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침지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6초

포도주스 침지 제조 흑삼의 Ginsenoside Rg3 함량 변화와 Acetylcholinesterase 억제효과 (Change of Ginsenoside Rg3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of Black Ginseng Manufactured by Grape Juice Soaking)

  • 이미라;윤범식;손백신;류뢰;장동량;왕춘년;왕젠;이선영;모은경;성창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49-354
    • /
    • 2009
  • 흑삼의 속성제조와 ginsenoside $Rg_3$ 함량을 극대화하고자 흑삼 제조시 포도주스에 24시간 침지한 후 $120^{\circ}C$에서 30분간 3회 반복 증숙하여 흑삼을 제조한 후 HPLC 방법을 이용하여 ginsenosides를 분석하였다. 포도주스에 침지하여 제조한 흑삼의 ginsenoside $Rg_3$ 함량은 10.91 mg/g으로 구증구포 방법으로 제조한 흑삼보다 약 2배 가량 함량이 증가되었다. 총 사포닌 함량은 14.97 mg/g으로 전통적인 구증구포 방식으로 제조한 흑삼 (12.79 mg)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흑삼의 단회투여 (200 mg/kg, p.o.)에 의한 뇌조직 AChE 활성은 투여 24시간 후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적용한 새로운 제조방법은 ginsenoside $Rg_3$를 강화하는 흑삼의 속성제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또한, AChE 활성억제를 통해 흑삼이 뇌기능 개선에 대한 잠재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재래식 메주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 손양도;최춘언;안봉전;손규목;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26-232
    • /
    • 1985
  • 재래식메주의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은 분리하였으며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 함량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지한 콩과 삶은콩으로부터 얻은 조지질의 분획은 중성지질이 각각 92.47%, 92.35%이었으며, 인지질 및 당지질이 4.64%, 4.88%로 각각 나타났나. 발효과정중 중성지질은 80.59%까지 감소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2. 침지한 콩과 삶은콩의 비극성 지질에서 triglyceride함량은 89.66%, 87.83%로 주류를 이루었고,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diglyceride 및 sterol이 발효과정중 그 함량이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는 크게 감소했다. 3. 침지한 콩과 삶은콩에서, 조지질, 증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4{\sim}58%$, oleic acid $22{\sim}20%$, palmitic acid $10{\sim}12%$, stearic acid $3{\sim}5%$였으며 myristic acid는 trace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과정 중 당지질에서 myristic acid가 발효 2주때 부터 나타나며 약 2%정도를 유지했다. 4. 메주 발효기간 동안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2주째 부터 점차 감소했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약간씩 감소했으며, linolenic acid는 인지질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는 약간씩 증가했다. 5. 발효기간 동안 당지질 분획에서 myrist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은 3주째 최대치를 보였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는 3주째 까지 증가한 후 차차 감소하였고 linoleic acid는 1주째 부터 6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원료(原料)의 종류(種類)와 형태(形態)에 따른 Aspergillus oryzae 국(麴)의 생리활성(生理活性) 및 효소력(酵素力) (Physiological Function and Enzyme Activity of Koji Cultured by Aspergillus oryzae CNU O4-5 in the Various Grain Materials)

  • 최성현;정재홍;이상덕;손화영;성창근;오만진;김성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83-289
    • /
    • 1997
  • 재래식 메주로 부터 분리한 CNU O4-5를 Aspergillus oryzae로 동정하고 이 곰팡이를 장류제조에 이용하기 위해 원료를 달리하여 만든 koji의 효소 역가,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제의 생성과 항산화력,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을 측정하였다. ACE 저해제의 생성은 밀가루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콩분말 koji, 침지대두 및 쌀 koji가 모두 저해도 45-54% 정도로 비슷하였다. Lard에 의한 koji의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4일 까지는 밀가루 koji, 콩분말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침지 대두 koji, 쌀 koji 모두 peroxide value(POV)가 낮아 안정하였으며 6일째는 쌀 koji와 밀가루 koji는 POV가 높게 나타났고 콩가루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침지 대두 koji는 POV가 증가하지 않아 항산화력이 높았다. 따라서 콩을 원료로한 koji가 항산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밀가루, 밀가루+콩분말, 콩분말 koji의 SOD 활성은 2,000 units/g으로 같은 값을 보였다. 원료에 따른 Aspergillus oryzae koji의 $\alpha$-amylase와 gluco-amylase 활성은 밀가루 koji가 콩가루 koji 보다 높았으며 침지한 대두 koji와 쌀 koji는 낮은 값을 보였다. 중성 protease와 알칼리성 protease 활성은 콩분말 koji가 밀가루 koji 보다 높았고 침지한 대두 koji와 쌀 koji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개의 태아사 및 태아침지 (Fetal Death and Maceration in dog)

  • 신창록;손창호;박인철;최한선;강병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2-117
    • /
    • 1997
  • 12-month-old Buldig and 3-year-old German Shepherd, treated with corticosteroids duringthe late pregnancy, were referred to the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ith chief complaints of vaginal discharge. Radiographic, ultrasonographic and surgical findings that obtained from each cases were as follows; case I: Radiographic findings were identified 2 fetuses that were normal skeleton, however, fetal viability could not be determined. Ultrasonographic findings were identified absence of fetal heartbeat and fetal movement, abnormal echogenicity of the abdominal visera, and echogenic materials remaining within the fetal fluid. After hysterotomy, macroscopic findings of uterus were liquefied materials remaining within the uterine lumen. Fetuses were excessively autolysis (falling off the hair, depression of the eye, and necrosis of the abdormal visera and skin). case II: Radiographic findings were identified irregular fetal structures and fetal movement, loss of recognizable fetal anatomy, dislocation of fetal veterbrae and echogenic materials remaining within the uterine lumen. After ovariohysterectomy, macroscopic finding of uterus and fetus were thickened uterine wall, yellowish-brown colored administration of corticosteroids during gestation should be contraindicated because fetal death is inducced. Ultrasonography has an advantage over radiography in that it permits evaluation of fetal viability.

  • PDF

수삼부패억제 활성물질 선발연구 (A Study on Suppression Components of Spoiling Ginseng)

  • 손현주;주인선;성창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67-73
    • /
    • 1999
  • 수삼부패와 관련된 미생물을 선발 및 동정한 결과 부패한 수삼으로부터 20종의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중 수삼을 빨리 부패시키는 균주 6종(세균 5종,사상균 1종)을 분리하였다. 수삼부패 세균은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putidaa biotype A, Bacillus spp., Enterobacter cloecae 및 Klebsiella pneumoniae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수삼부패사상균은 Rhiaopu oryzae로 동정되었다. 이중 수삼부패를 가장 빨리 일으키는 균주는 Bacillu spp.이였다. 수삼부패 억제물질을 선택하기 위하여 생약추출물과 정유 50여 종으로부터 가자 및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감국, 누노, 선복화, 자초 및 지유의 정유를 Bacillus spp.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한 물질로 선발하였다. 이 중 가자추출물과 오미자추출물은 Bacillu spp의 생육을 크게 억제하였다. 특히 가자추출물은 천연 보존제로 시판되고 있는 DF-100(자몽씨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의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가자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은 약한 지용성을 띠는 극성의 산성물질로 판단되며 현재 이물질을 분리,정제 중에 있다. 수삼을 가자 추출물의 $1\%$수용액에 5분간 침지하였으나 $30^{\circ}C$에서 보관하였을 때 Bacillus spp에 의한 부패가 다소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가자 및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감국, 누노, 선복화, 자초 및 지유의 정유를 수삼부패 억제활성물질로 선발하였으며 앞으로 원료삼(수삼)의 장기저장에 이들 생약추출물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rgon gas 병용처리가 신선편이 감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argon gas treatment on the quality of fresh-cut potatoes)

  • 손현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3-16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rgon 가스포장과 기존의 갈변저해물질 중 그 효과가 입증된 ascorbic acid와 저온 blanching 처리 등의 병용처리를 통해 신선편이 감자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감자는 박피 후 cube 형태($1.5{\times}1.5{\times}1.5$ cm)로 절단하여 증류수에 1분간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argon 가스포장(AR), 1% ascorbic acid에 1분간 침지(AA), 1% ascorbic acid에 1분간 침지 후 argon 가스포장(AAR), $35^{\circ}C$에서 30분간 blanching처리(BA), $35^{\circ}C$ 에서 30분간 blanching처리 후 argon 가스포장(BAR),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것을 대조구(Cont)로 하여 OPP film에 열접합 포장 후 $5^{\circ}C$에 저장하였다. Cont, AA, BA구의 $O_2$ 농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argon 가스 포장처리구인 AR, AAR, BAR구에서 $O_2$ 농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다. $CO_2$ 농도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다. 색도 분석 결과 argon 가스포장한 AR, AAR, BAR구에서 Cont, AA, BL구에 비해 높은 $L^*$값과 낮은 갈변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총균수를 분석한 결과 Cont구에서 눈에 띄게 높은 총균수를 나타내었고, argon 가스포장처리구인 AR, AAR, BAR구에서 AA, BL구보다 비교적 낮은 총균수를 나타내어 argon 가스포장이 항갈변 뿐만 아니라 호기성미생물의 생육 저해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olyphenol oxidase(PPO) 활성은 Cont 구에서 눈에 띄게 높은 PPO 활성을 나타내었고 AR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PPO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해 본 결과 AA, AAR구에서 눈에 띄게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구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argon 가스포장과 병용처리는 신선편이 감자의 갈변 저해, PPO 활성 저해, 항균 효과 등 품질저하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량원소 강화 식품소재의 항균효과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race Elements in Combination with Food Additives)

  • 김보미;목종수;오은경;손광태;심길보;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5-41
    • /
    • 2006
  • 식중독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예방은 물론 부족하기 쉬운 필수 미량원소의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연 및 게르마늄 등의 필수 미량원소를 강화시긴 식품소재의 항균효과 및 그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식중독 6 균주에 대하여 gelatin, dextrin, 불가사리 및 어류에서 추출한 collagen등의 식품소재에 각종 미량원소를 강화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식품소재의 종류에 따른 항균활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사용된 미량금속 중 아연과 게르마늄만이 식중독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연 강화 식품소재는 P. fluorescens와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E. coli, V. parahaemolyticus, B. cereus, E. subtilis에 대하여는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연을 강화한 식품소재는 산성영역에서 안정하였으며, 게르마늄 강화 식품소재는 산성영역보다 알칼리 영역에서 보다 안정하였다. 또한, 미량원소 강화 식품소재는 열에 매우 안정하므로 가열식품인 통조림 제품이나 레토르트 식품에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의 코팅 제로 사용되고 있는 gelatin과 아연을 혼합한 용액에 시판 어묵을 침지하여 코팅한 것을 저온 및 상온에 저 장하면서 생균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저장온도 $10^{\circ}C$에서 대조구는 초기부패$(10^{7-8}\;CFU/g)$ 까지 7일정도 걸리는데 반하여 시료 용액에 침지한 어묵은 IS일정도로 저장기간을 8일정도 더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5^{\circ}C$$35^{\circ}C$의 경우도 $1\%$ zinc acetate와 $3\%$ gelatin의 혼합 용액으로 코팅된 어묵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균 증식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아연 강화 식품소재 코팅에 의하여 식품오염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켜 어묵 제품의 유통기 간을 연장시키는 것은 물론 필수 미량원소인 아연의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클로버 오일을 이용한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및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의 제조 (Control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um Using Clove Oil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Fresh-Cut)

  • 류희영;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2
    • /
    • 2007
  • 생마의 저장성 및 접근성 강화에 따른 소비증대 및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마 저온부패균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저온$(4^{\circ}C)$ 및 상온$(30^{\circ}C)$ 부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seudomonas rhodesiae YAM-12 에 대해 다양한 자생 및 약용식물 추출물 800여종의 항균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버 오일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건전생마 신선편이에 1%클로버 오일을 3분간 침지하여,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한 경우, 색차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생물의 증식 또한 완전히 억제되었다. 한편 P. rhodesiae YAM-12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고(초기농도 $10^3$ CFU/g),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1%클로버 오일의 처리는 색차 변화를 최소화하며, 미생물증식을 $10^4$ CFU/g로 억제하였다. 반면 무처리, 멸균수 및 NaOCl 처리의 경우에는 심각한 부패와 함께 색차변화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클로버 오일의 항균, 항산화, 항혈전 활성과 향신료로 사용되어온 점을 고려할 때, 클로버 오일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는 별도의 화학 방부제 처리 없이 생마의 유통안전성 향상 및 부패억제, 기능성 및 향미부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시판 과일 및 야채 주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Domestic Fruit and Vegetable Juice)

  • 이만효;김미선;신화균;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6-1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건조 근채류 절편을 천연과일주스에 침지 후 건조하여 과일주스의 관능성과 유용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근채류 칩 개발을 목표로, 먼저 국내 시판주스 8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사과, 오미자, 포도, 머루, 오렌지, 토마토, 홍삼 및 흑마늘 주스의 평균 수분함량, pH, brix 및 산도는 각각 $85.59{\pm}5.80%$, $3.90{\pm}0.64$, $12.19{\pm}4.70%$, 및 $0.49{\pm}0.19%$였다. 총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흑마늘 주스 및 포도 주스가 각각 1.50 및 1.21 mg/ml으로 8종 주스 평균인 0.57 mg/ml보다 매우 높았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도 흑마늘 주스 및 포도 주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스들의 항혈전 활성 평가 결과, 오미자 주스에서만 아스피린 1.5 mg/mL에 상당하는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항균 활성 평가 결과, 오미자, 포도, 및 오렌지 주스에서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났으나 항진균 활성은 모든 주스에서 인정되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포도>흑마늘>오렌지>머루>토마토>사과>오미자>홍삼 주스 순으로 나타났으며, nitrite 소거능은 머루>흑마늘>포도>홍삼 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오미자 주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포도 및 흑마늘 주스를 이용한 관능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근채류 칩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요소수지를 주체로 한 편직물구조 개선연구 (Urea Resin Treat Effects on Silk Textiles)

  • 최병희;이양후;김한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3
    • /
    • 1978
  • 본 연구는 견직물의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바람직한 방추성을 보유하는 보다 좋은 요소수지가 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년간에 걸친 보고이다. 특히 본보고는 요소와 결합하는 폴마린양을 극소화한데 특징이 있고 일반요소수지보다도 더욱 우수성을 보이는 반금속성요소수지(Homo Metalic Urea Resin)을 개발하였다는 사실도 첨가하며 본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보고에 수록된 요소수지조성은 폴마린함량을 극소화하였고 조성된 수지에서 거의 폴마린냄새를 인정할 수 없을 정도였으며 이전에 보고된 어느 것보다 가장 소량의 폴마린으로 요소수지를 만들었다. 2. 필자가 최초로 만든 화합물 즉 uric zincchloride와 폴마린을 원료로 하여 새로운 반금속성요소수지(Homo Metalic Urea Resin)를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합성수지처리와 중앙처리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3. 위의 두가지 수지처리에서 방추도, 강연도 및 발키네스 등이 증가되었는데 신규개발한 수지가 더욱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견방사나 저연사견직물이 생사나 고연사손직물의 경우보다 좋은 방추개선을 보였다. 5. 두가지 수지처리법이 모두 실용상의 경제성이 좋았다. 6. 강력과 신도가 수지처리후 다소 저하되었는데 이것은 수지처리로 가교작용과 증량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이었다. 7. 특수한 요소수지처리방법으로 양모와 유사한 견사제조법도 개발했다. 이 방법은 요소용액에 침지한 생사를 폴마린가스로 충만된 밀실에 방치해 둠으로서 생사표면에 스케일을 발생하게 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