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프트웨어 장애

Search Result 233,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 Handling System of Software and Handware Alarm in ATM Switching Systme (HANbit ACE ATM 교환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경보 처리 시스템)

  • Jang, J.D.;Kim, J.T.;Park, K.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3 no.6 s.54
    • /
    • pp.34-45
    • /
    • 1998
  • HANbit ACE ATM 교환기에서 장애 상태의 경보 소스를 취합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과 하드웨어에 의한 방법 두 가지를 병행하여 사용한다. 각 제어 장치가 가능한 자신의 제어 아래에 있는 자원에 대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으로 경보 소스를 취합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으로 취합 불가능한 일부 하드웨어 장애 경보는 각각의 제어 장치가 직접 처리하며 하드웨어 경보 수집은 가능한 최소화 하였다. 본 고에서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의한 방법으로 수집된 장애 경보의 장애소스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장애가 발생한 경우 감지된 장애에 대한 장애 발생 위치 및 장애 내용을 출력, 장애 메시지로 운용자에게 알려주며, 아울러 그래픽 표현 기능을 이용한 가시장애, 멀티미디어를 사용한 가청장애로 장애표시를 하여 시스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는 ATM 교환기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의한 경보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논하였다.

A Study on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Model by Disability Type for Youth

  • Lee, Hyun Ju;Lee, Won Joo;Jung, Hoe Ky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0
    • /
    • pp.261-268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youths with disability. This software education model consists of a four-step process. In the first step, it draws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software education for different types of disabled youth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field 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econd step, it suggests achievement standards for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for the disabled students by classify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visual, hearing, and physical disabilities without any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third step, the study developed a modular textbook comprised of unplugged activities using coding robot Albert, physical computing, and block/text coding with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each type of disability. In the fourth step, it applied the textbook to the school field and educated disabled students focusing on experience to allow them to think logically and by stages about different problems they face in daily liv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youths' performance evaluation and surveys, it was shown that 82.3%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78.8% of visual impairments, 90.9% of hearing impairments, and 78.8% of physically disabilities achieved achievements above the "medium" level. These results prove that the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youths with disabilities proposed in this paper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computational chinking of youths with disabilities.

A Study on the Mental Care Service of the Elderly through Effective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Question (효율적인 경도인지장애 선별 문항을 통한 노인의 마음 돌봄 서비스 연구)

  • Jeong, Ji Won;Lee, Jeong Ha;Cho, Hyun Seung;Lee, Jong Won;Kim, Ha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07-310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세계는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어르신들의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증가로 발생하는 문제점 또한 무시하지 못할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조기에 치매를 선별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시되었으며 다양한 연구기관에서는 빠르고 쉽게 치매의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를 선별하고자 여러 선별 검사지를 제작하여 경도인지장애 선별을 통한 치매를 예방하는 데 노력하는 중이다. 하지만 다양한 상황으로 각각의 효율성이 경도인지장애 선별에 대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경도인지장애 선별지 들을 비교 분석 및 코로나 상황에 적합하게 비대면 방식으로 경도인지장애 선별이 가능하도록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였으며 이를 IoT 기기에 접목하였다. 또한 IoT 기기는 어르신들의 경도인지장애 선별검사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자 친근한 인형 형태로 개발하였으며 상호작용을 위한 기능 제작을 통하여 마음 돌봄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Using Robo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Kim, Jeong-R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2
    • /
    • pp.209-216
    • /
    • 2019
  • In view of the educational effects and social changes of software education, equal opportunities for software education are needed regardless of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studies on software education for general studen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studies on softwar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obot education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ing robot-enabled software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meaningful in terms of expanding software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ll. In addition, the robot-bas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is easy to motivat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low task concentration, short-term memory, and low sociality. Significant changes will be made not only in terms of management capacity, but also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confidenc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ult Processing Software in the system Clock Generator (시스템 클럭 생성기 장애 처리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 김봉수;주범순;이범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590-592
    • /
    • 1999
  • 초고속 데이터 처리 및 전송에 필수적인 B-ISDN에 있어서 디지털 시스템들이 동기를 맞추어 동작을 하여야 데이터의 손실과 잡음을 막을 수 있다. 초고속 데이터를 전송하는 ATM 교환기에 있어 동작에 필요한 기준 클럭을 생성하여 시스템 전체에 공급하는 시스템 클럭 생성기는 기능의 안정성과 고신뢰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시스템 클럭 생성기의 운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장애에 대하여 필요한 장애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내장형 제어용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이 제어용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클럭 생성기의 장애를 감시하여 처리하므로 시스템 전체에 클럭의 중단없이 안정되게 ATM교환기를 동작하게 한다. 본 고에서는 ATM 교환기의 시스템 클럭 생성기에서 발생하는 장애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설계와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Study on Effecting Factors of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 Kim, Seung-Gweon;Park, Jong-Mo;Lee, Jea-D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603-605
    • /
    • 2014
  • 소프트웨어 융/복합화가 가속화되면서 소프트웨어의 역할이 높아지면서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 소프트웨어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주요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의 장애요인들을 식별하고, 조직의 특성에 따라 장애요인들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SW개발 프로젝트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 공학기법이나 조직의 개선이나 혁신에 대한 관심이나 노력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식별되었다.

Sign Language Translation Wearable Device Using Motion Recognition (모션 인식을 이용한 수화 번역 웨어러블 기기)

  • Jun-yeong Lee;Hyeon-su Kang;Sung-jun Kim;Jun-ho Son;Dong-jun Yoo;Yang-woo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453-454
    • /
    • 2023
  • 현재 선천적인 청각장애인이나 언어 장애가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매장을 이용하기 어려움은 물론 언어전달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의사소통을 통한 서로 간의 교류 또한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현재는 따로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장치를 이용하여 지정된 장소에서 수화를 번역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적용하여 수화를 인식하고 번역하여 디스플레이에 텍스트를 출력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AI 프레임워크 MediaPipe와 SVM 알고리즘을 라즈베리파이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제스처에 대한 번역 결과를 제공한다. 기존의 지정된 장소가 아닌 대화가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번역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청각장애인과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들과 소통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Image Caption Generating Software for Auditory Disabled (청각장애인을 위한 동영상 이미지캡션 생성 소프트웨어 개발)

  • Lim, Kyung-Ho;Yoon, Joon-S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069-1074
    • /
    • 2007
  • 청각장애인이 PC환경에서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등의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때 장애의 정도에 따라 콘텐츠의 접근성에 있어서 시각적 수용 이외의 부분적 장애가 발생한다. 이러한 장애의 극복을 위해 수화 애니메이션이나 독화 교육과 같은 청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와 기술이 개발된 사례가 있었으나 다소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대 뉴미디어 예술 작품의 예술적 표현 방법을 구성요소로서 추출하여, 기술과 감성의 조화가 어우러진 독창적인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PC환경에서 청각장애인의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 향상 방법을 추출하고, 실질적으로 청각적 효과의 시각적 변환 인터페이스 개발 및 이미지 캡션 생성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청각장애인의 동영상 콘텐츠 사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청각장애인의 동영상 콘텐츠 접근성 분석, 둘째, 미디어아트 작품의 선별적 분석 및 유동요소 추출, 셋째,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 제작의 순서로 단계별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세번 째 단계에서 이미지 캡션 생성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비트맵 아이콘 형태의 이미지 캡션 콘텐츠가 생성된다. 개발한 이미지 캡션 생성 소프트웨어는 사용성에 입각한 일상의 언어적 요소와 예술 작품으로부터 추출한 청각 요소의 시각적요소로의 전환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개발은 기술적 측면으로는 청각장애인의 다양한 웹콘텐츠 접근 장애를 개선하는 독창적인 인터페이스 추출 환경을 확립하여 응용영역을 확대하고, 공학적으로 단언된 기술 영역을 콘텐츠 개발 기술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함으로써 간학제적 시도를 통한 기술영역을 유기적으로 확대하며, 문자와 오디오를 이미지와 시각적 효과로 전환하여 다각적인 미디어의 교차 활용 방안을 제시하여 콘텐츠를 형상화시키는 기술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청각장애인의 접근성 개선이라는 한정된 영역을 뛰어넘어 국가간 언어적인 장벽을 초월할 수 있는 다각적인 부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시도, 접근, 생산을 통해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발전 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uxiliary Lights for Hearing Impaired Drivers (청각 장애인 운전자를 위한 보조등 개발)

  • Do-Yeo Kim;Young-Jun Ahn;Gyem-Bi Cho;Chan-Yang Han;Min-Seo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534-535
    • /
    • 2023
  • 청각 장애인 운전자를 위한 보조등을 개발하고자 한다. 청각 장애인들은 운전할 때 다른 차의 경적이나 구급차, 소방차와 같은 긴급 자동차의 사이렌 소리를 듣지 못한다. LED 기술과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소리의 발생 위치와 종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진동으로 알림을 제공해 주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운전자와의 오해를 줄이고 운전 중의 시각 집중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청각 장애인들이 운전 시 마주치는 애로사항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제품은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청각 장애 운전자에게 자유로운 운전과 도로 안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Method Of Local Software Restore Using Remote Software Object Information (원격지 소프트웨어의 객체정보를 활용한 로컬 소프트웨어로의 복구 방법에 관한 연구)

  • Song, Ho-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83-1285
    • /
    • 2012
  • 수행중인 로컬 소프트웨어의 내부 실행상태를 실시간으로 원격지의 소프트웨어로 반영하여 예상치 못한 장애 상황에서 실행 중이던 소프트웨어를 끝까지 수행 할 수 있도록 복구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방법은 수시로 소프트웨어 내부 상태 정보를 외부의 저장 서버로 전송하게 되며 원격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에서 그 저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최신까지의 상태를 업데이트 하여 원래의 소프트웨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갑작스런 하드웨어 장애 발생시 상태 점검 프로세스에 의해서 점검되며, 장시간에 걸쳐 수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다시 처음부터 수행하지 않고 실시간 정보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수행을 완료 할 수 있게 된다. 장시간 동안 시뮬레이션 하는 시스템에서 적용 될 수 있으며 특히 OS 종류나 Server 종류에 종속 되지 않고 동작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도 프로그램 랭귀지에 상관 없이 구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