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지역 추정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소지역 추정법을 이용한 시군구의 실업자 추정

  • 이계오;정연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9-250
    • /
    • 2000
  • 신뢰할 만한 소지역 통계 작성을 위한 다양한 소지역 추정 기법들이 최근 많은 관심속에 개발되고 있다. 이 논문은 다양한 소지역 추정 기법들 중 일부 기법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 및 실례를 제시한다. 먼저 대표적인 소지역에 대한 간접추정법인 인구통계학적 방법, 합성추정법과 복합추정법에 관한 이론 및 추정절차를 살펴보았고, 모형 기반 추정법으로써 경험적 베이즈(EB) 추정법과 계층적 베이즈(HB) 추정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합성추정법과 복합추정법을 이용하여 충북의 시군구 실업자 추정에 적용해 보았고, 시군구 실업자 추정결과를 직접 추정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K-F기법으로 실업자 수의 소지역추정 -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중심으로 -

  • Yang, Yeong-Chun;Lee, Sang-Eun;Sin, Min-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05-309
    • /
    • 2002
  • 소지역에서 직접(direct) 시계열추정을 할 수 있다면, 소지역들 추정에서 최적선형 불편예측량(BLUP)을 일반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조사에서 얻어지는 관측 값의 오차가 시간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면 Kalman-Filter(K-F)기법이 사용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소지역의 실업자 수 추정에서 K-F기법으로 경제활동인구수를 이용하여 현 시점의 소지역 실업자 수를 예측함수(BLUP)를 통해 추정하였다. 그리고 단순 회귀분석 추정치와 비교하였다.

  • PDF

Small Area Estimation of Unemplyoment Using Kalman Filter Method (KALMAN FILTER기법을 이용한 실업자 수의 소지역 추정)

  • 양영춘;이상은;신민웅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6 no.2
    • /
    • pp.239-246
    • /
    • 2003
  • In small area estimation, Best Linear Unbaised Predictor(BLUP) can be directly implicated ,specially, in use of the time series estimation. If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observations and error terms over the time, Kalman Filter method can be used. Therefore, using kalman Filtering technique small area estimation of total of unemployments are estimated by BLUP. And for the example of this study, Economic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 were used.

Shrinkage Prediction for Small Area Estimations (축소예측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 Hwang, Hee-Jin;Shin, Key-I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1
    • /
    • pp.109-123
    • /
    • 2008
  • Many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have been suggested. Also for the comparison of the estimation methods, model diagnostic check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Almost all of the small area estimators were developed by minimizing MSE(Mean square error) and so the MSE is the well-known comparison criterion for superiority.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new small area estimator based on minimizing MSPE(Mean square percentage error) which is recently re-highlighted. Also we compared the new suggested estimator with the estimators explained in Shin et al. (2007) using MSE, MSPE and other diagnostic checking criteria.

소지역에서 Pseudo-EBLUP 추정

  • Sin, Min-Ung;Baek, Jeong-Yong;Kim, Ik-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11-115
    • /
    • 2003
  • 소지역 모형들은 고정된(fixed)효과와 랜덤 효과를 포함하는 일반적 선형 혼한 모형의 특별한 경우로 간주될 수 있다. 소지역 평균이나 종계는 고정된 효과와 랜덤 효과의 일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블록 대각 공분산 구조를 갖는 선형 혼합모형(mixed model) 아래서 EBLUP은 실재문제에 있어서 많이 소지역 모형에 응용된다. 설계 가중값(design weight) 들에 의존하고 설계-일치(design consistency) 성질을 만족하는 Pseudo-EBLUP 추정량들은 소지역추정에서 합해지면 (aggregated) 사후-수정(post-adjustment)없이 벤치마킹 성질을 만족한다.

  • PDF

설계가중치를 이용한 유사 최량선형 비편향 예측

  • 신동윤;신민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161-164
    • /
    • 2004
  • You 와 Rao (2002)는 소지역 추정시 유사 최량선형 비편향 예측에서 설계 가중 값을 사용하는 방법을 발전시켰다. 특히 소지역 평균들을 추정하기 위하여 유사-최량선형 비편향 예측 추정량을 제안하였다. 우리는 소지역 추정에서 실용적으로 이용되는 몇 가지 추가적인 성질을 연구하였다.

  • PDF

A Small Area Estimation for Monthly Wage Using Mean Squared Percentage Error (MSPE를 이용한 임금총액 소지역 추정)

  • Hwang, Hee-Jin;Shin, Key-I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2 no.2
    • /
    • pp.403-414
    • /
    • 2009
  • Many researches have been devoted to the small area estimation related with the area level statistics. Almost all of the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are derived based on minimization of mean squared error(MSE). Recently Hwang and Shin (2008) suggested an alternative small area estimation method by minimizing mean squared percentage error. In this paper we apply this small area estimation method to the labor statistics, especially monthly wages by a branch area of labor department. The Monthly Labor Survey data (2007) is used for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se methods.

회귀모형에 의한 소지역추정

  • Choe, Ji-Yeong;Choe, Gi-Heon;Han,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61-267
    • /
    • 2003
  • 표본의 크기가 작은 경우 추정치의 정도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조사에서의 표본을 소지역 혹은 소도메인에 할당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추정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회귀모형을 도입하였다. 회귀모형을 기계산업 표본설계 자료에 적용하여 소지역추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고전적인 추정방법과의 비교도 함께 이루어졌다.

  • PDF

Semiparametric and Nonparametric Mixed Effects Models for Small Area Estimation (비모수와 준모수 혼합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 Jeong, Seok-Oh;Shin, Key-I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6 no.1
    • /
    • pp.71-79
    • /
    • 2013
  • Semiparametric and nonparametric small area estimations have been studied to overcome a large variance due to a small sample size allocated in a small a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semiparametric and nonparametric mixed effect small area estimators using penalized spline and kernel smoothing methods respectively and compare their performances using labor statistics.

M-quantile kernel regression for small area estimation (소지역 추정을 위한 M-분위수 커널회귀)

  • Shim, Joo-Yong;Hwang, Chang-H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4
    • /
    • pp.749-756
    • /
    • 2012
  • An approach widely used for small area estimation is based on linear mixed models. However, when the functional for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and the input variables is not linear, it may lead to biased estimators of the small area parameters. In this paper we propose M-quantile kernel regression for small area mean estimation allowing nonlinear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and the input variables. Numerical studies are presented that show the sample properties of the proposed estim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