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소독제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초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의 효과 평가: 임상간호사의 손소독 수행 정도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Belt-type Hand Sanitizers in Clinical Nurses: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f hand disinfection and the satisfaction)

  • 조윤주;이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5-285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에 대한 손소독 수행정도와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수행을 위해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에 대한 효과평가는 손소독 수행 정도, 손소독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에 대한 만족도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 지역의 종합병원 병동의 임상간호사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벨트형 손소독제 사용 후의 손소독 수행 정도, 손소독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벨트형 손소독제는 손소독 수행정도와 손소독 수행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실무에서 벨트형 손소독제를 활용한다면, 손소독 수행 정도와 수행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의 유효성분을 조성물로 하는 손소독제 연구 (Study of a Hand Sanitizer Composed of Active Ingredients Geranial, Cineol, Menthol, and Chamaecyparis obtusa)

  • 김기현;최석찬;유연강;이수진;박운규;황석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3-183
    • /
    • 2016
  • 수장고 및 서고에서 곰팡이는 문화재와 기록물의 생물학적 열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또한, 독소를 생성하고 피부알레르기를 유발하여 유물과 기록물 및 도서를 다루는 근무자의 호흡기질환과 피부질환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근무자의 피부 및 손에 접촉되어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손소독제는 일반세균에 대하여 소독효과를 보이지만, 곰팡이에는 소독효과가 떨어져 이에 대한 대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손소독제 조성물로 친환경적인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Chamaecyparis obtusa)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손소독제를 연구 개발하여 박물관 및 기록관의 서고에서 조사된 곰팡이 10종(Alternaria citrimacularis, Alternaria consortiali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versicolor, Cladosporium sphaerospermum, Coniothyrium aleuritis, Penicillium brevicompactum, Penicillium corylophilum, Penicillium paneum, Penicillium polonicum)에 대하여 소독효과를 시험한 결과, 우수한 소독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의 유효성분을 조성물로 하는 손소독제의 개발로 문화재와 기록물 및 도서를 다루는 근무자의 피부질환과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손세정 방법에 따른 세균 제거 효과 비교에 대한 융복합 연구 (Comparison of Bacterial Removal Effectiveness by Different Hand Washing Methods)

  • 정무상;이장진;김지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69-74
    • /
    • 2019
  • 본 연구에 목적은 손세정제, 손소독제, 일회용 위생물티슈를 이용하여 손 위생용품간의 세균 제거 효과를 교차 실험설계를 통해 비교하는 융복합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를 위해 30명의 연구참여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세 개의 군으로 나누어 총 89개의 샘플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세균의 증식능력을 CFU로 측정하였다. 손 위생 전 손 위생용품을 사용하였을 때의 세균 감소값은 손세정제 사용 후에서 $-0.45({\pm}0.69)\;{\log}\;CFU/ml$, 알코올 손 소독제를 이용한 경우 $-1.19({\pm}0.52)\;{\log}\;CFU/ml$, 일회용 물티슈를 이용한 경우 $-0.75({\pm}0.58)\;{\log}\;CFU/ml$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손세정제를 사용하였을 때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세균제거능력이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알코올 소독제 사용이 살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경제적이고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알코올 손소독제를 공공시설에 비치하는 것이 감염병을 예방에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열 감지 센서를 활용한 코로나 방역 장치 (Covid-19 Prevention Device Using Thermal Sensing Sensor)

  • 문주원;안은지;김상훈;김수인;지은정;이은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0-14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나의 방역 장치에서 '온도 측정, 손소독'이 가능한 코로나 방역 장치를 구현한다. 라즈베리파이 기반에 센서들을 활용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는 체온 측정 후 손소독이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체온측정 결과와 하드웨어의 손소독제 잔량 확인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활용한 여러 다이어그램 기반의 설계 부분과 열 감지 센서를 활용한 하드웨어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볼 수 있다.

손소독제(겔형, 액제형, 와이프형)의 효능 평가법 개선: 평가 전략 연구 사례 및 손 균총 정보 활용 등 최근 동향 (Improvement of the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Gel, Liquid, and Wipes): Emerging Trends from in vivo/ex vivo Test Strategies for Application in the Hand Microbiome)

  • 오윤;송지섭;박한솔;이영훈;신진송;박다솜;남궁은;조태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1
    • /
    • 2023
  • 피부를 대상으로 한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외용소독제의 경우 식품 취급자에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또는 제거를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제품 소비 증가와 제품 다양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살균 효능은 소독제의 핵심 품질 평가 요소로서 수행 절차 및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시험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주요 제형별(겔형, 액제형, 와이프형) 시험법 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시험법별 특장점 분석 결과와 최근 관련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향후 효능 평가 체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체 대상 시험법의 경우 시험 유형에 따라 소독제를 시험 대상 피부 표면에 처리하는 조건이 다양화되어 있어 시험법 간 동등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소독제 제품의 성분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시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평가 체계 및 관련 규제의 표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와이프형 소독제의 경우 처리 방식이 미생물 제거 및 살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노출하는 손 대상 처리를 위한 사용 패턴의 표준화 사례가 부족 하였다. 한편 [전처리 - 소독제 노출 - 미생물 회수] 등 각 시험 절차별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을 발굴하는 연구의 지속 수행을 통해 기존 시험법을 개선하고 신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최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ex vivo 시험법은 인체 시험의 제한적인 연구 재현성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인간 피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손 피부를 대상으로 한 균총 연구 등 소독제 처리 전후 미생물의 특성과 분포 분석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보고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미생물 군집 단위의 소독제 효능 평가 시험법의 확립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소독제 효능 시험법의 현황 기반 발전 전략은 보다 효과적인 개인위생 관리 확립을 통해 손을 통해 교차 오염되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중보건 및 식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손 소독제에 따른 소독효과 및 MRSA 분리 (The Effect of Disinfection and the MRSA Isolation from Hand Disinfectant in ICU Nurses)

  • 박선남;류경화;정정임;박옥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9-367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a within subject repeated pretest-posttest design done to compare the effect of disinfection and the degree of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from hand disinfectant in ICU nurses. Method: Out of the total internal medicine/surgery ICU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29 female nurses who were participating in direct patient care wer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fter collection of samples, Staphylococcus aureus and MRSA were isolated from the palms, nails and nasal cavities of the nurses according to disinfectants (soap and beta-scrub). Results: The effect of disinfection was great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nd the effect of disinfection on palms was higher in the beta-scrub group than in the soap group. As for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there was more isolation in palms in the soap group than in the beta-scrub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RSA isolation from the hand disinfectant in nails and nasal cavities. Conclusion: Beta-scrub showed a superior prolonged effect against transient bacteria compared with soap. Further, to reduce MRSA infection, we recommend interventions focused on these aspects.

  • PDF

손 소독제 및 소독방법에 따른 외과적 손 소독 효과 (Comparison of Surgical Hand Scrub Formulations and Scrub Methods for Antimicrobial Efficacy)

  • 김명숙;김경자;신영란;박광옥;문향미;정재심;김미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18-12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ree surgical scrub methods-4% chlorhexidine gluconate(CHG) with brush, 4% CHG without brush, and waterless scrub using 1% CHG and 61% ethanol combination(alcohol-based agent)-for antimicrobial efficacy. Method: "Glove-juice technique" was used to evaluate microbial hand counts before surgical scrubs, 1 min and 3 hr after surgical scrubs. Result: Waterless scrub using CHG and ethanol combination resulted in a 4.8-log reduction at 1 min and 4.0-log reduction at 3 hr. CHG without brush resulted in a 4.7-log reduction at 1 min and 3.3-log reduction at 3 hr. The traditional scrub using CHG with brush resulted in a 3.6-log reduction at 1 min and 0.8-log reduction at 3 hr. The waterless scrub and CHG without brus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og reduction(p<.05) than CHG with brush at 1 min and 3 hr after surgical scrub. Waterless scrub showed greater log reductions than CHG without brush,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Waterless scrub using alcohol-based agent showed more persistent and immediate antimicrobial efficacy than either CHG with brush or CHG without brush.

  • PDF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Hand Wash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Hand Washing Frequency and Methods during COVID-19 Pandemic)

  • 손성민;곽성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659-16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 14명이며, 시각적 영상 자료를 활용한 손 씻기 교육에 참여하였다.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은 소개, 이론교육, 실습으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2회로 16회기,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손 씻기 이론교육은 손 씻기 중요성과 적응증, 올바른 손 씻기 단계와 방법, 손 씻기 도구 사용방법, 그리고 손 소독제 특성을 포함한 손 소독제 사용방법, 손 씻기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으로 구성되었다. 손 씻기 평가는 손 씻기 빈도와 방법 관찰 기록지를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손 씻기 빈도는 일상생활의 일과 중에서 손을 씻는 빈도를 평가하였으며, 일별, 월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손 씻는 방법은 손 씻는 도구사용, 시간, 부위, 손 씻은 후 건조방법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들의 손 씻는 빈도가 증가하였고, 손 씻는 방법도 향상되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적극적인 감염예방 방법으로 손 씻기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를 증가시키고, 손 씻기 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손 씩기 교육의 적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수박 CGMMV의 즙액전염 양상과 전염 억제제의 효과 (Sap Transmission Pattern of CGMMV and Effect of Disinfectant on Watermelon)

  • 고숙주;이용환;차광홍;이태선;박인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0-153
    • /
    • 2004
  • CGMMV의 즙액전염 양상을 구명하고 수박의 즙액전염 억제를 위한 소독제를 선발하였다. 바이러스 이병주를 혼식한 후 병 발생 추이를 조사한 결과, 생육초기에 4% 이병율을 보인 후 생육후기에 83%를 나타내 급속히 전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박의 접목용 칼과 적심용 가위에 대한 소독제는 전지분유, 탈지분유, 제3인산소다,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 등 4종이 87~95%의 CGMMV 억제효과론 보였다. 전지분유와 탈지분유는 손에 대해 88.2%와 91.2%의 소독효과를 나타냈다.

물과 솔 없이 사용하는 외과적 손 소독제 Chlorhexidine/Ethanol 혼합제와 Povidone-iodine의 소독 효과 (Evaluation of a Waterless, Scrubless Chlorhexidine Gluconate/Ethanol Surgical Scrub and Povidone-Iodine for Antimicrobial Efficacy)

  • 최정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9-4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1% chlorhexidine-gluconate/61% ethanol (CHG/Ethanol) emollient and 7.5% povidone-iodine (PVI) scrub for antimicrobial, residual effect, and skin condition. Method: CHG/Ethanol emollient hand hygiene was performed waterless, and brushless by operating doctors and nurses (N=20). PVI hand washing was performed with water and a brush (N=20) for 5 min. The subjects were asked to press their left hand in hand-shaped agar before a surgical scrub, immediately after a surgical scrub and after the operation. The amount of isolated microorganisms were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divided areas($1{\times}1cm$, 160 cell) which were culture positive in the hand culture plate. The skin condition was evaluated. Result: The antimicrobial count of CHG/Ethanol emollient and PVI immediately post surgical scrub was 0.0 vs. 4.1 (p>.05), and after the operation was 0.1 vs. 37.8 (p>.05)respectively. The Residual effect of CHG/Ethanol emollient immediately post surgical scrub and after the operation were 0.0 vs. 0.1 (p>.05), and PVI were 4.1 vs. 37.8 (p>.05)respectively. The skin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CHG/Ethanol emollient was higher than PVI (p<.05). Conclusion: The antimicrobial effect between CHG/Ethanol emollient and PVI were the same. Considering skin condition, satisfaction and allergic reaction CHG/Ethanol emollient for surgical scrub is recommende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