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속도피드백

Search Result 18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The efficacy of biofeedback in reducing cybersickness in virtual navigation (생체신호 피드백을 적용한 가상주행 환경에서 사이버 멀미 감소 효과)

  • 김영윤;정찬용;김은남;윤정민;서동오;고희동;김현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90-94
    • /
    • 2002
  • 이전연구에서 가상현실에 몰입하는 동안 넓은 시야 (Field of view: 150$^{\circ}$)와 빠른 운행속도 (70 km/sec)가 사이버멀미를 심화시킨다는 결과를 얻었다: 피험자의 90%가 좁은 시야 (50$^{\circ}$)와 느린 운행속도 (30 km/sec)에서 사이버멀미 증상이 적었다. 본 실험에서는 피험자가 생리적인 동요를 경험할 때마다 바이오피드백 방법을 사용해서 사이버멀미 감소 가상환경 (cybersickness alleviating virtual environment, CAVE)을 제시한 후,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피부전도도, 말초체온, 말초혈류량, 심박률, 눈 깜박임, 뇌전위의 변수들을 입력으로 하는 인공신경망으로 구성된 실시간 멀미 탐지 시스템과 CAVE-제시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생리적 측정치들이 사이버멀미의 출현을 신호할 때마다 피드백 출력으로 좁은 화면과 감소된 운행속도를 일시적으로 제공했다. 3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SSQ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s)와 자기보고를 이용하여 사이버멀미의 빈도와 심각도를 조사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한달 간격으로 CAVE 조건과 non-CAVE 조건에서 두 번 가상현실을 경험하였다. 사이버멀미의 빈도와 심각도는 non-CAVE 조건보다 CAVE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즉, 전기생리학적 특징들에 기반한 인공신경망에 의해 제공된 좁은 시야와 느린 운행의 가상환경은 사이버멀미 증상들을 의미있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생체신호 피드백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간 친화적 가상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

  • PDF

Vibration Control for Building Structures using Active Mass Driver (II) : Shaking -Table Test (능동제어장치를 이용한 건물의 진동제어 (II) : 진동대 실험)

  • 민경원;김두훈;이성경;황재승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2 no.4
    • /
    • pp.95-10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능동질량 장치를 이용하여 지진하중을 받는 건물모델의 응답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실험에 사용된 능동질량 장치는 교류형 서보 모터에 의해 관성력이 건물모델의 응답에 반작용하여 제어를 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소형 진동대에 의한 외부하중 묘사 신호처리와 제어력 발생을 위한 장비들이 구축된 실험 모델로써 능동 질량 추진기가 1층 전단형 건물모델 상부에 설치된 해석 모델을 실현하였으며 제어력 산정을 위한 선형 2차 제어 알고리듬은 LabVIEW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구현하였다. 건물의 응답과 제어력을 고려해서 제어성능을 검증하였으며 능동 질량 장치를 설치함으러써 공진하중과 지진하중에 대한 건물의 응답이 감소하고 또한 속도피드백 알고리듬이 그 외의 피드백 알고리듬 보다 제어력이 가장 적게 소용되면서 건물의 응답을 감소시키는 것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였다.

  • PDF

A study on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in-type ultrasonic motor (Thin-type 초음파모터의 구동특성연구)

  • Jeong, Seong-Su;Jun, Ho-Ik;Chong, Hyon-Ho;Kim, Jong-Wook;Park, Min-Ho;Park, Tae-Go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193-193
    • /
    • 2009
  • Thin-type 초음파모터의 구조는 크로스형태의 앓은 스테이터에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8개의 압전세라믹이 부착된 형태이고, 압전세라믹의 분극방향은 로터와 접촉하는 스테이터의 중심부인 네 개의 타점에서 순차적인 타원변위가 생성되도록 결정된다.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인 ATILA 5.2.4를 사용하여 형태, 길이, 두께, 스테이터 재질, 클램프특성이 최적 설계된 모델을 제작하였고, 푸쉬풀 게이지, x-y 스테이지, rpm 메터, 토크 게이지, 맨코더, AD컨버터를 이용하여 피드백 제어 구동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그림 I은 마이크로컨트롤러 (ATmega)와 피드백회로를 이용한 구동 드라이버를 보여준다. 한 주기에서 1/4분주의 순차적인 네 개의 구형파를 생성하고, 이를 push-pull회로를 통하여 90도의 위상차가 나는 정현파를 생성하여 초음파 모터의 구동전원으로 사용한다. 피드백 회로인 엔코더와 AD 컨버터는 초음파모터의 속도를 피드백하여 정속도 운전을 위한 전압제어에 사용되었다. 특성 측정 결과, 제품화된 드라이버와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피드백 회로를 통하여 부하변화에 따른 속도의 극심한 변화를 0.2~0.4[N]의 범위에서 정속도 운전이 가능하였으며, 장시간의 운전에도 온도 및 속도특성이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The Concep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the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Biofeedback (호흡 동성 부정맥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바이오피드백의 개념과 임상적 활용)

  • Lee, Chang-Soo;Woo, Jong-Min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4 no.1
    • /
    • pp.33-38
    • /
    • 2006
  • Biofeedback training to increase the amplitude of respiratory sinus arrhythmia(RSA) maximally increases the amplitude of heart rate variability(HRV) only in respiratory rate at approximately 0.1Hz. To perform this task, people slow their breathing to this rate to point where resonance occur between respiratory sinus arrhythmia(RSA) and oscillation that naturally occur at this rate, probably triggered in part by baroreflex activity. The biofeedback technique allows each individual to breathe at a rate that is specifically adapted to the rhythms of his or her own body. A manual is presented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 PDF

Speed Characteristics of The Thin Cross Ultrasonic Motor (Thin Cross 초음파모터의 속도특성)

  • Jeong, Seong-Su;Jun, Ho-Ik;Chong, Hyon-Ho;Park, Min-Ho;Park, Tae-Go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4b
    • /
    • pp.51-51
    • /
    • 2009
  • Thin Cross 초음파모터의 구조는 그림 1(a)와 같이 크로스형태의 얇은 스테이터에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8개의 압전세라믹이 부착된 형태이다. 압전세라믹의 분극방향은 로터와 접촉하는 스테이터의 중심부인 네 개의 타 점에서 순차적인 타원변위가 생성되도록 결정된다.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인 ATILA 5.2.4를 사용하여 최적설계된 모델을 제작하였고, 푸쉬풀 게이지, x-y 스테이지, rpm 메타, 토크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동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그림 1(b)는 마이크로컨트롤러(ATmega)를 이용한 구동 드라이버를 보여준다. 한 주기에서 1/4분주의 순차적인 네 개 의 구형파를 생성하고, 이를 push-pull회로를 통하여 90도의 위상차가 나는 정현파를 생성하여 초음파 모터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한다. 피드백 회로인 맨코더와 AD 컨버터는 정속도 운전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제안된 구동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기존의 제품화된 드라이버와 비교하여도 특성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피드백 회로를 통하여 부하변화에 따른 속도의 극심한 변화를 비교적 안정화 시킬 수 있었다. 입력전압을 증가시킬수록 속도는 선형적인 증가를 보였고 토크는 이와 반대로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피드백 제어회로가 없는 경우에는 프리로드 변화에 따른 극심한 속도 변화를 보였고, 피드백 제어를 하였을 경우에는 0.2~0.4[N]의 범위에서 정속도 운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장시간의 운전에도 온도 및 속도특성이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 PDF

A Study for Sound and Tactile Feedback on Touch Screen Phone Under Mobility Conditions (터치스크린 휴대폰 사용 환경을 고려한 소리, 진동 피드백 연구)

  • Kim, Young-Il;Kim, Se-Mi;Min, Young-Sa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130-134
    • /
    • 2008
  • Touch screen phone which is expected to play a big part of the mobile market for the next few years, has many merits but demerits of inaccurate feedback. It offers audio and tactile feedback to strengthen the weak point. This study aims to see if audio feedback and vibration feedback react upon each other under realistic conditions. We had a qualitative research in perception after using touch screen phone feedback. The result showed that with any feedback users were satisfied more than without any feedback and there was diversity in response. We ran the study again to see the performance level and the projective workload between the kind of feedback and interrupting feedback environment Performance rates were faster with audio feedback and according to the projective workload assessment users felt that task was easier and less annoying with audio-vibration feedback. The results suggest that audio feedback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vibration feedback. A future study will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qualitative-controlled feedback and learning time and the performance, and the main cause to make people prefer one feedback over another in a realistic world.

  • PDF

Coherence Time Estimation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IEEE 802.11n Link Adaptation (IEEE 802.11n에서 전송속도 조절기법의 성능 향상을 위한 Coherence Time 예측 방식)

  • Yeo, Chang-Yeon;Choi, Mun-Hwan;Kim, Byoung-Jin;Choi, Sung-Hy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6 no.3A
    • /
    • pp.232-239
    • /
    • 2011
  • IEEE 802.11n standard provides a framework for new link adaptation. A station can request that another station provide a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feedback, to fully exploit channel variations on a link. However, if the time elapsed between MCS feedback request and the data frame transmission using the MCS feedback becomes bigger, the previously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may be obsolete. In that case, the effectiveness of the feedback-based link adaptation is compromised. If a station can estimate how fast the channel quality to the target station changes, it can improve accuracy of the link adaptation.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through a thorough NS-2 simulation, we show how the coherence time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MCS feedback based link adaptation of 802.11n networks. Second,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algorithm for coherence time estimation. Using Allan variance information statistic, a station estimates the coherence time of the receiving link. A proposed link adaptation scheme considering the coherence time can provide better performance.

Torque Control of DC Motor Using Velocity Profile Based Acceleration/Deceleration Control (속도 프로파일 기반의 가감속제어를 통한 DC 모터의 토크제어)

  • Lee, Jong-Yeon;Hyun, Cha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1
    • /
    • pp.36-41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torque control of DC motor using the velocity profile based acceleration/deceleration controller for automatic guided vehicles (AGVs). This technique has some advantage; to reduce the damage of motors and to extend the life time of motors. First, we generate velocity profiles for three cases and design the state feedback controller using the generated velocity profile as a reference. The state feedback controller has servo system for solving regulation problem. For the verification, we apply the proposed method to control a cart position and shows some simulation result.

The Sensorless Vector Control of Induction Motor with Speed Estimator using MRAC (MRAC를 적용한 속도추정기를 가지는 유도전동기 센서리스 벡터제어)

  • 최승현;이성근;김윤식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5 no.1
    • /
    • pp.150-156
    • /
    • 2001
  • This paper proposed a speed estimator using MRAC(Model Reference Adaptive Control) for sensorless vector control. It is robust for parameter variation or disturbance and the estimated speed is used as feedback in a vector control system. Experiment is presented to confirm the theoretical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