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손상메커니즘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amage monitoring scheme of caisson-type breakwaters (Caisson식 방파제의 손상 모니터링 기법)

  • 박재형;이병준;이용환;김주영;김정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Committee for Ocean Resources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1-156
    • /
    • 2004
  • 최근 국내외에서 국제무역 물량의 증대에 따라 대규모 항만 건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경제성, 시공성이 뛰어난 Caisson 형식의 구조물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항만 및 어항의 외곽시설인 방파제는 계류선박의 안전과 하역 및 적화를 용이하게 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isson식 방파제에 태풍, 충격력과 같은 몇 가지 외력 조건에 대하여 구조 해석을 실시하여 손상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손상 메커니즘에 따라 손상을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손상 위치 탐색을 수행하였다.

  • PDF

Method of Repair Design by Analysis of Damage Mechanism of Elevated Aquaduct (수로교 손상 메커니즘 분석에 의한 보수설계 방법)

  • Lee, Soo-Gon;Byun, Hang-Yong;Song, Ch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9 no.1
    • /
    • pp.243-250
    • /
    • 2005
  • In elevated irrigation aquaducts, one can observe a common damage pattern. That is, cracks, and crushing of concrete are usually repeated at a certain interval even if no faults are found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is damage, longitudinal deformations of several aquaducts have been measured. The analysis of the measured data suggests that the damages are mainly caused by cumulative repetition of exte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s.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Damage Mechanism of Rocks Under Different Impact Loadings (단계적 충격하중에 의한 암석의 동적손상메커니즘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 Sang-Ho;Jo, Seul-Ki;Ki, Seung-Kon;Park, Chan;Kaneko, Katsuhik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9 no.6
    • /
    • pp.545-557
    • /
    • 2009
  • In order to investigate dynamic damage mechanism of brittle materials,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SHPB) have been adapted to apply different impact levels to rocks in South Korea. High resolution X-ray Computed Tomography (CT) was used to estimate the damage in tested rock samples nondestructively. The cracks which are parallel to the loading axis are visible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ncident bar under lower level of impact. The surface cracks disappeared with increment of impact level due to confined effect between the incident bar and sample, while axial splitting are happened near the outer surface.

Evaluation of Liquid Droplet Impingement Erosion through Prediction Model and Experiment (예측모델 및 실험을 통한 액적충돌침식 손상 평가)

  • Yun, Hun;Hwang, Kyeong-M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10
    • /
    • pp.1105-1110
    • /
    • 2011
  • Flow-accelerated corrosion (FAC) is a well-known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piping and components. Most nuclear power plants have carbon-steel-pipe wall-thinning management programs in place to control FAC. However, various other erosion mechanisms may also occur in carbon-steel piping. The most common forms of erosion encountered (cavitation, flashing, Liquid Droplet Impingement Erosion (LDIE), and Solid Particle Erosion (SPE)), have caused wall thinning, leaks, and ruptures, and have resulted in unplanned shutdowns in utilities. In particular, the damage caused by LDIE is difficult to predict, and there has been no effort to protect piping from erosive damage. This paper presents an evaluation method for LDIE. It also includes the calculation results from prediction models, a review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 comparison between the UT data in the damaged components and the results of the calculations and experiments.

The Study on Demage Mechanism Analysis of Insulation wire on the Line Post Insulator Using 22.9 kV-Y Overhead Distribution Line (22.9kV-Y 가공선로 지지애자에서의 절연전선의 손상 메커니즘 규명 연구)

  • Lee, Byung-Sung;Park, Chul-Bae;Na, Dong-Chae;Lee, Jae-B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081_2082
    • /
    • 2009
  • 국내 가공배전 선로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있으며, 절연을 위해 세라믹 재질과 폴리머 재질의 지지애가가 사용되고 있다. 지지 애자 위의 전선은 진동에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의 기계적 마찰력을 받고 있으며, 전기적으로 누설전류 및 서지의 영향을 받아 절연피복이 손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지애자를 통해 흐르는 누설전류에 의해 전선이 손상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고장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절연전선은 손상된 부위에서 전류가 집중되어 내부 도체가 용융 단선되었다. 전선단선에 영향을 주는 열화 인자로서 지지애자의 표면 열화상태, 절연전선 피복 손상, 바인드선의 종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 PDF

Damages of Chuteway Slabs of Spillway by Water Release (수문방류에 따른 여수로 바닥슬래브의 손상 발생)

  • Shin, Dong-Hoon;Jung, Woo-Sung;Yoo, Hyung Ju;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64-64
    • /
    • 2021
  • 댐의 중요 구성요소 중 하나인 여수로 구조물은 관행적으로 단위길이당 100m3/s 정도의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설계를 하고, 이를 초과할 때는 여수로 구조물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공기혼입 장치를 설치하거나 콘크리트의 설계강도를 증가시키는 대책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댐설계 기준·해설, 2011) 그러나 건설된 지 오래된 댐의 경우 여수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강도가 낮고(최저 16.7MPa) 수문방류 횟수가 많아 최근에 건설된 댐 여수로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손상이 발생되어 있어 잦은 보수보강이 요구되고, 점차 유지관리 비용이 증대되고 있어 노후된 여수로 구조물일수록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댐 여수로를 대상으로 2020년 홍수기 전·후의 여수로 바닥슬래브의 손상상태를 3D드론 매핑, 육안조사 및 내구성 조사결과 등을 이용한 정밀분석을 통해 수문방류시 여수로 바닥슬래브에 가장 큰 손상을 일으키는 손상메커니즘으로 유수에 의한 부상(uplift)에 의한 파손 메커니즘(Flow-driven uplift failure mechanism)을 제시하였으며, 여수로 바닥슬래브의 가장 일반적 손상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공동현상(cavitation)이 공동지수(cavitation index)가 0.3이상인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관찰 및 분석결과는 보다 많은 사례를 통하여 보완될 경우 향후 여수로 구조물의 설계 뿐만 아니라 보수보강 방법이나 유지관리, 더나아가서는 종합적 댐시설물 자산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산이 될 수 있다.

  • PDF

Examinations of Damage Mechanism on the Chuteway Slabs of Spillway under Various Flow Conditions (여수로 방류에 따른 여수로 바닥 슬래브의 손상 메커니즘 검토)

  • Yoo, Hyung Ju;Shin, Dong-Hoo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1-251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홍수 시 댐으로의 유입량이 설계 당시보다 증가하여 댐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감사원, 2003). 이에 건설교통부(2003)는 기후변화와 댐 노후화에 대비하여 치수능력증대사업을 추진하여 댐의 홍수배제능력을 확보하였고, 환경부(2020)에서는 40년 이상 경과된 댐을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선제적 보수보강, 성능개선 및 자산관리로 댐의 장수명화를 목적으로 댐의 국가안전대진단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댐 시설(여수로)의 노후도 평가 시 활용 될 수 있는 여수로 표면손상 원인규명에 대하여 3차원 수치모형(FLOW-3D 및 COMSOL Multiphysics)을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댐은 𐩒𐩒댐으로 지형 및 여수로를 구축하였으며, 계획방류량(200년 빈도) 및 최대방류량(PMF) 조건에서 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계산의 정확도 검토를 위하여 Baffle의 설치를 통하여 시간에 따른 유량의 변화를 설계 값과 비교하였고 오차가 1.0% 이내를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수로 표면손상의 다양한 원인 중 기존연구(USBR, 2019)를 통하여 공동침식(Cavitation Erosion) 및 수력잭킹(Hydraulic Jacking)에 초점을 두었으며 방류조건 별 공동지수(Cavitation Index)산정을 통하여 공동침식 위험 구간을 확인하였다. 이음부의 균열 및 공동으로 인한 표층부 콘크리트의 탈락현상을 가속화시키는 수력잭킹 검토를 위하여 국부모형을 구축하였고 음압력(Negative Pressure), 정체압력(Stagnation Pressure), 양압력(Uplift Pressure)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COMSOL Multiphysics를 통하여 압력분포에 따른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폰 미세스(Von Mises) 등가응력 및 변위를 검토하여 콘크리트의 탈락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여수로 공동부 및 균열부에서의 손상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는 기초적인 연구이지만 향후에는 다양한 지형조건 및 흐름조건에서의 압력분포 분석 및 유체-구조물 상호작용(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모의를 수행한다면 구조물 노후도 및 잔존수명 평가에 필요한 손상한계함수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Damage Assesment of Artificial Brittle Materials subjected to Impact Leading (충격하중을 받은 인공취성재료의 손상평가에 관한 연구)

  • Cho, Sang-Ho;Jo, Seul-Ki;Cheon, Dae-Sung;Synn, Joong-Ho;Yang, Hyung-Sik;Kim, Seung-K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8 no.6
    • /
    • pp.457-464
    • /
    • 2008
  • Dynamic fracture mechanism of rock is important to improve rapid excavation method and develop precise damage assesment of rock mass in the vicinity of an excav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dynamic fracture characteristics and dynamic damage mechanism of brittle materials, this study employed pulse shape-controlled Split Hopkinson Pressure Bar (SHPB) system. The P- and S-wave velocities of the tested samp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ests to examine damage of the samples. The decay ratios of the Ultrasonic wave velocities increased with impart velocities and the samples which have lower strength showed higher permanent strain significantly.

Study of the Cavitation Erosion Mechanism and Erosion Resistance on the Dispersion Strengthened Stainless Steel by Solid Particle Collapse (고체입자충격에 의한 분산강화 스테인리스강의 침식메커니즘 및 침식저항성 고찰)

  • Han, Byeong-Seon;Hong, Seong-Mo;Lee, Min-Gu;Park, Jin-Ju;Lee, Sang-Hun;Lee, Cha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29-2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분산강화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여 케비테이션 발생 시 고체입자충격에 의한 재료의 침식메커니즘 및 침식저항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케비테이션 시간에 따른 침식저항성 측정결과, 기존재료에 비해 분산강화된 시편의 무게손실량이 낮았으며 침식잠복기가 짧고 침식속도가 낮아 전반적으로 우수한 저항성을 보였다. 이것은 침식표면의 손상메커니즘 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Technique for Control System of Barakah Nuclear Power Plant (UAE 원전 발전기 제어시스템 시험기술 현장적용)

  • Kim, Kyeongyeol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7 no.1
    • /
    • pp.69-72
    • /
    • 2021
  • 한전에서 운영중인 요르단 알카트라나발전소에서 발전기 고정자권선 전계완화 절연물의 손상되었다. Overlap 부위의 정비를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였고, 손상원인을 규명하여 불시정지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기대책과 장기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