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형 승용차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Prediction of Change on the Body Style Proportion of the Future Passenger Cars (향후의 승용차 차체 스타일 비례의 변화 예측)

  • Koo, Sang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2
    • /
    • pp.25-32
    • /
    • 2000
  • The body proportion of a passenger car has been changed by the demand of consumer and the market. Now the interior space proportion on a passenger car become to have the importance as the passenger space and this proportion has been changed as the new models have been developed. It didn't seems to had a unified direction or strategy in the dimensions of the domestic passenger cars on the early models, but they had a specific changes in dimensions on the later models. The proportion of the wheelbase and greenhouse can be calculated into as about 58% and 57% on the compact and sub-compact passenger cars while it is about 56% on mid-size sedan type passenger cars for thier 3-box structure body concept. The overrall pro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is bigger on the compact and the sub-compact passenger cars than the mid-size passenger cars as the calculation show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ior space proportion on the compact passenger cars would become larger, which is closed to 60%. And this trend would be appear on the mid-size passenger cars.

  • PDF

A Study of Impact Factors and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for Decision of Barrier Type (소형차도로 방호울타리 형식선정을 위한 충돌계수 및 방호울타리 높이선정 연구)

  • Choi, Hyun-Ho;Kim, Ki-Hwan;Lee, Eui-Joon;Yi, Sang-K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D
    • /
    • pp.605-613
    • /
    • 2010
  • In this study, Impact factors are represented and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of safety barrier is sugges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pplying problems of existed standard of general car road. For this, traffic accidents analysis is performed and based on the analysis, impact vehicle weight, impact Angle, crash velocity, and barrier height are investigated. For the decision of impact angle, analysis is carried out by comparison of RISER and 2-lines expressway accidents data. Through this, higher-impact angle is suggested. Vehicle weight data of sub-compact car, small vehicle, medium and large vehicle, SUV, small truck is survey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ccident accumulation rate, regression analysis of vehicle weight impact and impact velocity is performed. Also, based on the cumulative rate of vehicle weight on expressways near Seoul,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is calculated. It is no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the decision of barrier type.

연구여적 - 고유모델 승용차정책의 기적

  • Kim, Jae-Gwa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5 s.336
    • /
    • pp.86-88
    • /
    • 1997
  • 우리나라는 1970년대 초까지만해도 소형 승용차 한대 제대로 완성하지 못했으며, 외국차의 차체, 엔진 등 주요 부품을 들여와 조립 생산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조립생산 대수가 연간 총 3만대도 못되는 자동차산업의 불모지였다. 우리나라는 1973년부터 낙후된 자동차산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세계 최초로 혁신적인 "고유모델 승용차의 하향식 양산화정책"을 창안, 추진했다. 고유모델의 "하향식 양산화정책"을 추진해 온지 22년만인 1995년에 우리나라는 2백31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하여 미국, 일본, 독일 및 프랑스 다음가는 세계 제5위의 자주적 자동차 생산국가로 부상하는 기적을 이룩했다.

  • PDF

Determination of Passenger Car Equivalents When Estimating Capacity at Small 3-leg Roundabouts (소형 삼지 회전교차로의 용량분석을 위한 승용차 환산계수에 관한 연구)

  • Lee, Yong-Jae;Lee, In-Gyeong;Lee, Do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6
    • /
    • pp.65-74
    • /
    • 2010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method for estimating passenger car equivalency (PCE) values for various vehicle types that could be considered in estimating capacity and delay at intersections without traffic signals, especially at modern small 3-leg roundabouts. Unlike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PCE value has not yet been treated explicitly in traffic operations involving unsignalized intersections. Both empiric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for determining the PCE values at modern small 3-leg roundabouts were evaluated. As a result, the PCEs derived in this study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of field measurements.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내수용 승용차 내부 설계 평가 및 개선에 대한 연구

  • 신원경;정성재;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12-22
    • /
    • 1997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승용차의 운전석과 운전석 주변 제어장치간의 규 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맞게 설계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한국인의 신체에 적합한 승용차 내부설계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의 한국인 인체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갖추어야 할 편안한 자세를 3차원 인체 모델링 도구인 SAFEWORK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이 모델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람과 환경과의 관계를 고정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와 기능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여 삼차원으로 모델링한 다음 현재 국 내에 판매중인 소형, 준중형, 중형승용차 3종류의 규격차를 적용한 시트를 SAFEWORK으로 설계하였다.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로 만들어진 마네킨을 설계된 각각의 시트에 앉혀 시트의 규격과, 운전석 주변의 제어장치간의 규격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석에서 accelerator pedal까지의 거리와 volume control 까지의 거리, 운전석의 깊이와 뒷좌석 폭 등 연구대상이 된 3종류의 내수용 승용차의 주요 규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부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한국 성인의 인체 측정 데이터에 적합한 시트와 주변 제어장치간의 설계 규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for Fire Spread of Compact Cars (소형승용차의 화재전파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oo, Yong-Ho;Kweon, Oh-Sang;Kim, Heung-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279-2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는 승용차 밀집 공간을 가정하여 인접한 승용차로의 화재 전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물화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인접한 두 대의 승용차중 한 대의 차량에 화재를 발생시켜 화재가 성장되고 전파되는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산소소모율법을 적용한 발열량 측정이 동시에 이루어 졌다. 측정 결과 최대 열방출율은 약 9MW로 측정되어 선행된 승용차 한 대의 측정 발열량보다 약 2.5배이상 높은 범위의 값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인접된 승용차로의 전파는 화재 발생후 약 3분 30초 경과후 창문으로 출화된 화염에 의하여 옆 차량에 화재가 전파되기 시작하였으며, 15분 경과후 완전히 화재가 전이되어 발달되었다. 따라서, 밀폐된 주차장에서의 화재시 발생초기에 가연 공간에서 화재가 진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약 3분 내에 다른 차량으로의 화재 전파가 우려 되며, 이후 급격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태로 화재가 성장하기 때문에 신속한 초기 대응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물화재실험에서 얻어낸 결과는 향후 여러 수치해석의 입력 조건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화재 안전 설비 계획에 기본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Design Factors on the Vibration of the Steering Wheel of a Passenger Car (승용차 조향계 진동에 미치는 제인자)

  • 박철희;홍성철;송상기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5
    • /
    • pp.37-45
    • /
    • 1991
  • 일반 소형 승용차의 고속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 중 조향휠의 원주방향의 진동인 shimmy 현상을 연구하였다. Shimmy 현상은 쾌적한 차량 설계단계에서 예측할 수 있고 그 원인을 추정할 수 있도록 조 향계의 모델링 및 이론해석을 하였으며 실험결과치와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모델링에 대한 타당성을 검 증하였다. 검증된 모델링을 이용하여 조향계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감쇠, 강성, 타이어의 트레일 및 stabilizer bar 의 강성등의 변화가 조향휠 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shimmy 현상이 타이 어의 편마모등에 의한 unbalance mass에 얼마나 민감한가를 실험 및 이론적인 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 PDF

취임사

  • Yu, Su-Ryun
    • LP가스
    • /
    • s.105
    • /
    • pp.4-5
    • /
    • 2006
  • 우리는 현재 프로판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해 배송센터 시범사업을 시행중에 있고, 소형저장탱크 보급 활성화, LPG+DME혼합연료 보급을 위한 연구, 자동차사의 LPG신차출시, 경승용차의 LPG화, 저공해LPLi차 기술개발 등 현안과제가 산적해 있습니다. 모든 과제들이 최선의 방향에서 원활히 해결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하겠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