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소독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19초

물 없이 사용하는 알코올 젤의 손소독 효과에 관한 연구 (Bactericidal Effect of Waterless Alcohol Gel Hand Washing Agent)

  • 정재심;김덕희;김미나;최명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27-13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and disinfection effect of waterless alcohol gel hand washing agent with that of soap and water, 4% chlorhexidine gluconate, and 10% povidone-iodine. Hands of fourty subjects were artificially contaminated with Acinetobacter baumannii $5m{\ell}$ and randomly distributed to each hand washing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loved hand by glove juice sampling procedure. Mean log reduction after hand washing were compared with baseline values. Number of microorganisms were converted to log and tested by ANOVA in SPSSWIN 10.0. Mean log reduction of soap and water, alcohol gel, 4% chlorhexidine gluconate, 10% povidone-iodine were $2.76{\pm}0.62$, $2.97{\pm}0.56$, $4.66{\pm}1.70$, $4.60{\pm}0.91$, respectively. The bactericidal effect of alcohol gel was similar to that of soap and water, but the effect was much less than chlorhexidine gluconate and povidone-iodine(p<0.001). In terms of microorganism reduction, the efficacy of waterless alcohol gel was almost the same as soap and water hand washing. Further evaluation of the bactericidal effect of waterless alcohol gel is needed because waterless alcohol gel is simple, convenient, and non-irritating hand washing agent and also very effective in busy hospital environment.

  • PDF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Hand Washing Frequency and Methods during COVID-19 Pandemic)

  • 손성민;곽성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659-16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 14명이며, 시각적 영상 자료를 활용한 손 씻기 교육에 참여하였다.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은 소개, 이론교육, 실습으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2회로 16회기,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손 씻기 이론교육은 손 씻기 중요성과 적응증, 올바른 손 씻기 단계와 방법, 손 씻기 도구 사용방법, 그리고 손 소독제 특성을 포함한 손 소독제 사용방법, 손 씻기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으로 구성되었다. 손 씻기 평가는 손 씻기 빈도와 방법 관찰 기록지를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손 씻기 빈도는 일상생활의 일과 중에서 손을 씻는 빈도를 평가하였으며, 일별, 월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손 씻는 방법은 손 씻는 도구사용, 시간, 부위, 손 씻은 후 건조방법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들의 손 씻는 빈도가 증가하였고, 손 씻는 방법도 향상되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적극적인 감염예방 방법으로 손 씻기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를 증가시키고, 손 씻기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손 씩기 교육의 적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손 소독제에 따른 소독효과 및 MRSA 분리 (The Effect of Disinfection and the MRSA Isolation from Hand Disinfectant in ICU Nurses)

  • 박선남;류경화;정정임;박옥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9-367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a within subject repeated pretest-posttest design done to compare the effect of disinfection and the degree of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from hand disinfectant in ICU nurses. Method: Out of the total internal medicine/surgery ICU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29 female nurses who were participating in direct patient care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fter collection of samples, Staphylococcus aureus and MRSA were isolated from the palms, nails and nasal cavities of the nurses according to disinfectants (soap and beta-scrub). Results: The effect of disinfection was great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nd the effect of disinfection on palms was high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s for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there was more isolation in palms in the soap group than in the beta-scrub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from the hand disinfectant in nails and nasal cavities. Conclusion: Beta-scrub showed a superior prolonged effect against transient bacteria compared with soap. Further, to reduce MRSA infection, we recommend interventions focused on these aspects.

  • PDF

치과계를 위하여 추천하는 감염 방지 실무, 1993

  • 오세광;김각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2권6호통권301호
    • /
    • pp.409-416
    • /
    • 1994
  • 이 자료는 이전에 공표 되었던 치과계에서의 감염방지 실무에 관한 CDC 권장사항을 개정한 것으로, 새로운 데이터, 재료, 기술, 및 장비 등이 반영되었다. 이러한 권장사항을 이행하면 치과 환경 내에서, 환자에서 치과의료종사자로, 치과의료종사자에서 환자로, 그리고 환자에서 환자로 질병이 전염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감소시켜 줄 것이다. 이 문서에는 감염방지의 원칙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특정 권장사항들이 서술되어 있다. 즉, 치과의료종사자들의 예방접종; 보호용 치장과 방책 기법; 수세와 손의 보호; 날카로운 기구와 바늘의 사용과 관리; 기구들의 멸균이나 소독; 치과진료대 및 주위 표면들의 세척 및 소독; 소독과 치과기공소; 치과진료대의 공기관과 수관에 연결된 핸드피스; 역류방지용 밸브; 기타 구내용 치과 장비 등의 사용과 관리; 한번 쓰고 버리는 기구; 생검 표본의 취급; 치과교육 현장에서 발치 치아를 사용하는 것; 폐기물의 폐기; 권장사항들의 이행.

  • PDF

두 가지 알코올제제 손마찰과 포비돈 아이오다인의 외과적 손소독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Antimicrobial Effect of Two Waterless Alcohol-based Hand Rubs with a Povidone-Iodine Hand Scrub for Surgical Hand Antisepsis)

  • 주형례;정재심;김미나;박광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1호
    • /
    • pp.55-6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1% chlorhexidine gluconate/61% ethanol (CHG/ethanol), 45% ethanol/18% 1-propanol (ethanol/propanol) and 7.5% povidone-iodine (PVI) scrub with brush to evaluate their antimicrobial effect. Method: Utilizing repeated measures design, 9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Glove juice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evaluate microbial hand counts before the surgical hand antisepsis, one minute after hand wash, and after the surgery. Results: Waterless rub using CHG and ethanol combination resulted in a 3.94 log reduction at 1 min and 2.78 log reduction at 3 hrs. Ethanol/propanol resulted in a 2.42 at 1 min and 2.22 at 3 hrs. The traditional scrub using PVI with brush resulted in a 0.94 at 1 min and 0.95 at 3 hrs (p=.003) and 3 hrs (p=.026) after the surgical hand antisepsis.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p=.002). Duncan post hoc test result showed that the PVI was less effective (p<.05) in sterilizing microbials on hands than CHG/ethanol or ethanol/propanol. Conclusion: Both of the two alcohol-based antiseptic rubs are acceptable alternatives to the PVI with brush for surgical hand antisepsis.

창원시 식품접객업소의 위생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anitary Status at Various Types of Restaurants in Changwon City)

  • 이경혜;류은순;이경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47-75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264개 식품접객업소의 위생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조리책임자)들은 40대가 가장 많았고, 여성이 70.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학력을 보면 63.7%가 고졸이었으며, 업종에 있어 경양식 업종이 다른 업종에 비해 연령층이 낮고 학력이 높았다. 위생교육은 전체 업소의 66.5%가 종업원에 대한 위생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업종은 한식 업종(83.1%)이며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이는 업종은 경양식 업종(55.6%)이었다. 종업원의 96.6%가 더러운 것을 만진 후에 손을 씻었으며 돈을 만진 후에는 77.5%가, 전화 사용 후에는 51.7%가 손을 씻고 있었다. 또한 58.5%는 주방 내에서 전용신발을 착용하며, 55.4%는 위생복을 착용하지만 모자를 착용하는 비율은 10.6%밖에 되지 않았고, 악세사리의 착용에서 반지는 13.6%, 팔찌는 8.5%, 시계는 14.3%가 착용하고 있었다. 위생점검표는 24.2%만이 보유하고 있었다. 도마는 전체적으로 일주일에 1회 소독이 74.8%로 조사되었다. 경양식 업종은 55.4%로 다른 업종보다 낮게 나타났다(p<0.01). 칼은 조사대상 업소의 71.6%가 매일 소독하고 있었으나 경양식 업종은 59.4%로 낮게 나타났다(p<0.01). 행주는 조사대상 업소의 92.7%가 매일 소독을 수행하고 있으나 경양식 업종이 81.5%로 다른 업소보다 낮게 나타났다(p<0.01). 조사대상 업소의 81.8%는 정기적인 방충 방서 작업을 시행하였고 쓰레기통의 조리실과 옥외용의 분리는 조사업소의 83.1%가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작업종료 후 작업장 바닥의 청소에서 97.3%는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있으나 소독은 68.2%만이 실시하고 있어 소독 수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식품접객업소의 93.3%는 조리된 음식과 조리되지 않은 음식을 분리해서 보관하고 있었다. 한번 해동시킨 식품을 다시 냉동하여 사용하는 업소의 비율도 49.8%로 조사되었다. 19.4%는 배식 후 남은 음식을 다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냉동식품을 해동시킬 때는 식중독의 위험이 높은 실온에서 9.4%가 해동시켰으며, 특히 갈비 업종의 경우 66.7%가 실온에서 해동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식품접객업소의 종업원에 대한 위생교육 실시가 낮으므로 정부에서는 이들이 종업원에게 위생교육을 전체적으로,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에 대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야 하겠다. 위생교육 내용에서도 식당시설, 기기 등 취급시의 손세척 실시와 도마소독, 작업장 바닥 소독이 미비하므로 소독의 중요성과 소독방법에 대해서도 강조하여야 하겠다. 식품 취급시 조리된 음식에 대한 온도관리가 미비하고 해동시의 온도관리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고 특히, 위생에서 온도-시간관리의 개념이 매우 부족하므로 식품 접객업소의 경영주와 종업원을 대상으로 이러한 측면에 대한 정기적인 위생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겠다.

  • PDF

소규모 외식업체용 IP-USN을 활용한 HACCP 시스템 적용 및 유효성 검증 (The Implementation of a HACCP System through u-HACCP Application and the Verification of Microbial Quality Improvement in a Small Size Restaurant)

  • 임태현;최정화;강영재;곽동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64-477
    • /
    • 2013
  • 대부분의 외식산업은 생산 품목, 생산 방법, 생산 기술, 대상자들이 제조가공업체와는 매우 다르고 생산량, 취급인원, 영업규모등도 학교나 병원급식과는 여러 요소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외식업체에서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하여 종사자 대상 위생교육과 도입 전후의 미생물 분석과 시스템 도입에 따른 유의성 평가와 평가항목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USN를 구축하여 도입 전후의 시간-온도관리 분석을 시행하여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위생교육 전후 조리 종사자의 위생업무 지식에 관한 평가 결과 개인위생, 식품의 공급 및 저장, 식품의 취급 및 배식, 기구의 세척 및 소독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위생교육 전후 조리 종사자의 수행도에 관한 평가결과 식품의 취급 및 배식, 기구의 세척 및 소독, 작업 환경관리 영역에서 유의적으로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조리 종사자의 교육 전후의 위생지식 결과는 개인위생(p<0.05), 식품의 공급 및 저장(p<0.05), 식품의 취급 및 배식(p<0.05), 기구의 세척 및 소독 영역(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정답률이 상승하였고 전체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교육 전 75%에서 교육 후 90%로 향상되었다. 조리 종사자의 위생업무에 대한 수행도 결과는 식품의 취급 및 배식(p<0.05), 기구의 세척 및 소독(p<0.05), 작업 환경관리 영역(p<0.05)과 총 점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HACCP 도입 전후의 소독에 따른 양상추 샐러드 미생물 품질분석 결과는 소독전 일반세균이 양상추 원재료 4.80 logCFU/g에서 소독 후 2.41 logCFU/g으로, 라디치오는 원재료 4.15 logCFU/g에서 소독 후 2.48 logCFU/g으로, 토마토는 원재료 4.10 logCFU/g에서 소독 후 평균 1.68 logCFU/g으로 나타나 중요관리점인 세척 시 소독을 통해 미생물 수치가 감소되었다. 멸치와 꽈리고추의 미생물적 품질결과는 원재료의 일반세균수는 각각 4.52 logCFU/g, 5.72 logCFU/g으로 나타났고, 볶았을 때 멸치는 2.07 logCFU/g, 꽈리고추는 1.50 logCFU/g으로 낮아졌다. 가열 공정 후 대장균군과 장내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멸치꽈리볶음의 생산 공정은 재료별로 따로 볶아 버무리는 공정이 있어 최종식품에는 일반세균 4.33 logCFU/g, 대장균군 0.71 logCFU/g, 장내세균 1.65 logCFU/g, 황색포도상구균이 1.27 logCFU/g으로 검출되었다. 숙주나물의 미생물 분석 결과는 조리단계 및 배식단계에서 각각 4.20 logCFU/g, 4.68 logCFU/g의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적용 후의 조리단계 및 배식단계에서는 각각 3.26 logCFU/g, 3.34 logCFU/g으로 나타났다. 숙주나물 및 잡채의 후처리 작업시 HACCP 적용 전 종사자 손의 일반세균수는 평균 5.90~5.99 logCFU/hand에서 적용 후 평균 0~2.30 logCFU/hand로 나타났다. 가열조리 후처리 공정에서는 교차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종사원의 손의 위생적인 관리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도입 전과 도입 후 2개월 시점의 조리 종사자의 위생지식점수 차이, 위생수행도 차이, 양상추 샐러드와 조리 종사자 손의 미생물적 품질 개선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위생수행도의 변화와 양상추 샐러드의 미생물적 품질 개선 효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여 위생 수행도가 높아질수록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위생지식의 변화와 조리 종사자 손의 미생물 변화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5)가 있었다. u-HACCP 시스템 도입 전후 온도관리에서의 3가지(온도측정의 정확성, 온도관리 효율성, 온도범위의 안정성)를 평가하였는데, 도입 전에는 업무시간에 냉장고 $5^{\circ}C$ 이하, 냉동고 $-18^{\circ}C$ 이하, 온장고 $57^{\circ}C$ 이상의 기준이 지켜지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입 후 냉장고, 온장고, 식기세척기마다 자동경보로 위생 사고를 예방하였고 실시간 상황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어 HACCP 업무가 대폭 간소화 되었으며, 무엇보다 지속적인 위생교육으로 인해 직원들의 위험온도($5^{\circ}C{\sim}57^{\circ}C$)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냉장, 냉동, 온장고의 기준온도의 준수율이 상승되었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센서 온도계를 이용하여 검수, 가공, 보존, 조리, 유통 등 각 단계별로 자동 모니터링이 가능해 잠재적 위험요소를 사전에 관리자에게 통보해 줌으로써 식품의 위생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특징을 이용하여 식재료 안전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24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신속한 개선조치와 이력 관리 모니터링을 통한 신뢰성 있는 품질경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물과 솔 없이 사용하는 외과적 손 소독제 Chlorhexidine/Ethanol 혼합제와 Povidone-iodine의 소독 효과 (Evaluation of a Waterless, Scrubless Chlorhexidine Gluconate/Ethanol Surgical Scrub and Povidone-Iodine for Antimicrobial Efficacy)

  • 최정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9-4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1% chlorhexidine-gluconate/61% ethanol (CHG/Ethanol) emollient and 7.5% povidone-iodine (PVI) scrub for antimicrobial, residual effect, and skin condition. Method: CHG/Ethanol emollient hand hygiene was performed waterless, and brushless by operating doctors and nurses (N=20). PVI hand washing was performed with water and a brush (N=20) for 5 min. The subjects were asked to press their left hand in hand-shaped agar before a surgical scrub, immediately after a surgical scrub and after the operation. The amount of isolated microorganisms were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divided areas($1{\times}1cm$, 160 cell) which were culture positive in the hand culture plate. The skin condition was evaluated. Result: The antimicrobial count of CHG/Ethanol emollient and PVI immediately post surgical scrub was 0.0 vs. 4.1 (p>.05), and after the operation was 0.1 vs. 37.8 (p>.05)respectively. The Residual effect of CHG/Ethanol emollient immediately post surgical scrub and after the operation were 0.0 vs. 0.1 (p>.05), and PVI were 4.1 vs. 37.8 (p>.05)respectively. The skin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CHG/Ethanol emollient was higher than PVI (p<.05). Conclusion: The antimicrobial effect between CHG/Ethanol emollient and PVI were the same. Considering skin condition, satisfaction and allergic reaction CHG/Ethanol emollient for surgical scrub is recommended in Korea.

영상의학과 흉부 엑스선 촬영 기기의 세균 오염도 (Bacteriological Research for the Contamination of Equipment in Chest Radiography)

  • 최승구;송운흥;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395-401
    • /
    • 2015
  • 영상의학과의 흉부엑스선 검사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기기의 오염 정도를 세균학적으로 확인하고 균을 동정하여 병원감염의 예방과 감염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상의학과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환자의 기기 접촉부위인 어깨, 손, 턱, 흉부 측면촬영의 손잡이 부위를 70%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소독하기 전과 후를 면봉으로 검체를 채취하여 세균을 동정하여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흉부 엑스선 기기에서 소독전의 측면촬영의 손잡이에서 그람 양성의 Staphylococcus가 분리되었다. 최종동정을 위해 노보바이오신 (nobobiocin) 항생제 시험을 실시하여 민감성으로 Staphylococcus epidermidis로 확정하였다. 흉부촬영 기기에서 측면촬영의 손잡이 부위를 소독 전에 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이 검출되었다. 흉부엑스선 검사에서 기기를 주기적인 소독 및 멸균을 실시하여 병원감염을 예방하는 관리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초음파검사 시 기존 초음파젤과 비교한 손소독제의 유용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and Sanitizer compared to Conventional Ultrasound Gel during Ultrasound Examination)

  • 서선열;이진옥;김영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57-964
    • /
    • 2023
  •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성분과 제형의 손 소독제들을 전파 매질로 활용하여 초음파 검사를 진행한 후 획득한 영상을 평가·비교하여 기존의 초음파 젤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점도가 낮은 liquid type을 제외한 gel type, cream type, foam type의 제형의 제품들을 선정해 에탄올 62% gel type 1개와 cream type 1개, 벤잘코늄 염화물 0.066% cream type 1개와 foam type 1개를 각각 초음파 매질로 사용하여, 축방향 & 측방향 분해능, 투과심도, probe와 phantom 사이의 공기층 형성유무에 관한 영상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축방향 & 측방향 분해능 평가와 투과심도 평가에서 4개 실험군 모두 평가 기준에 적합한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foam type의 경우 분해능과 투과심도의 평가 기준에는 적합하지만 영상 평가 시 관찰 중심부를 제외한 양 측면부에서 어두운 음영으로 나타났다. 해당 실험을 통해 foam type을 제외한 나머지 3종의 손 소독제는 초음파 젤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