량이 정압강하(static pressure drop)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고, 이러한 변수가 포함된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독립변수는 0.051로부터 $0.203m^3/m^2.sec$에 이르는 7단계의 각각 다른 송풍량과 3단계의 함수율 (11, 13, 15%w.b), 4단계의 미세립자량(0, 2, 4, 8%)이고, 종속변수는 정압강하이다. 정압강하와 test bed에서의 송풍량은 microman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독립변수(송풍량, 함수율, 미세립자량)는 모두 정압강하에 significant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정된 범위내에서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정압강하는 최고 45% 까지 감소되었고, 반면 미세립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압강하는 최고 195%까지 증가되었다. 수집된 data로서 다음과 같은 regression equation이 개발되었다($P=AV+BV^2+C(MO)V+D(FM)V$). 본 연구의 결과는 공기송풍시스팀에서 송풍량, 함수율, 미세립자량이 정압강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고, 에너지 절약적 송풍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Prediction of the Occurring Time of Stall for a Booster Fan in a Power Plant Combusting Low Quality Coal through Draft Loss (저품위탄 연소시 탈황용 승압송풍기 실속시점 예측)

  • Kim, Yeong-Gyun;Lee, Jae-Heon
    • Plant Journal
    • /
    • 제8권4호
    • /
    • pp.34-39
    • /
    • 2012
  • This study presents how low quality coal combustion affects the desulfurizer draft system by correlating of draft loss in a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and predicts the stall occurrence time of a booster fan. In case of low quality coal, a lot of coal is needed to generate equivalent output power, thereby the rating of increasing draft loss was faster than designed amount of coal. We surely confirmed that draft loss affects the specific energy of a booster fan strongly. On this basi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occurring time of stall for a booster fan from current operation specific energy to stall limit specific energy. This study suggests increasing speed of draft loss in each caloric value and the impact of specific energy at a booster fan, it expects to help safe operating in a thermal power plant.

  • PDF

Comparison of Heat Exchanging Performances Depending on Different Heat Exchanging Pipe Arrangement (열회수장치의 열교환 파이프형식별 열교환 성능 비교)

  • 서원명;윤용철;강종국;김정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00-10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온실의 난방에 사용되는 열풍식 난방기 등의 배기 연통에 부착하여 배출되는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함에 있어서 연통과 열회수 장치간의 열 교환 성능을 3가지 상이하게 설계된 열 교환 장치(Fig. 1 참조)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Fig. 1-(a)는 열 교회수기 개발을 위해 기존에 사용한 장치로서 회수용 공기의 흐름방향이 배기 연통과 직각을 이룬 형식이며, Fig. 1-(b) 및 (c)는 열 회수 성능 개선을 위해 새로 설계된 형식으로서 각각 열 교환 파이프의 배치형식이 상이하나 회수용 공기의 흐름방향이 180도로 굴곡되는 U-자형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공기 순환 펜의 용량은 AB-형의 경우에는 최대 25㎥/min이고, C-형 및 D-형의 경우는 공히 최대 42㎥/min으로서 송풍전압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풍량을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U-자형 흐름형식인 C-형 및 D-형의 경우 흐름 방향의 굴곡으로 인한 마찰저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은 했으나 당초 예상했던 것에 비해 마찰 저항이 지나치게 큰 것으로 밝혀졌다. 비록 설계된 열교환 튜브의 배열형식별 열 교환기의 외부 모양이 달라 회수기의 표면을 통한 대류 열 교환이 다소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열 회수장치에 내장된 열 교환 튜브부분만을 통한 열 회수율을 중심으로 형식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자료중 대표적인 예는 Fig-2와 같으며, 측정자료를 기준으로 분석된 열회수 성능에 대한 설계형식별 비교 결과는 Table-1과 같으며,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B-형 열회수시스템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과 현재의 농용 전력요금 하에서 에너지 절감규모를 비교하면, 대체로 1년을 전후하여 투자에 대한 보상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 C-형 및 D-형 열회수시스템의 경우, 열 회수용 공기의 흐름방향이 동일 공간내에서 180도 굴절됨으로서 저항이 크게 발생되어 송풍 펜의 전압 증가에 따른 유속증가가 미미하였으며, 굴절형의 열교환장치는 비록 열교환면적은 직선형과 유사하더라도 송풍 펜의 공기저항이 커져서 결국 열 회수성능이 기대했던 것만큼 크게 개선되지는 못했다. 3. 송풍펜의 용량은 AB-형에 사용된 용량인 25㎥/min 전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 송풍 펜용량 하에서 열 회수성능은 굴절형이 직선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곡선형은 물론 직선형에서도 열교환 튜브의 배치밀도, 튜브 길이 및 두께 등의 변화에 따른 최적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computer mouse for excessive sweating users (다한 증상의 사용자를 위한 컴퓨터 마우스의 개발)

  • 정순철;박건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한국감성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3
    • /
    • 2003
  • 일상생활에서 컴퓨터 사용은 많은 시간을 차지하고 있다. 다한 증상의 사용자나 환자가 장시간 컴퓨터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면 손의 땀으로 작업 중 불편함을 겪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땀 발생으로 변화되는 피부 전도도 (저항)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 측정하여, 측정된 전압 값이 지정된 번호에 포함되면 자동으로 송풍 팬이 구동되는 컴퓨터용 마우스를 개발하였다. 사용자의 땀 분비와 관련된 피부 전도도의 변화는 마우스에 부착된 금속 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DAQ 보드를 통해 컴퓨터(PC)에 전달하고 user interface 창에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하였다. 마우스 패드 아래에 부착된 송풍 팬의 구동 제어는 LabVIEW Program을 이용하였다.

  • PDF

Resistance to Air Flow through Packed Fruits and Vegetables in Vented Box (상자포장 청과물의 송풍저항 특성)

  • 윤홍선;조영길;박경규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0권4호
    • /
    • pp.351-359
    • /
    • 1995
  • In pressure cooling system, produce were packed in vented box and cooled rapidly by producing a difference in air pressure on opposite faces of stacks of vented box. So, energy requirements and performance of pressure cooling system depended upon the air flow rate and the static pressure drop through packed produce in vented box. The static pressure drop across packed produce in vented box normally depended upon air flow rate, vent area of box and conditions of produce bed (depth, porosity, stacking patterns, size and shape of products) in box.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nt area and air flow rate on airflow resistance of empty box and packed produce in vented box,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flow resistance of packed products in vented box and sum of air flow resistance of empty box only and products in bulk only. Mandarins and tomatoe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The airflow rate were in the range of 0.02~1.0$m^3$/s.$m^2$, the opening ratio of vent hole were in the range of 2.5~20% of the side area.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pressure drops across vented box increased in proportion to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decreased in proportion to opening ratio of vent hole. A regression equation to calculate airflow resistance of vented box was derived as a function of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opening ratio of vent hole. 2. The pressure drops across packed produce in vented box increased in proportion to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decreased in proportion to opening ratio of vent hole. 3. Because of the air velocity increase in the vicinity of vent hole in box, the airflow resistances of packed products in vented box were always higher than sum of air flow resistance of empty box only and products in bulk only. 4. Based on the airflow resistance of empty box and products in bulk, a regression equation to calculate airflow resistance of packed products in vented box was derived.

  • PDF

Resistance to Air Flow through Fruits and Vegetables in Bulk (산물퇴적 청과물의 송풍저항 특성)

  • 윤홍선;조영길;박판규;박경규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0권4호
    • /
    • pp.333-342
    • /
    • 1995
  • The resistance to air flow through fruits and vegetables in bulk wa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design of the pressure cooling system. The amount of resistance to air flow through produce in bulk normally depended upon air flow rate, stacking depth, porosity, stacking patterns and shape and site of product. But, there was not enough information relating the effects of those factors on air flow resista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acking depth, stacking patterns, porosity and airflow rate on airflow resistance and to develop a statistical model to predict static pressure drop across the produce bed as a function of air flow rate, stacking depth, bed porosity, and product size. Mandarins and tomatoe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The airflow rate were in the range of 0.1~1.0 ㎥/s.$m^2$, the porosity were in the range of 0.25~0.45, the depth were in the range of 0.3~0.9m and the equivalent diameters were 5.3cm and 6.3cm for mandarins, and 6.5cm and 8.5cm for tomatoes. Three methods of stacking arrangement were used i.e. cubic, square staggered, and staggered stacking arrangemen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essure drops across produce bed increased in proportion to stacking depth and superficial air velocity and decreased in proportion to porosity. 2. The increasing rates of pressure drop according to stacking patterns with the increase of superficial air velocity were different one another. The staggered stacking arrangement produc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and the cubic stacking arrangement produced the lowest increasing rate. But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stacking patterns had not influenced greatly on pressure drops if it was of equal porosity. 3. The statistical models to predict the pressure drop across produce bed as a function of superficial air velocity, stacking depth, porosity, and product diameter were developed from these experiments.

  • PDF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for Centrifugal Blower with Different Outlet Geometries (토출구의 형상에 따른 원심 송풍기의 성능특성)

  • Kim, Jae-Won;Kim, Jin-Min;Lee, Kook-Do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4년도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70-77
    • /
    • 2004
  •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n the outlet's geometric shapes of a centrifugal blower with higher inlet resistance than an atmospheric pressure is carried out for improvements of its performance. Most unwanted behaviors of such blower are pulsating flows because of unbalance between inflows and outflows in a scroll casing. In order to reduce this undesirable phenomenon a triump is made for both the shape of outlet duct and an accessory structure inserted in the outlet port of the blower. The modification on the shape is concerned with the contraction of cross sectional area and the attached structure is for an intentional obstruction to cause a flow resistance. The details of the modification are examined for different cases and results. The methodologies for the work are performance evaluations including noise level and velocity measurements with PIV Consequently, the performance of improved system is close to that of the system operating with atmospheric pressure at the inlet.

  • PDF

Electrical properties of ITO thin film deposited by Reactive DC magnetron sputtering (반응성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법으로 증착한 ITO 박막의 전기적 특성 평가)

  • Kim, Min-Je;Gang, Se-Won;Song, P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한국표면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5-236
    • /
    • 2014
  • 인듐 주석 산화물 박막을 In/Sn (2, 5 wt.%) 합금 타겟을 사용하여 DC 마그네트론 반응성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기판온도는 상온에서 증착하였으며, 증착 중 DC 파워는 70W부터 120W 까지 10W 단위로 증가시켜 증착하였다. 증착 된 박막을 대기중에서 후 열처리를 각 6, 12 시간 진행하여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장비는 Hall-effect measurements system을 사용하였다. ITO (Indium Tin Oxide) 박막의 비저항은 합금의 Sn 조성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Sn 5wt.% 타겟을 이용한 경우에는 DC 파워 90W를 기준으로 더 낮은 파워에서는 열처리에 따라 비저항이 증가하였고, 더 높은 파워에서는 열처리를 한 경우 비저항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DC 파워가 높은 경우 스퍼터링 공정 중 발생하는 고 에너지 입자 충돌에 의해 산소가 re-sputtering되어 산소가 부족한 박막이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Sn 2 wt.% 타겟의 경우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러한 원인은 Sn 함량이 적기 때문에 산소 공급으로 인해 결정성이 향상되더라도 활성화 Sn의 양이 적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