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송종석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9초

산성비가 전동싸리의 생장과 질소 고정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and Nitrogen fixation of melilotus suaveolens)

  • 송승달;서봉보;박재홍;박태규;정화숙;송종석;노광수;김인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65-72
    • /
    • 1998
  • Various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by $HNO_3$ and $H_2SO_4$ with pH 3.2, 4.2 and 5.6 were investigated in Melilotus suaveolens Ledeb, a biennial legume dominating the disturbed and poor soil vegetations. The nitric acid treatment of pH 3.2 resulted in 121% increase of the plant height compared to that of pH 5.6 during early growth, although 17% decrease was detected with the sulfuric acids. During 14 days of treatment, leaf biomass and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168% and 133% with pH 3.2 nitric acid rain but decreased 20% and 38%, respectively, with sulfuric acid rain. Nitrogen content in various organs was also determined after 42 days of nitric acid treatment. It increased 480% and 387% by pH 3.2 and 4.2 in leaves, 212% and 214% in stems and 247% and 249% in roots. However, the same treatment with the sulfuric acid showed a considerable reduction in this content, indicating that the nitric acid was a nitrogen source. Nodule formation assayed revealed 15% decrease with pH 3.2 in contrast to 157% increase in pH 4.2, further suggesting an enhancement effect by the additional nitrogen source. Contrary to this, the nodule formation was reduced up to 43-71% by sulfuric acid rains. Specific nitrogen fixation activities of nodules estimated at pH 3.2, 4.2 and 5.6 nitric acid rain were 36.7, 42.8 and 47.3 ${\mu}mol\;C_2H_4{\cdot}g^{-1}\;fw\;nodule{\cdot}h^{-1}$, while those of sulfuric acid rain exhibited 1 nmol $C_2H_4{\cdot}plant^{-1}{\cdot}h^{-1}$ with pH 3.2, 177 with pH 4.2 and 179 with pH 5.6, yet it increased 2, 115 and 286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three sulfuric acid concentrations. Further implications of the simulated acied rain were also discussed in the study.

  • PDF

충북지역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Quercus Forests in the Lower Montane Zone, Chungbuk Province, Korea)

  • 이장순;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32-441
    • /
    • 2007
  • 본 연구는 Z. -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두타산, 만뢰산, 미동산, 감악산, 시루봉, 십자봉, 용산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림 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상수리나무하위군락(Quercus acutissima subcommunity), A-2. 전형하위군락(Typical subcommunity), B.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떡갈나무군락(Quercus dentat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같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자생 취앙네(Pyrus ussuriensis var. acidula) 분포와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Chuiangne (Pyrus ussuriensis var. acidula) at habitats)

  • 안영희;송종석;조동광;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6-106
    • /
    • 2002
  • 자생 배나무속 유실수 식물유전자원으로 가치가 높은 취앙네의 대덕산 자생지 일대 5 지점을 조사하였다. 취앙네는 해발 1246-1310m의 햇볕이 잘 드는 산 정상 혹은 능선부의 남서사면에서 주로 조사되었다. 자생지 식생에서 총40과 79속 83종 12변종 1품종의 식물들이 조사되었으며 호광성 식물인 국화과의 각시취, 수리취 등을 비롯하여 장미과의 양지꽃 등이 널리 분포하였다. 자생지에서 취앙네는 신갈나무와 거의 비슷한 세력으로 혼재하여 출현하였다. 터주형 생태전략 식물의 차지하는 비율이 54.17%로 나타났다. 취앙네의 자생지는 산불을 비롯한 교란행위에 의해 다양한 식물 종군의 2차 천이가 활발하게 진행중인 지역으로 Shannon-Weiner의 종다양도 지수는 4.592-5.270의 범위로 나타났다. 대덕산 일대에 자생하는 취앙네의 29%는 정상적인 생육을 유지하고 있으나 57%는 생육이 불량하거나 보통인 상태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취앙네의 생육에 방해를 줄수 있는 덩굴성 식물 및 교목류들의 정기적인 제거작업에 의해 수관부의 수광량 확보와 종간의 경쟁을 피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NaCl이 황백화된 보리(Hordeum vulgare L.) 잎의 녹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Cl on the Greening of Etiolated Leaves of Barely (Hordeum vulgare L.) Seedings)

  • 정화숙;임영진;송승달;노광수;송종석;박강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23-1030
    • /
    • 2002
  • The effects on photosynthesis of NaCl(0, 0.2, 0.4, 0.6, 0.8 or 1.0 M) were examined in etiolated barley seedlings. Chlorophyll(Chl) a, Chl b and carotenoid contents, Chl a fluorescence and quenching coefficients of Chl fluorescence have been determined in the primary leaves of etiolated barley seedlings cultivated under low light(60 $\mu$$m^{-2}\;s^{-1}$). Chl a, b, and carotenoid contents were decreased remarkab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0.4 M NaCl. However, the value of Fo and Fv were decreased at 0.6 M NaCl and the ratio of Fv/Fm were deceased at 1.0 M NaCl. Chlorophyll synthesis was seriously inhibited from 0.4 M NaCl, and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system was inhibited from 0.6 M NaCl. Quantum of photosystem II reaction center was inhibited at 1.0 M NaCl. The effects of NaCl on the Chl content were raised in a 6 hrs, but the effects of NaCl on the value of Fo, Fv and Fv/Fm were raised in 30 hrs. The value of qP wa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all concentrations, but there was a small change in the value qE.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NaCl inhibited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 of NaCl were inhibited quinone redox, however, proton gradient between thylakoid membranes was little damaged.

워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보안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System for Wargame Simulation System)

  • 송종석;김진수;신문선;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369-378
    • /
    • 2005
  • 워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군사작전을 가상으로 실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운용되는 자료들은 대부분 군사적으로 보호되어야할 자료들이다. 그러나 워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시 이러한 군사기밀정보 및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보안을 고려하지 않아 이에 대한 정보유출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여 보안정책을 수립하고 워게임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적합한 보안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구현된 보안시스템은 인증시스템, 암호화시스템, 네트워크보안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구현된 보안시스템을 워게임 시뮬레이션시스템에 적용하여 시험한 결과 워게임 시뮬레이션시스템 성능을 저하 시키지 않고 신뢰성있는 보안기능을 수행한다.

식도이물;12년간 235례의 경험 (Esophageal Foreign Bodies : Experiences of 235 cases for 12 years)

  • 최건;고태옥;송종석;채성원;정광윤;최종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5-121
    • /
    • 1997
  • We have clinico-statically analysed the 235 cases of esophageal foreign body during the period the past 12 years from March InS to December 1996 at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uro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Coin was the most frequent foreign body in the esophagus(172 cases : 73.2%). Bone was the next frequent foreign body (21 cases 8.8%). 2) In sex distribution, 124 cases(52.8%) of patients were the female and 111 cases(47.2%) were the male, so the sex ratio was 1:1.12. 3) In the age distribution, 134 cases(56.9%) were under 5 years of age, coin was the most frequent materials in this age group(111 cases 47.2%). 4) The most common symptom was vomiting(136 cases : 57.9%). The next common symptom was dysphagia and odynophagia was 41 cases(17.4%) 5) The most prevalent site of lodgement was the first narrowing(181 cases : 77.0%), the third narrowing(31 cases : 13.2%) and the second narrowing of esophagus(23 cases 9.8%) in order. 6) In duration of lodgement, 207 cases(88.1%) were lodged for one day. 7) The foreign bodies of esophagus were removed successfully by esophagoscopic procedure under local or general anesthesia. There were 3 cases of complication, one case of esophageal bleeding and two cases of esophageal rupture.

  • PDF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새싹인삼의 뿌리썩음병 방제효과 (Efficacy of Hydrogen Peroxide on Root Rot Disease of Ginseng Sprouts)

  • 송종석;안금란;정선경
    • 식물병연구
    • /
    • 제28권4호
    • /
    • pp.204-208
    • /
    • 2022
  • 새싹인삼의 뿌리썩음병 억제제로서 과산화수소의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항진균 활성효과와 묘삼 소독효과를 연구한 결과, 과산화수소는 300 mg/l의 농도에서 1×107 conidia/ml 농도의 Cylindrocarpon destructans 균총을 80% 이상 억제시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인위적으로 병원균에 감염시킨 묘삼의 유병율을 20% 이하로 억제시켜 소독효과가 매우 높았다. 결과적으로 과산화수소 희석수 300 mg/l를 14일에 걸쳐 분무처리하였을 때, 인위적으로 병원균에 감염된 새싹인삼의 뿌리썩음병 발생수율이 72.1%로 무처리의 발생수율 87.2%에 비해 다소 억제되었다. 그러나, 과산화수소의 주기적인 살포가 새싹인삼의 생육 부진을 다소 유발하였다. 추가 연구로서 뿌리썩음병의 방제에 효과적이고 새싹인삼에 안전한 과산화수소의 처리방법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 자생 산돌배와 돌배나무의 조성, 분포, 입지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Ussurian Pear and Chinese Pear, Korean Wild Species)

  • 송종석;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0-171
    • /
    • 2002
  • 자원식물로 유용한 야생배인 산돌배와 돌배나무군락의 종조성, 분포, 입지조건을 해석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따른 조사가 함백산, 소백산. 일월산, 주왕산. 가야산 등지에서 실시되었다. 이것은 군락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개생태학적인 특성을 파악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본 연구 결과, 야생 배나무류를 포함하는 삼림 식생은 두 군집과 두 군락으로 식별되었다: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 물개암나무-신갈나무군집, 단풍취-신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산돌배군락, 이 중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과 물개암나무-신갈나무군집은 우리나라 참나무삼림의 분포유형에서 제각기 남부형 및 중\ulcorner북부형에 속한다. 그러므로 야생 배나무류는 주로 한국의 냉온대 낙엽수림 영역에 제한되며, 부분적으로 우점하거나 단독으로 출현하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야생 배나무류는 교목과 아교목층에 출현하는데, 이것은 이 종이 양수이고 임관의 다른 구성종과 함께 실생으로 발생하였음을 암시한다. 이를 반영하여 야생배나무류는 보통 SE-SW방향에 분포하였다. 또 야생 배나무류를 포함하는 삼림의 임관은 열려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다양성은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이 높았고, 다른 군락들은 비교적낮았다. 상급단위로서 식별된 군락은 조록싸리-졸참나무군단, 철쭉-신갈나무군단; 당단풍-신갈나무군목; 신갈나무군강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낙동강 상류의 하천변 식생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 I. 삼림 및 관목성 식생 - (A Synecological Study of the Riverside Vegetation of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1a - I. Forest and Shrub Vegetation -)

  • 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3-452
    • /
    • 2008
  • 경상북도 낙동강 상류부의 삼림 및 관목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3군강에 속하는 1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 4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A-1 단풍나무-너도밤나무군강군, 물푸레나무-느릅나무군목, 미정의 군단: 1) 들메나무군락: 느티나무군목(가칭), 느티나무군단(가칭): 2) 느티나무군락, A-2 나도버들군강, 버드나무군목, 버드나무군단: 3)버드나무-왕버들군집, 4) 버드나무군집, 5) 시무나무군집, 6) 갯버들군집, 7) 눈갯버들군집, 8) 선버들군집, A-3 찔레꽃군강, 마-칡군목, 쥐다래-왕머루군단: 9)국수나무군락, 10)구기자나무군락, A-4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11) 누리장나무군락, 12) 가죽나무군락, 13) 아까시나무군락, 14) 족제비싸리군락. 본 연구에서 식별된 군락단위는 cluster분석의 결과와 아주 잘 일치하였다. 다변량 분석에 있어서 주성분분석의 결과는 이보다 덜 일치하였으나 인위적 영향에 따라 집합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들 삼림 및 관목의 식생단위는 일본의 것과 공통성이 높은 초본군락과는 달리, 군집레벨에서 한국에 고유한 다섯 개의 식생단위를 포함하였다. 이상의 군락생태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자연보호 등에 관해 논하였다.

환삼덩굴의 출아예측 (Prediction of Seedling Emergence of Humulus japonicus)

  • 송종석;박민원;임수현;김도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0-57
    • /
    • 2010
  • 본 연구는 환삼덩굴의 생태적 자연출아를 서울과수원의 자연포장 조건에서 평가하여 환삼덩굴의 지역별 출아시기를 예측하고자 실시하였다. 환삼덩굴의 일별 및 유효적산온도별 누적 출아율을 Gompertz 모델을 이용하여 회귀분석하였다. Gompertz 모델은 환삼덩굴의 출아를 지역에 상관없이 양호하게 설명하였으며 환삼덩굴의 최초 출아 유효적산온도는 $56.7^{\circ}C$이며, 최대출아율 5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유효적산온도는 $76.3^{\circ}C$로 계산되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지난 10년간의 지역별 일평균기온을 바탕으로 최초 출아에 필요한 유효적산온도 $56.7^{\circ}C$에 도달하는 시기를 예측한 결과 대구가 3월 21일로 가장 빨랐고 광주(3월 26일), 전주(3월 29일), 대전(3월 30일), 서울(4월 1일), 수원(4월 4일), 춘천(4월 6일), 철원(4월 12일) 순이었다. 같은 방식으로 최대출아율의 50%에 도달하는 출아시기를 예측한 결과 대구가 3월 25일로 가장 빠르며 광주(3월 30일), 전주(4월 2일), 대전(4월 3일), 서울(4월 5일), 수원(4월 8일), 춘천(4월 9일), 철원(4월 15일)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