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송전철탑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7초

송전철탑 임시선로 설치를 위한 신공법(Long-Arm) 개발 (Development of a new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ation a temporary tower)

  • 박형렬;이문희;임명규;이상목;조성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449-450
    • /
    • 2015
  • 최근 송전선로는 도시의 팽창과 지가하락 및 지역주민과의 많은 갈등으로 주로 산지에 송전선로가 설치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과거 20~30년 이전에 설치된 많은 송전선로 철탑은 이설 및 철거요구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으며, 또한 송전선로 주변에 농작물과 신규 건물 신축으로 송전선로와 전기적 이격거리 확보 문제가 계속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과거 기준에 의거 설치된 송전철탑의 전선로와의 이격거리 확보를 위해 지상고 상향 조정이 불가피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 철탑을 철거하고 신규 철탑을 설치해야 하지만 용지확보 어려움과 지역주민과의 갈등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보다 안정성, 시공성, 경제성을 고려한 새로운 공법 개발이 불가피한 실정으로 기존 임시철탑을 이용한 설치공법을 대체한 신공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 PDF

컴팩트 타워 전기 환경장해 발생량에 따른 설계기법 (Design Procedure on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Compact Tower)

  • 이원교;박찬형;이호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557-558
    • /
    • 2011
  • 전력수요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송전설비의 추가 건설이 필요하지만 건설여건의 악화에 따라 보다 더 최적화된 송전철탑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절연암을 채용한 철탑 설계 방법 및 기존 154kV 송전철탑을 활용하여 345kV 전압을 송전 할 수 있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송전전압이 높아지면 주변에 여러 가지 환경장해(코로나 소음, 통신선 유도 장해)를 유발하는데 이 장해 발생량은 철탑의 절연간격, 전력선의 종류 및 도체 구성방식에 따라 달라 된다. 따라서 기존 154kV 송전선로를 이용하여 345kV 송전 전압으로 격상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환경장해 유발 요인을 분석이 필요하고 환경장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설계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기존 154kV 송전철탑을 이용하여 345kV 전압을 송전 할 때 환경장해 기준치를 만족하는 설계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송전철탑 부분축소모형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Steel Transmission Tower using Partially Scaled Model)

  • 김종민;김승준;박종섭;강영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335-3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 연구를 통해 송전철탑의 극한 거동을 규명하고 보-트러스 구조해석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해석적 연구를 통해 충분히 검증된 송전철탑의 부분 축소 모형을 실험체로 제작하였으며, 이를 극한파괴가 발생할 때 까지 수평방향으로 가력하였다. 그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구조해석모델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송전철탑의 극한 내력 또한 해석적 연구 결과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각재부 및 각재부 제1윗절간 주주재에서 파괴가 일어난 후 인접 부재로 전이되는 송전철탑 구조물 파괴 모드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철탑승탑자 추락예방을 위한 "철탑 암(Arm) 이동을 위한 통로용 안전발판" 개발 (Development of "Safety Footing for Passage for Moving Pylon Arms" to Prevent Falling of Pylon Boarders)

  • 권순호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7권2호
    • /
    • pp.233-236
    • /
    • 2021
  • 종래의 사용중인 송전철탑 암(Arm)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해서는 암주재를 발로 딛고 이동 하거나 작업하는데 발디딤 공간이 부족하여(7~15cm)안전사고 발생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철탑 암 이동 또는 작업 시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과 물리적 안전조건을 강화시키기 위해 발디딤 공간을 30cm 로 확대시킨 "철탑 암 이동을 위한 통로용 안전발판"(이하, 철탑 암 안전발판)을 개발하였다.

송전철탑 부재 부식열화 검사장비 개발 (Development of the Corrosion Deterioration Inspection Tool for Transmission Tower Members)

  • 우상균;윤병돈;김기중;추인엽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77-83
    • /
    • 2016
  • 근래에 송전철탑의 수명연장과 유지관리 비용 절감을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송전철탑 부재의 부식 열화도를 진단하는 재래적인 방법으로서 육안점검은 점검자 개인의 지식과 경험의 차이에 따라 오류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송전철탑 강 부재에 대한 부식열화 검사장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장비는 부식열화 영상 촬영장치 및 컴퓨터 기반 진단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영상처리에 적합한 열화영상을 확보하기 위하여 촬영장치를 개발하여 촬영방법을 표준화하였으며, 진단 시스템은 RGB 컬러영상처리 기법에 기초하여 송전철탑 부재의 부식 열화도를 자동적으로 평가하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부식열화 검사장비는 송전철탑 부식에 대한 최적 유지보수 시기를 결정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운전 중인 송전철탑의 전위강하시험에 의한 접지성능 진단 (Measurement of Energized Tower Footing Resistance by Fall-Of- Potential Test)

  • 신복현;유철환;김재열;강연욱;최종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44-47
    • /
    • 2006
  • 송전철탑의 접지저항은 승선선로의 내뢰성능 평가에 중요한 파라메타 중 하나이다. 송전선로가 일단 가압된 이후에는 가공지선에 의해 모든 철탑이 병렬 연결되어 철탑 단독의 접지저항 측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비아전력청의 협조 하에 가공지선 분리 전후의 220 KV 송전철탑의 접지저항측정을 위하여 수행한 전위강하시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컴퓨터 모델을 이용한 철탈 접지저항 추정방법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송전철탑환경의 저전력 센서네트워크 운영방안 연구 (A Study on Driving Method Low Power Consumption Senor Network of Power Line Tower)

  • 장준용;송완석;정성환;이재덕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405_406
    • /
    • 2009
  • 송전철탑과 송전선로에 사고가 발생하면 광범위한 지역에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과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 도시가 거대해지고 또 밀집되면서 파급영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송전설비에 대한 실시간 온라인 감시를 하고자 하는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송전철탑과 송전선로가 설치되어 있는 열악한 환경 때문에 감시 시스템의 구축은 여러 가지 제약 사항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송전철탑과 송전선로의 열악한 환경에서 다양한 고성능 상용센서들을 이용한 저전력 센서네트워크의 구현방안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전력선 단선으로 인한 이상시 송전철탑의 안전성 평가방법 (Safety Evaluation Method of Transmission Tower Subjected to Special Load Case According to Broken Wires)

  • 진석원;김종민;박종섭;강영종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31-149
    • /
    • 2008
  • 최근 급증하는 전력수요 충족을 위해 송전선로 및 송전철탑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송전철탑 설계기준에서는 선로방향하중에 대해 상시와 이상시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있다. 송전철탑 붕괴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선로 단선으로 인한 이상시 철탑 주재의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 설계기준은 축력이 지배적인 트러스요소를 철탑에 적용하고 있으며, 단선으로 인한 불평형 하중을 암끝단에 재하하도록 하고 있다. 불평형 하중을 유발하는 단선은 두 곳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까지 고려하고 있으며, 그 이상 여러 상의 전선이 동시에 단선되는 것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발생 가능한 모든 단선의 경우에 대해서 보요소를 적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극한상태를 파악하고 국내 설계기준에 따른 안전성를 평가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분석을 통해 철탑 주주재에는 이상시 휨응력의 영향력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비대칭 일측의 모든 전선이 단선된 경우 기존 철탑의 설계방법이 안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시 철탑의 경제성과 정확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부재의 극한상태와 이상시 발생빈도를 고려하는 설계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송전철탑의 극한하중 도출을 위한 비선형해석 기법 (Development of Nonlinear Analysis Technic to Determine the Ultimate Load in Electric Transmission Tower)

  • 김우범;최병정;안진규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89-398
    • /
    • 2008
  • 현행 송전철탑의 경우 허용응력 설계개념을 도입한 철탑설계기준을 적용하여 설계, 제작되고 있으나 탄성해석을 전제로 한 허용응력 설계기법으로는 송전철탑의 명확한 도괴 원인을 규명할 수가 없다. 철탑 도괴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철탑 부 재 및 접합부의 재료 및 기하학적 비선형성을 고려한 2차 변형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2차 변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부재의 잔류응력, 초기변형, 접합부의 단부구속도 등이 있으며 이는 비선형 대변형 해석을 통하여 거동 파악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해석과 비선형해석의 비교를 통하여 비선형 해석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에 따르는 해석상의 복잡함을 줄이기 위해서 등가비선형 해석기법을 개발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철탑의 극한하중을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의 극한하중과 비교를 함으로써 개발기법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해석기법을 바탕으로 사재의 축력 및 세장비가 주주재의 최대내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실무적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를 도표화 하였다.

765kV 심형기초 철탑의 정상 접지저항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전기기술인
    • /
    • 제195권11호
    • /
    • pp.30-34
    • /
    • 1998
  • 가공송전선의 접지는 주로 내뢰설계에 그 목적이 있지만 전력계통의 안정도, 전력계통의 고장검출과 철탑주변의 접촉전압 및 보폭전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전력계통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락전류가 송전철탑에 시설되어 있는 가공지선과 대지로 분류하는 정도에 따라 지락지점에서의 대지전위 상승이 크게 좌우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