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재특성

Search Result 5,812, Processing Time 0.07 seconds

A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Focused on Visual Texture (시각적 질감을 중심으로 한 한국 전통소재의 체계적 분류)

  • 박영순;김영인;이현주;신인호;최선미;최희승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2
    • /
    • pp.197-207
    • /
    • 2001
  • A designed object reveals its meaning and image through form, color and material. Among these three elements, material has more powerful influence with its tactile and visual characteristics. In Korea, traditionally materials itself were mainly used to design artifacts rather than various color or formal dec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to classify them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texture. For this study, the pictures of Korean traditional artifacts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museums and literature. Those are architectural and interior elements, furniture, cloths and textiles, arts and crafts. Total of 533 collected artifact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metal, day, stone, paper, wood, straw, fabric things. : 59 metal things, 115 clay things, 62 stone things, 73 paper things, 80 wood things, 47 straw things, 97 fabric things. Each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its forming methods and surface treatment focused on the he characteristics of their surface texture. Throughout this study, the uniqueness of forming method and surface treatment of each materials in Korea has been clarified. And furthermore the classification by this various traditional methods of materials will provide plentiful information and ideas to today's designers of the world.

  • PDF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licon/Carbon Anode Materials using Petroleum Pitch (석유계 피치를 사용한 실리콘/탄소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 Lee, Su Hyeon;Lee, Jong Da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6 no.4
    • /
    • pp.561-567
    • /
    • 2018
  • In this study,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licon/Carbon anode material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cycle stability of silicon as an anode materials of lithium ion battery. Porous silicon was prepared from TEOS by the $st{\ddot{o}}ber$ method and the magnesiothermic reduction method. Silicon/Carbon anode materials were synthesized by varying the mass ratio between porous silicon and pitch.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Silicon/Carbon anode materials were analyzed by XRD and TGA. Also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Silicon/Carbon anod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by constant current charge/discharge, rate performance, cyclic voltammetry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tests in the electrolyte of $LiPF_6$ dissolved in organic solvents (EC : DEC = 1 : 1 vol%). The Silicon/Carbon anode composite (silicon : carbon = 5 : 95 in weight) has better capacity (453 mAh/g) than those of other composition cells. The cycle performance has an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from 2nd cycle to 30th cycle.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연결재의 소결 조재 첨가에 따른 저온에서의 특성분석

  • Seol, Gwang-Hui;Choe, Byeong-Hyeon;Nam, San;Ji, Mi-Jeong;Gwon, Yong-J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32.2-32.2
    • /
    • 2011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결재의 필요한 물성으로는 공기극과 연료극을 차폐시켜줄 수 있는 고밀도와 구성 소재간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전도도 산화극과 환원극에서 화학적 안정성과 타 구성 소재와의 열팽창 계수 등이 중요한 특성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LaCrO_3$계 연결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LCO계 연결제는 $1,400^{\circ}C$이상의 높은 소결 온도와 이로 인한 Cr의 휘발로 인한 타 구성소재와의 반응 등으로 인해 저온소결의 필요성이 재기되고 있는 소재 이다. 본 연구에서는 LCCCO계 구성 소제에 LaF3, 소결 소제를 첨가하여 저온에서 결정성 및 소결거동,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Characteristic of LCO-system interconnect added sintering aid for SO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LCO계 연결재에 소결 조제 첨가에 따른 특성)

  • Seol, Kwanghee;Ji, Mijung;Ahn, Yongtea;Kwon, Yongjin;Choi, Byung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91.2-91.2
    • /
    • 2011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결재의 필요한 물성으로는 공기극과 연료극을 차폐시켜줄 수 있는 고밀도와 구성 소재간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전도도 및 낮은 이온전도도. 산화극과 환원극에서 화학적 안정성과 타 구성 소재와의 열팽창 계수가 일치 등이 중요한 특성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LaCrO3계 연결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LCO계 연결제는 $1400^{\circ}C$ 이상의 높은 소결 온도와 이로 인한 Cr의 휘발로 인한 타 구성소재와의 반응 등으로 인해 저온소결의 필요성이 재기되고 있는 소재 이다. 본 연구에서는 LCO계 구성 소제에 소결 조제를 첨가하여 저온에서 결정성 및 소결거동,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Trend in development of hot-rolled steel sheets for automotive application (자동차용 열연강판의 개발현황 및 동향)

  • 박성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5
    • /
    • pp.24-37
    • /
    • 1996
  • 자동차용 열연강판은 그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제품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즉 고강도 및 고강성, 우수한 피로특성, 용접성 및 내식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고강도화는 향후 자동차의 경량화와 더불어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매우 필요한 기술이다. 고강도화에 가장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던 wheel용 강재의 경우, 기존에는 60kg급 강재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일본등에서는 80kg급 강재의 시험생산 및 실차 test가 진행되는 등 소재공급사와 자동차제조사와의 공동노력에 의해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더우기 96년 6월 일본철강연맹 규격에는 자동차용 열간압연 강판으로 80kg급 강재가 등록이 됨으로서 향후 고강도강의 소요가 크게 증가될 전망이다. 또한 근래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열연 TRIP강의 경우 기존의 개념을 넘어서는 고강도 및 고연성, 우수한 가공선과 더불어 우수한 피로특성을 보이고 있어 향후 동 소재의 사용확대가 크게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좋은 철강소재의 개발과 이의 적용은 강재제조기술과 더불어 이의 적정 가공기술 그리고 독자적인 설계기술등이 연계되어야만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재공급사와 자동차제조사간에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위한 공동노력이 이루어져야 되리라 생각된다.

  • PDF

Modeling of Cloth Material for Garment Animation (의상 애니메이션을 위한 직물 소재의 모델링)

  • 이상곤;남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418-420
    • /
    • 2002
  • 980년대로부터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의상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유한요소 연속체 모델, 질량-스프링 모델과 같은 물리학적 모델이 등장하고, 수치적 적분법과 정확한 충돌 검사 및 반응처리를 접목하여 그럴듯한 옷감의 움직임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개 표준적 모양 변형을 다루었기에, 두께, 질감, 빳빳한 정도 등 소재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묘사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의류학을 통해 연구되어온 직물들의 소재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시뮬레이션 된 가상 옷감과 실제 옷감의 시각적 유사성 평가를 통한 직물들의 특성 파라미터 추출법을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그 결과 대표적인 옷감 종류에 따라 구별되는 애니메이션 패턴을 생성 할 수 있었다.

  • PDF

Dyeing Properties on Aramid fabrics (아라미드 소재의 염색특성 연구)

  • Hong, Jin-Pyo;Kim, Mi-Kyung;Kim, Seong-Young;Yoon, Seok-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106-106
    • /
    • 2011
  • 아라미드 소재는 내열성, 난연성이 우수하고 일반 섬유보다 강한 물성을 지닌 수퍼섬유 소재의 하나로 보호복이나 군용, 특수의류 분야에 많은 용도전개가 가능하나 유리전이온도 및 결정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난염성 섬유소재로 염색메카니즘의 명확한 규명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라미드 소재(m-Aramid, p-Aramid)의 염색방법에 대한 연구로, 캐치온 염료를 이용하여 팽윤제 종류 및 농도, 염색온도 조건, 중성염 효과 등 염색조건에 따른 염색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분산염료 및 기타 염료 등의 적용을 통하여 다양한 염료적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Organo-Layered Silicate as an Filler of Polymeric Nanocomposites from $delta-Na_2Si_2O_5$ ($delta-Na_2Si_2O_5$ 로부터 고분자 나노복합 소재용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 합성 및 특성)

  • 김윤섭;고형신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26-226
    • /
    • 2003
  • 일반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에 층상 점토광물이 분산되어 얻어지는 복합재료는 세가지 형태를 이룬다. 첫째 통상의 복합재료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점토입자가 고루게 분산된 상태를 말하며, 둘째 점토 층 사이에 고분자 모노머나 올리고머가 일부분 삽입된 삽입형 복합재료(intercalated composite)이며, 셋째 점토 층 사이에 삽입된 모노머나 올리고머의 경화 또는 중합반응을 통해 점토내의 한층 한층 균일하게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박리형 나노복합소재(exfoliated nanocomposite) 이다. 이들 복합재료들 중 박리형 나노복합소재는 적은 양의 점토가 단위 층으로 고분자 매트릭스에 완전히 분산되어 다양한 물성의 향상이 기대되는 재료이다. 따라서 최근 고분자의 기계적 강도, 팽윤 저항성 그리고 차폐특성 둥 전반적인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층상 점토광물의 층 사이에 다양한 유기물을 삽입하여 층간거리를 확장시킨 유기 점토광물을 제조하고 이를 고분자 소재에 첨가하여 박리형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WPT system using the superconductor coil according to the shielding materials arrangement (초전도 코일을 적용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차폐재 배열에 따른 특성 분석)

  • Lee, Yu-Kyeong;Jung, Byeong-Ik;Jeong, In-Sung;Hwang, Seon-ho;Choe, Hyo-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49-155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초전도 공진 코일의 차폐 소재 위치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특성을 분석하였다. 차폐 소재는 송신 코일로부터 3cm, 8cm, 18cm, 28cm 간격을 두었다. 차폐 소재로는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을 적용하였다. 그 다음 Network Analyzer를 이용하여 S-parameter($S_{11}$)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알루미늄 차폐 소재를 5cm 간격을 두어 적용하였을 때 반사계수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플라스틱 차폐소재에서는 어떤 위치에서도 비슷한 반사계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The Preparation Technology of the ABS Composite for Automobile and Electronics Parts (자동차 및 전기부품용 고기능 ABS 복합소재 기술개발)

  • Ahn, Tae-Kwang;Seo, Kyung-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97-100
    • /
    • 2008
  • 플라스틱인 ABS와 탄산칼슘 복합소재에 사용되는 carrier resin과의 상용성 기술개발을 이용하여 무기충진재인 탄산칼슘의 최적 입도와 분산제 등의 첨가제 Recipe 확보를 통한 복합소재의 제조기술 개발하고, 이들 제조된 복합소재를 ABS에 최대 40%까지의 적용하는 기술과 함께 기계적 특성 및 충격강도, 그리고 수지 내의 무기충진에 따른 분산성을 조사하였다. 무기 충진 ABS의 시제품을 제조하여 물리적, 기계적, 열적 특성시험을 거쳐 최적의 탄산칼슘 복합소재 생산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