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프트웨어 장애

Search Result 23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ifference of Time Course of Functional Recovery after Revascularization According to Preoperative Reversibility of Perfusion Impairment in Ischemic Myocardial Dysfunction (허혈성 심근 기능장애에서 술전 관류결손의 가역성에 따른 재관류 시술 이후 심근 기능회복 양상의 시간적 차이)

  • Paeng, Jin-Chul;Lee, Dong-Soo;Kim, Ki-Bong;Kim, Yu-Kyeong;Yeo, Jeong-Seok;Chung, June-Key;Lee, Myung-Chul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5 no.6
    • /
    • pp.364-370
    • /
    • 2001
  • Purpose: In the revascuarization of ischemic dysfunctional myocardium, stunned myocardium was reported to recover function earlier than hibernating myocardium. It was also suggested that stunning and hibernation could be discriminated by reversibility of perfusion impairment on myocardial SPE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ime course of functional recover after CABG according to reversibility of perfusion impairment. Materials and Methods: In 92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l-201 rest/dipyridamole stress Tc-99m-MIBI gated SPECT was performed before, 3 months after, and 17 months after CABG. Using a 20-segment model, segmental perfusion and systolic thickening were automatically quantified. Perfusion-impaired segments with abnormal thickening were classified by reversibility into reversible (REV) and irreversible (IRREV) groups. The proportions of function-recovered segment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nd also between 3 months and 17 months in each group. Results: A total of 129 segm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76 were REV and 53 were IRREV. At 3 months after CABG, 61 segments (80%) in REV group showed functional recovery while 28 segments (53%) in IRREV group did (p<0.001). However, at 17 months after CABG, 60 segments (79%) in REV group and 37 segments (70%) un IRREV group showed functional recovery (p=n.s.). When comparing 3 months and 17 months in each group, REV group showed no difference, while IRREV group showed significant further improvement (p<0.05). Conclusion: In viable myocardium with ischemic myocardial dysfunction, the segments with reversible perfusion impairment recover function earlier after revascularization than irreversible segments.

  • PDF

Wavelet Transform-based Face Detection for Real-time Applications (실시간 응용을 위한 웨이블릿 변환 기반의 얼굴 검출)

  • 송해진;고병철;변혜란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9
    • /
    • pp.829-842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face detection and tracking method based on template matching for real-time applications such as, teleconference, telecommunication, front stage of surveillance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and video-phone applications. Since the main purpose of paper is to track a face regardless of various environments, we use template-based face tracking method. To generate robust face templates, we apply wavelet transform to the average face image and extract three types of wavelet template from transformed low-resolution average face. However template matching is generally sensitive to the change of illumination conditions, we apply Min-max normalization with histogram equaliza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intensity. Tracking method is also applied to reduce the computation time and predict precise face candidate region. Finally, facial components are also detected and from the relative distance of two eyes, we estimate the size of facial ellipse.

e-Navigation 관련 산업현황에 관한 기초연구

  • Choe, Han-Gyu;Gang, Byeong-Jae
    • 선박안전기술공단연구보고서
    • /
    • s.4
    • /
    • pp.1-108
    • /
    • 2007
  • 2007. 7. 23 IMO의 NAV(항해안전전문위원회)53차 회의에서는 e-Navigation을 해상에서의 안전, 보안, 해양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전자적인 수단에 의해 선박과 육상에서 해양정보를 수집, 교환, 표시함으로써 항구와 항구간의 항해 및 관련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2005년 11월 영국의 교통부 장관 Stephen 박사는 Royal Institute ofNavigation에서의 연설에서 해상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하여 선박의 항해를 감시하는 관제소 및 항행하는 선박에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가 더 많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첨단 기술에 의해 자동화된 항공 항법분야를 예로들면서, 선박의 항법 분야도 항해와 관련된 모든 시설 및 작업을 전자적 수단으로 대체하는 개념인 e-Navigation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영국은 이에 필요한 작업을 주도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Stephen은 e-Navigation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으로 첫째, 항해 실수로 인한 사고 확률저감, 둘째,사고 발생 시 인명 구조 및 피해 확산을 위한 효율적 대응, 셋째, 전통적인항해시설 설치 불필요로 인한 비용 저감, 넷째 선박입출항 수속의 간편화 및항로의 효율적 운용으로 인한 상업적 이익 등을 들었다. 반면에e-Navigation 체계로 전환 시 예상되는 장애로는 첫째, 체계 구축을 위한 비용(특히 개발도상국가들의 경우 어려움 예상), 둘째, e-Navigation의 성과 달성을 위하여 세계 전 해역의 모든 선박이 e-Navigation 체계에 동참하도록유도하는 문제, 셋째, 전자해도 표시 및 선교 장비들에 대한 표준화 문제, 넷째, 육상에 설치할 e-Navigation 센터의 설계 및 구축 등을 꼽았다.IMO는 2005년 81차 MSC(해사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영국이 일본, 마샬아일랜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미국과 공동으로 제안한 ‘e-Navigation전략 개발’ 의제를 2006년 82차 MSC 회의에서 채택하고, NAV(항해 전문위원회)를 통하여 2008년까지 e-Navigation의 구체적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개발하여야 할 전략적 비전과 정책을 수립하기로 하였다. 이어서 영국을 의장으로 e-Navigation 전략개발 통신작업반이 구성되었는데, 지난 년간 19개국, 16개 전문기관이 참여하여 아래의 작업이 수행되었다. ○ e-Navigation 개념의 정의와 목적 ○ e-Navigation에 대한 핵심 이슈 및 우선 순위 식별 ○ e-Navigation 개발에 따른 이점과 단점의 식별 ○ IMO 및 회원국 등의 역할 식별 ○ 이행계획을 포함한 추가 개발을 위한 작업계획의 작성 IMO에서 수행되고 있는 e-Navigation 전략 개발 의제 일정은 2008년까지이다. 이 전략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e-Navigation이 포함할 서비스범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인프라 및 장비의 식별, 인프라 구축및 운용비용을 부담할 주체에 대한 논의, e-Navigation으로 인한 이익과 투자비용에 대한 비교 분석 등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 선주, 항만운영자, 선원등의 입장 차이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 수준 차이는 전략 개발에있어 큰 어려움을 줄 것이므로, 이들이 합의된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예정된 기간보다 다소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e-Navigation 전략 개발이 완료되면 1단계로는 해상교통 관제시스템, 선박선교 장비, 무선 통신장비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각국 간에 자국 보유 기술을 표준화시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에서는 e-Navigation 체계 하에서의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전망되는데, 이는 지난 10년간 육상에서 인터넷망 설치 후 이루어진 관련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돌아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e-Navigation 체계 하에서 선박의 항해는 현재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으로 바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입출항 시 요구되던 복잡한 절차는one-stop 쇼핑 형태로 단순화되고, 현재 선박 중심의 항해에서 육상e-Navigation 센터가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항해 체계로 바뀔 것이며, 해상정보의 공유와 활용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보다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것이 다.e-Navigation의 잠재적 시장 규모는 선박에 새로이 탑재될 지능형 통합 항법시스템 구축과 육상 모니터링 및 지원 시스템 등 직접 시장이 약 50조원,전자해도, 통신장비, 관련 서비스 컨텐츠 등 간접 시장의 규모가 150조원으로 총 200조원으로 대략 추산하고 있다. 향후 이 거대한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항해 장비 관련 산업은 선진국의일부 업체들에 의해 독점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조선과 해운에서 모두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서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왔다. e-Navigation체계 하에서는 전체 시장이 커지고 장비의 사양이 표준화됨에 따라 어느 소수 업체가 현재처럼 독점하기는 더 이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e-Navigation은 우리나라도 항해 장비 분야 시장을 차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 1위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다면 다른 나라보다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분야의 시장은 IT 기술과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IT 강국인 우리나라가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EU를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e-Navigation 에 대비한 연구를10여년 전부터 수행해 왔다. 앞에서 언급한 EU의 MarNIS 사업은 현재 거의마무리 단계로 당장 실용화 할 수 있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늦었지만 우리도 이를 따라잡기 위한 연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도e-Navigation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2006년에는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로 작업반을 구성하여 워크숍 등을 개최한 바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에서도e-Navigation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을 기획 추진하고 있다.그러나 현재 항해통신장비들의 기술기준은 ITU의 전파규칙(RR)과 IMO결의 및 SOLAS 협약을 따르고 있는데 이들 규약이나 결의에 대한 국제적인 추이와 비교할 때 국내의 기술은 표준화되지 못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본 연구에서는 e-Navigation sytem중 표준화가 필요한 요소와 전자해도,AIS 등 e-Navigation(통합전자항법시스템)관련 국내산업현황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e-Navigation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Drug Resistant Depressed Patients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에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후 국소뇌혈류 변화)

  • Chung, Yong-An;Yoo, Ie-Ryung;Kang, Bong-Joo;Chae, Jeong-Ho;Lee, Hye-Won;Moon, Hyun-Jin;Kim, Sung-Hoon;Sohn, Hyung-Sun;Chung, Soo-Kyo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v.41 no.1
    • /
    • pp.9-15
    • /
    • 2007
  • Purpose: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has recently been clinically applied in the treatment of drug resistant depressed patients. There are mixed findings about the efficacy of rTMS on depression.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rTMS on the physiology of the brain is not clear. We prospectively evaluated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between pre- and post-rTMS treatment in patients with drug resistant de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patients with drug-resistant depression (7 male, 5 female; age range: $19{\sim}52$ years; mean age: $29.3{\pm}9.3$ years) were given rTMS on right prefrontal lobe with low frequency (1 Hz) and on left prefrontal lobe with high frequency (20 Hz), with 20-minute-duration each day for 3 weeks. Tc-99m ECD brain perfusion SPECT was obtained before and after rTMS treatment. The changes of cerebral perfusion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t=3.14, uncorrected p<0.01, voxel=100). Results: Following area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rCBF after 3 weeks rTMS treatment: the cingulate gyrus, fusiform gyrus of right temporal lobe, precuneus, and left lateral globus pallidus. Significant decrement was noted in: the precental and middle frontal gyrus of right frontal lobe, and fusiform gyrus of left occipital lobe. Conclusion: Low-frequency rTMS on the right prefrontal cortex and high-frequency rTMS on the left prefrontal cortex for 3 weeks as an add-on regimen have increased and decreased rCBF in the specific brain regions in drug-resistant depressed patients. Further analyses correlating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paradigm with functional imaging data may be helpful in clarifying the pathophysiology of drug-resistant depressed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