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손상가시화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초음파전파영상화 시스템을 이용한 필라멘트 와인딩 복합재 수소 연료 탱크의 손상 가시화 (Damage Visualization of Filament Wound Composite Hydrogen Fuel Tank Using Ultrasonic Propagation Imager)

  • 이정률;정효미;트루옹 탄 충;신혜진;박재윤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143-147
    • /
    • 2015
  • 알루미늄 혹은 플라스틱 라이너에 탄소섬유를 감아서 성형하는 복합재 압력용기가 수소 자동차의 수소연료 탱크로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사용 시 안전에 대한 규정 제정이 필요하며 그 규정을 뒷바침 할 수 있는 검사장비와 기술 역시 개발되어야 한다. 자동차에 장착하기 전에 제작결함 평가를 통해 수소 자동차에 장착되어야 하고, 취급 중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해서도 고속 자동화 검사를 통해 자동차 정비소의 정비인력, 즉 비파괴평가 전문가가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았어도 즉시 충격과 같은 손상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위 요소는 수소자동차의 대중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적 허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연료탱크의 충격손상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레이저 초음파 기술을 제안하며 충격손상을 탈 부착형 센서헤드를 가진 초음파전파영상화 시스템으로 가시화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또한 제안한 초음파전파영상화 시스템의 성능은 수소자동차가 대중화되더라도 현장기술로 채택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디젤 엔진 연료 분사 펌프 캐비테이션 현상의 가시화 연구 (Optical Observation of Cavitation Phenomena in Diesel Fuel Injection Pumps)

  • 류승협;김동훈;김병석;박태형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460-467
    • /
    • 2011
  • 중속 디젤 엔진에 적용된 연료 펌프의 스필 포트 및 플런저 벽면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손상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연료 펌프의 스필 포트 내부에서 일어나는 캐비테이션 유동 현상에 대한 가시화를 수행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료 펌프를 개조하여 사파이어 가시창을 제작, 설치하고, 고속 카메라와 Nd-YAG 레이져 및 산업용 내시경을 이용한 다양한 가시화 방법을 모색하였다. 취득한 영상의 분석 결과 연료의 분사 과정 동안 네 가지 형태의 특징적인 캐비테이션 현상이 목격되며, 특히 연료 압송 과정의 종료 직전과 직후 에서 발생하는 분수 형태와 제트 형태의 캐비테이션이 손상의 지배적인 원인으로 판명되었다.

골격근 손상 및 재생 환경에서의 근육 세포 군집 이동의 물리적 특성 가시화 (Visualiz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yoblast migration upon skeletal muscle injury and regeneration environment)

  • 권태윤;정현태;조영빈;신현정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0-77
    • /
    • 2022
  • Skeletal muscle tissues feature cellular heterogeneity, including differentiated myofibers, myoblasts, and satellite cells. Thanks to the presence of undifferentiated myoblasts and satellite cells, skeletal muscle tissues can self-regenerate after injury. In skeletal muscle regeneration, the collective motions among these cell types must play a significant role,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dynamic collective behavior during the regeneration.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in vitro platform to visualize the migration behavior of skeletal muscle cells in specific conditions that mimic the biochemical environment of injured skeletal muscles. We then visualiz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tresses arising from the differential collectiveness in the cellular clusters under different conditions. From these analyses, we identified that the heterogeneous population of muscle cells exhibited distinct collective migration patterns in the injury-mimicking condition, suggesting selective activation of a specific cell type by the biochemical cues from the injured skeletal muscles.

초음파장내 파괴적인 기포의 운동 가시화 (Visualization of Disruptive Bubble Behavior in Ultrasonic Fields)

  • 김태홍;박근환;김호영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19
    • /
    • 2011
  • The bubble oscill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ultrasonic cleaning processes. In the ultrasonic cleaning of semiconductor wafers, the cleaning process often damages micro/nano scale patterns while removing contaminant particles.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how patterns in semiconductor wafers are damaged during ultrasonic cleaning is far from complete yet. Here, we report the observations of the motion of bubbles that induce solid wall damage under 26 kHz continuous ultrasonic waves. We classified the motions into the four types, i.e. volume motion, shape motion, splitting or jetting motion and chaotic motion.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ubble oscillations get unstable and nonlinear as the ultrasonic amplitude increases, which may exert a large stress on a solid surface raising the possibility of damaging microstructures.

복합재 패널에서 유도 탄성파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 손상탐지 기법 개발 Part II. 손상크기 추정 알고리즘 (Image Based Damage Detection Method for Composite Panel With Guided Elastic Wave Technique Part II. Damage Size Estimation Algorithm)

  • 김창식;전용운;박정선;조진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3-2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반사된 면적 결과와 반사된 위치 결과를 중첩하고, 가시화된 이미지에서 픽셀의 최대값에 대한 비율로 윤곽선을 추출하여 손상 크기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반사된 신호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 누적함수 특성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반사된 신호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 신호 상관관계를 이용해서 측정신호로부터 손상 신호를 분리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손상크기 추정 알고리즘을 복합재 평판에서 실험 수행하여 검증하였다. 임의의 위치에서 반복 실험을 수행해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반복에 따른 재현성이 있음을 검증하였고, 손상크기 변화에 따라 손상 크기를 추정하고 분별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뇌정위 수술계획을 위한 다원 3차원 영상가시화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3D Mutil-volume Visualization System for Stereotactic Surgery)

  • 최재정;김혁;신영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612-614
    • /
    • 1998
  • 뇌정위 수술(Stereotactic Surgery)은 컴퓨터 단층영상과 자기공명 영상 같은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뇌병변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정상 뇌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며 병변을 수술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술 받을 환자의 컴퓨터 단층영상과 자기공명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전처리한 다음 동일한 3차원 공간 내에서 정렬시켜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3차원 영상을 가시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3차원 영상에서 뇌정위 수술의 삽입점과 목표점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수술 경로에 따른 가상 수술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술 경로의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마이크로 포커스 X-ray CT를 이용한 콘크리트 손상균열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Concrete Damage by X-ray CT Methods)

  • 정자혜
    • 지질공학
    • /
    • 제28권3호
    • /
    • pp.455-4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치핑작업중에 콘크리트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균열을 정량분석하기 위해 X-ray CT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치핑작업을 수행한 후, 균열이 발생한 콘크리트 블록을 코어링하여 직경 50 mm, 길이 100 mm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그 후 마이크로 포커스 X-ray CT 촬영을 하여 얻은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재구성(reconstruction)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3D CT 이미지에 3DMA (3 Dimensional Medial axis Analysis)법을 적용하여, 손상 평가 파라메타로 시편의 위치에 따라 균열의 성질을 평가하여 손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치핑에 의한 손상은 치핑 표면으로부터 3 cm 깊이까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T이미지 공간분석법에서 사용되는 여러 파라메타 중 공극률 지표(Porosity index), Burn number 그리고 Medial axis 의 파라메타를 이용해 치핑표면 근처의 손상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방법은 내부구조에 변화가 발생한 암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비파괴 상태로 내부의 균열 평가, 가시화에 적용가능하다.

복합재 패널에서 유도 탄성파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 손상탐지 기법 개발 Part I. 손상위치 탐지 알고리즘 (Image Based Damage Detection Method for Composite Panel With Guided Elastic Wave Technique Part I. Damage Localization Algorithm)

  • 김창식;전용운;박정선;조진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2
    • /
    • 2021
  • 본 논문은 복합재 패널에서 압전 작동기를 사용하여 탄성파를 생성하고, 손상에서의 반사된 신호를 압전 감지기에서 탐지하여 손상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손상이 없는 신호와 손상이 있는 신호를 비교하여 손상신호를 추정하는 진단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신호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탄성파의 군속도를 계산하고 압전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손상정보를 추출하였다. 하지만 탄성파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손상정보는 다양한 신호의 조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손상위치를 명확히 구별하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손상에서 반사된 신호정보를 신호 도달거리의 면적으로 변환해서 손상의 중심위치를 찾는 누적함수 특성벡터 알고리즘(CSFV, cumulative summation feature vector)을 새롭게 제안하고, 특성벡터를 손상지수와의 곱으로 표현하는 가시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복합재 패널에서 실험검증을 수행하고, 기존의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정확도 높게 손상위치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보존방안 수립을 위한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지의 손상도 진단 및 물성평가 (Deterior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Dinosaur Footprint Fossils in Cheongsong Sinseongri, Korea, for the Conservation Plans)

  • 양혜리;이찬희;박준형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3호
    • /
    • pp.311-330
    • /
    • 2021
  •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지에는 최소한 수각류 보행렬 11개, 용각류 보행렬 3개 및 조각류 보행렬 1개 이상 존재하여, 국내 다른 공룡발자국 화석지에 비해 수각류 보행렬의 밀집도가 높다. 공룡발자국의 모암은 미사암과 이암의 암상을 보이나 전체적으로 열변질을 받아 혼펠스화되어 있다. 이 화석지의 표면에는 다양한 방향의 절리가 나타나며 미세균열과 박락을 제외하면 모든 손상요인에서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화석지의 암석은 비교적 건전한 물성을 보여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공룡발자국 화석의 손상형태에 따라 보존처리 유형을 세분하면, 균열의 진전을 제어할 수 있는 강화처리가 필요한 발자국화석이 절반 이상의 비율을 보였다. 또한 발자국의 가시화를 위해 도포한 흰색 페인트가 열화되면서 암편 탈락을 유발하여 오히려 화석의 손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대체할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고속카메라를 이용한 Drop-on-demand 방식의 정전 액적 토출 분석 (Analysis of Electrostatic Ejection of Liquid Droplets in Manner of Drop-on-demand Using High-speed Camera)

  • 김용재;최재용;손상욱;김영민;이석한;변도영;고한서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8-133
    • /
    • 2007
  • An electrostatic inkjet head can be used for manufacturing processes of large display system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as well as inkjet printers because an electrostatic field provides an external force which can be manipulated to control sizes of droplets. The existing printing methods such as thermal bubble and piezo inkjet heads have shown difficulties to control the ejection of the droplets for printing applications. Thus, the new inkjet head has been proposed using the electrostatic force. A numer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calculate the intensity of the electrostatic field using the Maxwell's equation. Also,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roplet movement using a downward capillary with outside diameter of $500{\mu}m$. Gravity, surface tension, and electrostatic force have been analyzed with high voltages for a drop-on-demand ejection.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droplet size decreases and the frequency of the droplet formation and the velocity of the droplet ejection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ostatic field using high-speed came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