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손상도 예측

Search Result 83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Models for Predicting Seismic Building Damage (지진으로 인한 건물 손상 예측 모델의 효율성 분석)

  • Chae Song Hwa;Yujin Lim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3 no.5
    • /
    • pp.217-220
    • /
    • 2024
  • Predicting earthquake occurrences accurately is challenging, and preparing all buildings with seismic design for such random events is a difficult task. Analyzing building features to predict potential damage and reinforcing vulnerabilities based on this analysis can minimize damages even in buildings without seismic design. Therefore, research analyzing the efficiency of building damage prediction models is essential.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accuracy of earthquake damage prediction models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algorithms, including Random Forest, Extreme Gradient Boosting, LightGBM, and CatBoost, utilizing data from buildings damaged during the 2015 Nepal earthquake.

Study of particle laden flows around turbine cascade (터빈 익렬 주위에서의 부유 입자 유동 해석)

  • 김완식;조형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4a
    • /
    • pp.10-1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제트 추진 기관의 터빈 익렬에서의 유동과 대기 중에 부유되어 있는 입자 또는 연소 생성물들이 제트엔진 내부로 유입될 경우 이에 따른 압축기 및 터빈 날개의 마모 및 충돌 부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각종 항공기의 추진 기관용 가스 터빈 엔진은 대기중에 부유되어 있는 각종 입자들의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확산 지역을 통과하는 항공기나 먼지 입자 부유물이 많은 공업지대 또는 사막지역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경우는 모래 알갱이, 먼지 및 연소 입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각 요소들에 심각한 부식 및 마모가 발생됨으로써 성능 저하 및 냉각 통로의 막힘, 압축기와 터빈 날개의 손상 등이 예측되어진다. 특히 항공기용 추진 기관은 엔진 입구에 유입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여과장치의 설치가 불가능하며, 자동차용 가스터빈 엔진의 경우는 여과 장치를 부착하여도 미세한 입자들이 여과 장치에 여과되지 않고 엔진 내부로 침투하게 되므로 치명적인 손상이 예상된다. 이러한 손상들은 초기에는 미세하게 발생하지만, 손상 정도가 점점 누적됨에 따라서 항공기의 안전 운전에 심각한 위험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기관의 유지 보수비용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에 화산재 또는 대기중에 부유되어 있는 금속 입자나 먼지입자 등이 유입되었을 경우, 압축기 날개의 손상 부위와 정도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gangian방법을 적용하여 압축기 날개위의 부유 입자 충돌 부위를 예측하고, 설계 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설계 입구각과 크게 벗어난 유동의 유입시에 발생되는 박리 현상과 이에 따른 입자의 유동 및 날개의 입자 접착 부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크기의 입자(다양한 Stokes 수)들을 주어진 속도에서 유선을 따라 압축기 입구에서 압축기 유로로 여러 위치에서 부유 시켜서 그 입자들의 궤적 및 충돌, 점착 위지를 고찰하고, 정량적인 충돌량을 해석하기 위하여 입자 충돌 계수를 정의하여 압축기 날개 표면의 충돌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예측을 통하여 압축기 날개 표면의 충돌 부위를 예측하고, 날개의 표면을 코팅하는 등 보호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고, 연소의 반응물 입자가 터빈 날개에 충돌하여 발생되는 날개 표면의 파손, 냉각 홀의 막임, 연소 입자의 점착 부위 등을 예측하여 보완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Estimation of Dynamic Properties Corresponding to Global Damage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Residential Buildings (주거건물의 계측유지관리를 위한 전역적 손상에 따른 동적특성 예측)

  • Kim, Ji-Young;Cho, Ja-Ock;Park, Jae-Keun;Kim, Dae-Yo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00-204
    • /
    • 2009
  • 구조물의 건전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계측된 데이터로부터 구조물의 동특성 변화를 분석하여 손상정도를 추정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다점 측정된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구조물의 고유진동수 및 모드형상을 추출하고 이를 초기값과 비교하여 손상탐지를 실시함으로써 손상위치 및 손상정도를 추정하는 기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측시스템 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손상탐지를 위한 해석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실시간에 가깝게 유용한 정보를 거주자에게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용적인 계측유지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손상도에 따른 동적특성의 변화를 사전에 예측하여 실제 계측된 동적특성에 대한 관리 한계치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amage Tolerance Design and Prediction of Fatigue Life in Aircraft Structure (항공기구조의 손상허용설계와 피로수명 예측)

  • 황돈영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6
    • /
    • pp.468-480
    • /
    • 1995
  • 항공기구조는 항상 피로하중에 노출되어 있고 조류충돌과 같은 불시의 상황에 의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인명과 재산상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항공기가 개발되는 초기의 설계단계부터 항공기의 안전성확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피로수명예측과 손상허용설계를 해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항상 손상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이 손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항공기의 안전이 보장 되도록 설계한다. (2) 손상이 발생하면 쉽게 발견되도록 설계한다. (3) 한 부재의 손상이 전 구조물의 파괴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다중하중 경로로 설계한다. (4) 손상의 가능성이 있는 부품은 특별관리한다. (5) 안전균열성장 및 잔류강도 요구조건이 충족되도록 검사계획을 수립하며, 이 검사계획에 따라 검사를 수행한다.

  • PDF

Damage Distribution Rule of Weak Beam Type Multi-Story Steel Frames Influenced by Strength and Stiffness Ratios of Beam and Column (보 붕괴형 메커니즘을 가지는 강구조 다층골조의 손상분포)

  • Oh, Sang-Hoon;Ryu, Hong-Sik;Moon, Tae-Sup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9 no.5 s.45
    • /
    • pp.53-61
    • /
    • 2005
  • In order to evaluate the limit earthquake resistance of multi-story steel frames influenced by the strength and stiffness ratios of members, a series inelastic response analysis were carried out.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damage distribution rules of multi-story steel frames were proposed.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As the stiffness ratios of beam and column becomes small, the damage concentrates on the lower end of columns of the first story. 2) Considering the strength and stiffness ratios of the beam and column with weak beam type mechanism, the equations predicting the damage distribution of multi-story steel flames were proposed. 3) Through the equation which was supposed in this study, it is speculated that the damage distribution of the rigid or semirigid beam collapse type multi-story steel structure building can be predicted.

System identification of truss structures via modal paramenters (모드 특성치에 의한 트러스 구조의 시스템 동일화)

  • Kim, Jeong-Tae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4
    • /
    • pp.17-27
    • /
    • 1996
  • 본 연구는 진동반응측정을 통해 구조물의 손상을 비파괴적으로 예측하는 분야에 속한다. 건물, 교량, 댐, 해양자켓, 원자력 발전소 등의 구조물에서 시기적절하고 정확한 손상의 발견은 치명적인 구조적 결함의 예방을 위해 필수적이다. 구조물의 진동반응을 측정하여 구조물의 손상발견을 예측하려는 연구는 지난 80년대 이후 활발히 수행되어 오고 있으며, 본연구는 구조물 고유진동수의 변화로 부터 구조물 강성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연구분야에 속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하는 시스템동일화 (system identification)에 의한 손상발견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실물실험된 삼차원 트러스교량이 선택되었다. 다음으로, 시스템 동일화 개념에 기초한 손상발견법이 요약되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동일화 손상발견법을 실물트러스에 적용하여 적합성을 실험하였다.

  • PDF

The Creep Life Prediction Method by Cavity Area (기공의 면적에 의한 크립 수명예측법)

  • 홍성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455-1461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Kachanov의 재료손상(material damage)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수명예측식을 만들고, 이 수명예측식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최근에 발표된 크 립 수명과 기공분포와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Outcome and Ocular Trauma Score after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의 시력예후와 안외상 점수와의 연관성)

  • Park, Su Jin;Son, Byeong Jae
    •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
    • v.59 no.11
    • /
    • pp.1062-1070
    • /
    • 2018
  • Purpose: We evaluated the prognostic factors of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compared the ocular trauma score (OTS) and pediatric penetrating ocular trauma score (POT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77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who visited our clinic with open globe injuries between May 1993 and April 2014. We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may affect final visual acuity. We also compared the OTS and POTS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s a method to predict final visual acuity. Results: By univariate analysis, an initial visual acuity less than 20/200, globe rupture, wound size greater than 7.0 mm, retinal detachment, lens dislocation, and total number of operations contributed to worse visual outcomes (<20/200). Conversely, central corneal involvement, traumatic cataract, wound size less than 7.0 mm, and initial visual acuity greater than 20/200 were better prognostic indicators (${\geq}20/32$). Both OTS and POTS had diagnostic value as a predictor of final visual acuity,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coring systems. Conclusions: Initial visual acuity and wound size a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for the final visual acu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 following open globe injuries. Both OTS and POTS are reliable prognostic models for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amage Estimation of Local River by Development of Damage Function (손상함수 개발을 통한 지방하천 피해예측 방안)

  • Kim, Sang Ho;Lee, Chang hee;Hwang, Shin Bum;Kim, Yeon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4-84
    • /
    • 2016
  •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 발생으로 인하여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 관련 피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국민안전처에서 발간한 2014 재해연보에 의하면 태풍 및 호우로 인한 피해가 전체 91.5%를 차지하며, 특히 공공시설에 대한 피해가 전체 피해 중 70%를 차지하고 이 중 소하천을 포함한 하천의 피해는 52.5%에 이른다. 이러한 하천피해를 추정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이미 지리적, 환경적 특성에 맞는 침수심별 피해율에 대한 손상함수를 개발하여 예측 기상데이터를 기반으로 GIS 등과 연계한 피해추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자산 피해현황 조사 관련 기준/지침 및 가용자료를 검토하고 국내 외 공공자산 피해현황 및 인벤토리 조사를 통해 하천에서 발생한 피해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기왕년 하천 피해를 바탕으로 피해 규모 예측을 위하여 강원도와 충청북도의 일부 시군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피해 발생일자의 사상과 하천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방하천에 적용 가능한 지역 기반 손상함수 개발 및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시군 기반의 손상함수를 개발하여 전국적인 하천재해 발생에 따른 손상/손실규모 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Rotational Stiffness of Connections in Steel Moment Frames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철골모멘트골조 접합부의 회전강성 손상예측)

  • Choi, Se-W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2 no.1
    • /
    • pp.107-114
    • /
    • 2018
  • In this study, the damage detection method is proposed for the rotational stiffness of connections in steel moment frames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The flexural moment of columns, natural frequencies, modeshapes are used for the input layer in ANN while the damage index, that signify the damage level, is used for the output layer in ANN. The 5-story steel moment frame as an example structure is used to generate the train and test data. Total number of damage scenarios considered is 829. From the results of applicati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accurately estimate the location and level of da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