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 건조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9초

PE 첨가에 의한 방사성폐수지 아스팔트고화체의 특성연구

  • 김태국;손종식;김길정;안섬진;정인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385-390
    • /
    • 1998
  • 방사성 페이온교환수지 아스팔트고화체를 처분장 등지에서 장기간 저장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물리적 강도가 높고 고화체내에서 방사성핵종의 침출저항성 및 처리시 감용의 효과가 우수한 고화체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이온교환수지는 입상형 양이온 교환수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고화매질로서는 도로포장용으로 생산되는 직류아스팔트 60/70을 사용하였다. 고화보조제는 방사성 고체패기물 포장시 사용되어 폐기물로 발생되는 페폴리에틸렌(폐PE) 필름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고화체의 형태안정성은 PE 함유량이 10 wt% 이상일 때 고화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강도는 414 kPa(60 psi) 이상을 나타내었다. 최적의 운전조건은 이온교환수지, PE 함유량이 건조기준으로 각각 30~50 wt%, 10~25 wt% 이며, 고화온도는 170~20$0^{\circ}C$이다. 고화체의 침출특성은 확산 (diffusion) 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유효확산계수(De)는 Cs, Co의 경우 각각 1.621$\times$$10^{-7}$, 1.186$\times$$10^{-9}$ $\textrm{cm}^2$/day로 나타나고, Leachablity index는 각각 11.7, 13.8로 미국 원자력위원회 (NRC)가 요구하는 기준값 6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 PDF

양이온성 PVAm - 음이온성 PAM 건조지력증강제 시스템의 크라프트지 적용 사례 (Application of Cationic PVAm - Anionic PAM Dry Strength Aids System on a Kraft Paper Mill)

  • 조병욱;류정용;손동진;송봉근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3호
    • /
    • pp.50-57
    • /
    • 2010
  • A mill trial was performed in a kraft paper mill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dual polymer dry strength aids system consisting of cationic PVAm and anionic PAM. It was found that the cationic PVAm - anionic PAM dry strength additives can improve paper strength without significantly disturbing the stability of the kraft papermaking process when virgin UKP was used as a furnish. Tensile strength (25.3% in machine direction, 48.4% in cross machine direction), elongation of paper (31.6%, 15.6%) and tensile energy absorption (48%, 54%) were improved. Air permeability of the kraft paper was improved as well (22%). Tear strength was decreased with PVAm dry strength aids system, but it can be compensated with decreasing refining degree. In addition, the mill trial results indicate that highly air permeable kraft sack paper can be produced by the addition of PVAm dry strength agents at the stock with reduced freeness.

환경친화적 미생물 비료 개발을 위한 우모분해 세균의 분리 및 응용

  • 우은옥;김민주;유은연;박근태;손홍주;이상준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53-456
    • /
    • 2007
  • 가금류의 도축 부산물로 대량 배출되고 있는 우모는 주로 생물학적으로 난분해성 단백질인 케라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우모를 처리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우모 분해 공정을 개발하고, 우모 분해산물의 식물 성장을 위한 비료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퇴비화 볏짚에서 케라틴 분해효소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인 RS7을 분리하였다. RS7의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pumilus RS7로 동정되었다. B. pumilus RS7은 $30^{\circ}C$에서 배양 5일 만에 우모를 완전히 분해할 수 있었다. 본 균주에 의한 우모 분해산물은 Helianthus sannuus L.의 생장율, 잎 수 증가량, 개화율, 건조 생체량에 있어 대조군과 화학적 우모 분해산물보다 우수하였다. Bacillus pumilus RS7에 의한 우모 분해산물은 식물 성장 촉진을 위한 미생물기원 비료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양계산업에서 배출되는 우모 폐기물이 환경에 주는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PDF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한 도금슬러지 건조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Plating Sludge by Microwave)

  • 문경환;손종렬;김덕찬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1호
    • /
    • pp.9-15
    • /
    • 1998
  • Microwave heating and drying processes have been well established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Feasibilities of successful application of microwave drying to many material have been shown on the laboratory or pilot-plant scale. The microwave drying behavior of plating sludge are considered in this paper. The plating sludge containing 70%, 80% and 90% water exposed to microwave power at 2,450 MHz, 700W. An experimental microwave drying apparatus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o monitor weight loss during drying. By studying the drying characteristic curve, the moisture in sludge was almost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free moisture and intestinal moisture. And the critical moisture contents at which the drying rate ceases to be constant were from 10.1 to 10.5%. A simple drying model is proposed which may be used to describe drying behavior of plating sludge. The constant rate and the falling rate periods in microwave drying were addressed separately. From the eqation of constant rate period the drying rate constants decreased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depth. Microwave heating compared with conventional heating offered higher heating rates from 9 to 16 times. Therefore, microwave drying process can be effective in removing moisture from plating sludge.

  • PDF

1-butanol과 e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합성한 Sr hexaaluminate의 물리적 특성 및 메탄 연소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nd Catalytic Combustion of Methane of Sr Hexaaluminate Prepared using 1-butanol and Ethylene Glycol)

  • 손정민;우성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209-214
    • /
    • 2007
  • Sr hexaaluminate($Sr_{1-x}La_xMnAl_{11}O_{19-\alpha}$)와 금속 alkoxide를 전구체로, 1-butanol과 ethylene glycol을 각각 용매로 사용한 sol-gel 법으로 합성하였다. 용매 변화에 따른 Sr hexaaluminate의 물리적 특성을 TG/DTA, XRD 및 $N_2$ adsorp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합성 후 건조한 시료에 대한 열분해 거동을 분석한 결과는 1-butanol을 용매로 사용하여 합성한 hexaaluminate와 비교할 때, ethylene glycol을 용매로 이용한 경우 용매의 분해반응과 dehydroxylation 반응이 관찰되었고, 결정생성 온도도 상승하였다. Dehydroxylation 반응과 결정생성온도의 상승은 hexaaluminate의 소결현상을 가속시켜 낮은 비표면적의 원인이 되었다. 메탄에 대한 연소 반응으로 표면적 차이가 촉매 활성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청연군주묘(淸衍郡主墓) 출토복식(出土服飾)의 보존(II) (Conservation of Textiles and Costumes of Cheonngyeongunju (a princess)(II))

  • 김주영;이지현;박승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1권
    • /
    • pp.17-30
    • /
    • 2010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청연군주 출토복식(신수751 의류 일괄)중 전시 대상 26점의 보존처리 과정과 보관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처리 전 유물의 재질과 손상정도를 파악하고 표면세척, 습식세척을 병행하였으며, 유물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손으로 잡아주면서 건조시키고 보수하였다. 보관은 복식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접힘 부분을 최소화하여 크게 접고 완충제를 사이에 넣고 중성상자에 넣어 보관하였다.

냉동 치즈피자의 텍스쳐 프로필과 가열방법에 따른 영향 (Texture Profiles of Frozen Cheese Pizzas and Effects of Heating in Microwave or Conventional Oven)

  • 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2-237
    • /
    • 1994
  • 이 연구에서는 냉동피자에 대한 텍스쳐 프로필을 수행하여 전통적인 오븐과 microwave 오븐으로 가열한 피자의 텍스쳐 품질을 비교하였다. 개발된 텍스쳐 특성은 29가지였으며, 눈과 손으로 평가하는 단계, 입술에 대한 촉감, 한번 씹는 단계, 저작 단계, 그리고 삼키는 단계의 다섯 단계로 평가되었다. microwave로 가열된 피자가 전통적인 오븐으로 가열한 피자보다 더 바삭바삭하고 덜 부드럽다고 평가되었다. 피자를 가장자리와 중심부위로 나누어 평가시 top greasiness, wetness of sauce on plate, moisture release의 특성에서만 큰 차이를 나타내어 피자의 텍스쳐 평가시 꼭 두 부위를 나누어 평가할 필요는 없었다고 할 수 있다. 피자의 가장자리는 가운데 부분보다 덜 기름지고 덜 촉촉하다고 평가되었는데 microwave 오븐으로 가열된 피자의 경우 단시간내에 고열을 받으며 가장자리가 더 빨리 익혀지기 쉬우므로 결과적으로 더 건조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PDF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 탈곡 시 종자 수분함량과 탈곡방법에 따른 종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Shelled at Different Seed Moisture and Threshing Method Conditions)

  • 이석순;윤상희;양승규;홍승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632-638
    • /
    • 2006
  •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 종자의 활력을 높일 수 있는 탈곡방법을 알기 위하여 단옥수수($Early\;Sunglow{\times}GCB\;70$)와 초당옥수수($Xtrasweet\;82{\times}Fortune$) 종자의 수분함량을 12, 15, 18, 21%로 건조한 후 손과 전기 탈곡기로 탈곡하여 $25^{\circ}C$ 발아율, cold test에서 출아율, 당 및 전해질 누출, ${\alpha}-amylase$ 활성 등 종자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손 탈곡은 종자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기계적 상처가 없었으나 기계 탈곡할 때 종자의 상처를 줄일 수 있는 수분함량은 단옥수수는 $15{\sim}21%$, 초당옥수수는 $12{\sim}21%$이었다. 2. Cold test에서 출아율은 종자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손 탈곡한 종자가 기계 탈곡한 종자보다 단옥수수는 $6{\sim}14%$, 초당옥수수는 $9{\sim}18%$ 높았다. 3. 단옥수수는 $25^{\circ}C$ 발아율과 cold test 출아율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초당옥수수는 관계가 없었다.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의 cold test에서 출아율은 침종 시 당 누출과는 부의 상관, ${\alpha}-amylase$ 활성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다. 4. 기계 탈곡 시 $25^{\circ}C$에서 상처립 비율, 발아율, cold test에서 출아율, 당과 전해질 누출량, ${\alpha}-amylase$ 활성을 고려한 적정 종자수분 함량은 단옥수수는 15%, 초당옥수수는 12%이었다.

모자제품의 레이블과 소비자 관리행동 (Care Labels and Consumer's Care Behavior of Hat Products)

  • 김차현;박명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84-1792
    • /
    • 2007
  • 현대의 패션의 다양화, 개성화로 패션 스타일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모자는 더욱 부각되어 수요자 층이 확대되고 있지만,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세탁 및 관리에 어려움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모자제품의 관리방법에 대한 소비자의 현황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모자 레이블 부착의 문제점과 개선책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며, 나아가 모자의 보관이나 세탁방법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의 모자제품의 세탁 및 관리행동에 관한 조사를 하기 위하여 서울 및 도시에 거주하며 모자를 소유하고 있는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남녀 395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을 고려한 할당 표본추출방법을 통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3월에서 4월까지 이루어 졌으며, 설문은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자 착용실태, 세탁방법, 건조방법, 보관방법에 관한 문항은 선다형으로, 모자 소비자 불만, 소비자 모자 레이블 인식에 관한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오차, 교차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첫째, 모자 소비자의 세탁방법 인식도와 실천정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세탁경험이 많은 여성이 모자 세탁 방법에 대하여 잘 알고 실천하고 있었으며, 편안함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보다 높은 연령대가 세탁방법을 더 잘 실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모자 소비자들은 다른 의복 아이템과 비교하여 울세제로 세탁망에 넣어 세탁기로 돌리거나 손으로 직접 빠는 세심한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탁빈도는 더러움이 탈 때마다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세탁의 주 목적은 얼룩제거로 나타났지만, 여성은 남성에 비해 모자의 형태보전과 냄새제거를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장소에 있어서는 그늘에서 건조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집게로 집어 빨래 줄에 말리는 경우가 많았다. 모자 세탁 시 세탁방법, 건조방법, 건조장소의 요인들보다 세제종류가 세탁 후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적절한 세제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인지시켜 피해를 줄이는데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 보관방법으로는 대부분 옷장 선반에 두고 있었으며 보관 후 형태변화 결과를 경험한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적합한 모자 보관으로 형태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대부분의 모자 소비자들은 레이블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다른 의복 아이템에 비하여 모자레이블에 대한 신뢰도는 더 낮게 나타나, 공급자들은 정확하고 실질적인 레이블을 표기하여 신뢰도 회복을 기해야 할 것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모자의 치수 체계 이해에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레이블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 남성 소비자에게도 전반적인 레이블에 대해 교육시키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하겠다. 후속연구에서는 모자의 다양한 형태나 재료에 따른 세탁 및 관리 방법을 보완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서 보다 구체적인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작약 품종의 가공방법에 따른 엑스 함량 비교 (Comparison on the Extract Content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정명근;안영남;강광희;조영손;김재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1-206
    • /
    • 2003
  • 한국산 재배작약의 품질평가 기준 확립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재매작약의 생육년수, 품종, 건조방법에 따른 작약의 성분적 품질평가의 한 요인이 되는 엑스 함량을 검토하고 아울러 작약의 활성효과 중 항염증 작용 및 위액분비 억제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엑스의 pH 변화 양상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년수의 차이에 따른 엑스 함량 및 pH변화를 검토한 결과 유피근, 거피근 모두 생육년수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2{\sim}4$년생 작약의 유피근 함유엑스 함량이 거피근보다 $3.7%{\sim}9.2%$ 높은 양상을 나타내므로 작약근 껍질부위에도 엑스 추출 시 용출되는 물질이 다량 존재함을 알 수 있다. 2. 4년생 의성작약, 영천작약 및 좀작약을 각각 유피근과 거피근으로 가공하고 상온에서 음건한 후 각 품종별 엑스함량 및 엑스의 pH변화를 조사한 결과 엑스 함량의 경우 유피근, 거피근 모두 품종 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영천작약이 유피근, 거피근 각각 36%, 30% 수준으로 의성 작약 및 좀작약 보다 높은 엑스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엑스의 pH는 품종 간 차이가 인정 되지 않았다. 3. 4년생 의성작약을 대상으로 건조방법에 따른 엑스 함량 및 엑스의 pH 변화를 검토한 결과 유피근, 거피근 모두 건조방법 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엑스 함량은 유피근의 경우 상온 음건이, 거피근은 $80^{\circ}C$ 수증건법 이 가장 높았고, 동결건조법은 유피근, 거피근 모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엑스의 pH변화는 유피근, 거피근 모두 냉동건조법이 pH 5.1 수준으로 가장 높았고, $80^{\circ}C$ 수증건법이 유피근, 거피근 모두 pH 3.7 수준으로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