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의 뇌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Factors Relative to the Brain Nerve Growth in Girls (유산소운동이 여자 아동의 뇌세포 생성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 Pyun, Mi-Young;Cho, Han-Sam;Jeon, Jae-Young;Kim, Jong-Won;Lee, Kyung-Hee;Lim, Chun-Kyu;Kim, Tae-Un;Kim, Hyun-Jun;Kwak, Yi-Sub;Ko, Ki-J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0 no.6
    • /
    • pp.948-954
    • /
    • 2010
  • Exercise can favorably influence brain plasticity by facilitating neurogeneration, neuroadaptivity, and neuroprotection. Aerobic exercise has been reported to change brain nerve growth factors (growth hormone, insulin like factor-1, estrogen and seroton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for 12 weeks on brain nerve growth factors in girls. Fourteen female participants in elementary school grades 1 through 3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ercise group (EG, n=6) and control group (CG, n=8). The EG participated in 60 minutes of modified ballet exercise as aerobic training three days a week for 12 weeks. Based on comparison between groups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erobic exercise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d decreased weight (p<0.01), BMI (p<0.01), fat mass (p<0.001), fat percent (p<0.001) and increased LBM (lean body mass) percent (p<0.001). In addition, we detected that aerobic exercise decreased the level of serotonin (p<0.05) and increased the level of GH (p<0.05) and IGF-1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erobic exercise programs can be an efficient intervention to change body composition, alleviate central fatigue, improve brain function, and induce brain cell proliferation in girls.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Neurosteroid Acyltransferase from the Bovine Brain (소의 뇌에서 Neurosteroid Acyltransferase의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In-Ho;Jo, Sung-Jun;Jo, Do-Hyu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0 no.2
    • /
    • pp.112-116
    • /
    • 1997
  • The enzymatic properties as well as its distribution in the cerebral region and subcellular organells were investigated for the neurosteroid acyltransferase from the bovine brain, which synthesize the fatty acid esters of the neurosteroids. The cerebellum region was the highest in NSAT activity while the cerebrum was the lowest with 50% of the cerebellar activity. The NSAT was found to be mainly localized in the microsomal fraction.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were $40^{\circ}C$ and 4.9, respectively. When $^3H-DHEA$ was utilized as substrate, the $K_m$ and $V_{max}$ was $32.6\;{\mu}M$ and 4.86 nmole/mg protein/h, respec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 pregnenolone$({\Delta}^5P)$ was a competitive inhibitor with $K_i=22.8\;{\mu}M$ and testosterone was a uncompetitive inhibitor with $K_i=22.8\;{\mu}M$. This may suggest that the NSAT has a different conformation in the acylation of the ${\beta}-hydroxyl$ group at C-3 and C-17.

  • PDF

광우병 공포 - 유럽에 악몽 재연

  • 축산물등급판정소
    • KAPE Magazine
    • /
    • no.52
    • /
    • pp.18-19
    • /
    • 2000
  • 유럽에 다시 '광우병 panic'이 확산되고 있다. 영국의 악몽에서 4년반이 지나 프랑스를 진원지로 한 이번 소동은 영국으로부터의 불똥을 주변국이 막지 못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광우병은 소의 뇌가 스펀지모양이 되고 사람에게 옮길 위험성도 높다. EU는 각국에서 감염된 소가 늘어나 대책마련에 몰두하고 있다.

  • PDF

신경전달물질 조절효소의 단항체 생성 및 특성연구

  • Choi, Eui-Yeol;Park, Sang-Ryul;Jang, Sang-Ho;Kim, In;Song, Min-Sun;Choi, S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69-269
    • /
    • 1994
  • GABA shunt에 관여하는 두 가지 효소인, GABA transminase와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에 대한 단일 클론 항체를 생산하고 이들 항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소의 뇌에서 순수 정제된 효소를 동물에 주사한 후 immunodot-blot 분석법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항체를 분비하는 hybridoma를 골라낸 후 생산된 단일 클론 항체가 특이적으로 이들 효소와 반응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뇌조직에서 추출한 총단백질을 SDS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분리한 후 이들 항체를 처리한 결과, GABA-T에 대한 항체는 특이적으로 분자량이 50kDa에 해당하는 단백질 밴드만을 인지하였고 SSA reductase에 대한 항체의 경우 분자량이 34kDa 크기의 단백질 밴드와 반응하였다. 이들 분자량은 순수 정제된 소뇌의 효소 단백질의 크기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소뇌의 효소에 대한 항체를 추적물체로 사용하여 다른 포유동물자 조류의 효소와 비교하는 cross-reactivity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 돼지, 토끼, 쥐 (rat), 개, 고양이 그리고 닭의 뇌를 제거한 후 총단백질을 추출하고 Western blot을 해본 결과 GABA transaminase의 경우 조류를 제외하고 다른 포유동물에서는 같은 분자량의 단일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고 SSA reductase의 경우 조류를 포함하는 모든 동물에서 같은 분자량의 밴드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포유류 뇌에 있는 이들 효소들은 변역학적으로 아주 유사하다고 사료된다.

  • PDF

Tc-99m-HMPAO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SPECT in Cerebral Rete Mirabile (Cerebral Rete Mirabile의 Tc-99m-HMPAO 국소뇌혈류 SPECT소견)

  • Park, Young-Ha;Chung, Soo-Kyo;Lee, Sung-Yong;Shinn, Kyung-Sub;Kim, Jong-Woo;Bahk, Yong-Whee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2 no.2
    • /
    • pp.157-161
    • /
    • 1988
  • Cerebral rete mirabile는 잘 알려진 뇌혈관 질환으로 뇌혈관촬영상 내경동맥이 심한 협착 혹은 폐색, 뇌저부의 이상혈관망 형성 및 다수의 연수막동맥간문합과 경경수막 외내경동맥간문합의 특징적 소견을 나타낸다. 최근 방사성의약품의 발전과 함께, Tc-99m-HMPAO를 이용한 뇌SPECT는 뇌혈류역학의 평가, 병소의 조기발견 및 병소의 정확한 위치를 알기위한 상용진단 방법이 되었다. 저자들은 뇌 혈관촬영으로 확진된 10명 의 Cerebral rete mirabile 환자에서 뇌 전산화단층촬영과 Tc-99m-HMPAO를 이용한 국소뇌혈류 SPECT를 검토하였다. 대상환자중 남자는 3명, 여자는 7명이었으며, 연령분포는 6세에서 38세이었다. 1) Tc-99m-HMPAO를 이응한 국소 뇌혈류 SPECT는 뇌의 경색부위 뿐만 아니라 허혈부위까지 나타냈으며, cerebral rete mirabile에서의 뇌의 침습된 부위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뇌전산화단층촬영보다 우월하였다. 또한 모든 예에서 뇌전산화반층촬영보다 더 넓은 허혈부위를 보여주었다. 2) 다른 허혈성 뇌혈관질환과 비교하여 cerebral rete mirabile는 비균질성 방사능을 나타냈고, 이는 측부순환로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3) Tc-99m-HMPAO를 이용한 국소뇌혈류 SPECT는 뇌의 허혈부위의 범위를 평가, 문합수술의 계획 및 cerebral rete mirabile의 경과를 추적하는데 유용한 검사이다.

  • PDF

뇌조직으로부터 정제한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의 정제 및 활성기작 연구

  • 최수영;송민선;최의열;조성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71-271
    • /
    • 1994
  • NADPH-dependent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를 소의 뇌조직으로부터 여러가지 크로마토그래픽 방법을 이용하여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효소는 분자량 34kDa을 가진 monomeric 단백질이며 substrate specificity. 분자량, 최적 pH, 아미노산 조성 등을 다른 sources의 효소들과 비교하였다. 이 비교 결과들로부터 본 연구에서 정제한 효소는 다른 sources와 다른 효소로 밝혀졌다. 반응의 산물이나 유사 기질 등을 저해제로 사용하였을때의 반응기작은 intermediate ternary complex를 형성하고 NADPH가 먼저 효소에 binding하는 ordered Sequencial mechanism을 보인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Seizure Propagation on Ictal Brain SPECT : A Pitfall in the Localization of the Seizure Focus (발작기 뇌혈류 스캔에서의 간질 확산에 관한 연구 : 간질 병소 국소화의 오류)

  • Kim, Man-Deuk;Lee, Jong-Doo;Ryu, Young-Hoon;Kim, Do-Joong;Kim, Jai-Keun;Moon, Sung-Wook;Yoon, Pyeong-Ho;Lee, Chang-Hoon;Lee, Byung-I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0 no.4
    • /
    • pp.463-468
    • /
    • 1996
  • 본 연구는 간질 병소의 국소화에 있어 발작기 및 발작간 뇌스캔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발작기 뇌 스캔에서 나타나는 간질 확산이 정확한 간질 병소를 국소화 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15명의 복잡 부분 발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질 병소의 최종적인 국소화는 두피 및 발작 뇌파, 피질 뇌파, 자기 공명 영상, 임상양상 및 병리 소견을 종합한 근거로 하였다. 발작기 뇌스캔은 뇌파상 발작 중 또는 환자가 aura를 호소할 때 Tc-99m HMPAO 20mCi(740 MBq)를 정맥주입후 시행하였으며 발작간 뇌스캔은 발작기 뇌스캔 후 3일 이내 임상적으로 발작 증상이 없는 기간에 시행하였다. 간질 병소는 우측 측두엽이 8예, 좌측 측두엽이 6예, 측두엽 이외의 기원이 1예 였다. 발작기 뇌스캔상, 모두 11예(73.3 %)에서 단발성 또는 다발성 섭취 증가가 간질 병소 및 간질확산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간질 병소에만 국한된 섭취 증가는 4예(26.7%)에 불과 하였다. 발작간 뇌스캔에는 모두 11예(73.3 %)에서 간질 병소에만 섭취가 감소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는 8예(53.3 %)에서 hippocampal sclerosis를 포함한 간질 병소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복잡 부분 발작 환자에서, 간질 확산이 발작기 뇌 스캔 중 자주 관찰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간질 확산에 따른 다발성 방사능 섭취가 발작기 뇌스캔상, 간질 병소의 국소화에있어 한계가 있음을 결론 내릴 수 있었다.

  • PDF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in limited small-cell lung cancer : incidence of brain metastasis and survival and clinical aspects (예방적 두강내 방사선 조사후 소세포 폐암 환자의 뇌전이 빈도와 생존율에 대한 연구)

  • Suh, Jae-Chul;Kim, Myung-Hoon;Park, Hee-Sun;Kang, Dong-Won;Lee, Kyu-Seung;Ko, Dong-Seok;Kim, Geun-Hwa;Jeong, Seong-Su;Cho, Moon-June;Kim, Ju-Ock;Kim, Sun-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9 no.3
    • /
    • pp.323-331
    • /
    • 2000
  • Purpose: Brain metastases are present in approximately 10-16% of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at diagnosis. Brain metastasis is an important clinical problem associated with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with a cumulative incidence of up to 80% in patients surviving 2 years.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PCI) reduces the incidence of brain matastasis and may prolong survival in patients with limited small-cell lung cancer who achieved complete remiss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cidence of brain metastasis, survival and clinical aspects after PCI in patients with limited small-cell lung cancer who achieved complete remission. Methods : Between 1989 and 1999, forty-two patients with limited small-cell lung cancer who achived achieved complete remission after therapy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received etoposide and cisplatin(VPP) alternating with cytoxan, adriamycin, and vincristine(CAV) every 3 weeks for at least 6 cycles initially. All patients received thoracic radiotherapy: concurrent(38.1%) and sequential(61.9%). All patients received late PCI. Results : Most patients(88.1%) were men, and the median age was 58 years.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18.1 months. During the follow-up period, 57.1% of the patients developed relapse. The most frequent site of relapse was chest(35.7%), followed by brain(14.3%), liver(11.9%), adrenal gland(44%), and bone(2.2%). With the Kaplan-Meier method, the average disease-free interval was 1,090 days(median 305 days). The average time to development of brain relapse after PCI and other sites relapse(except brain) were 2,548 days and 1,395 days(median 460 days), respectively. The average overall survival was 1,233 days(median 634 days, 21.1 months), and 2-year survival rates was 41.7%. The average overall survival in the relapse group was 642 days(median 489 days) and in the no relapse group was 2,622 days(p<0.001). The average overall survival in the brain relapse group was 928 days(median 822 days) and in the no brain relapse group was 1,308 days(median 634 days)(p=0.772). In most patients(85.7%), relapse(except brain) or systemic disease was the usual cause of death. Brain matastasis was the cause of death in 14.3% of the cases. Conclusions : We may conclude that PCI reduces and delays brain metastasis in patients with limited small cell lung cancer who achieved complete remission. We found decreased survival in relapse group but, no significant survival difference was noted according to brain matastasis. And relapse(except brain) or systemic disease was the usual cause of death. In order to increase survival, new treatment strategies for control methods for relapse and systemic disease are required.

  • PDF

화제의연구(3) - 쥐 뇌에 배아줄기세포 이식, 신경세포 생성실험 성공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4 s.395
    • /
    • pp.20-21
    • /
    • 2002
  • 포천중문의대 차병원 세포유전자연구소의 연구팀은 국내 처음으로 쥐의 배아 줄기세포를 살아있는 쥐의 뇌에 이식하여 손상된 뇌신경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뇌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연구팀은 쥐실험과 같은 연구과정을 사람에게 적용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오는 5월 '줄기세포치료이식센터'를 완공할 계획이다.

  • PDF

Homogeneity of Phospholipase C of Bovine Uterus and Seminal Vesicle Compared with Brain Isozymes (소의 자궁 및 고환에서 Phospholipase C의 분리 및 뇌 Isozyme과의 비교 연구)

  • Kim, Jung-Hye;Rhee, Sue-Goo;Lee, Ki-Yu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5 no.2
    • /
    • pp.37-45
    • /
    • 1988
  • Phosphoinositide-specific phospholipase C(PI-PLC) is a second messenger of signal transducer on cell membrane. In the previous study, PLC of bovine brain has been purified three isozymes. In this paper, uterus and seminal vesicle have been purified. Two peaks of PI-PLC activity were resolved when bovine uterus and seminal vesicle proteins were chromatographed on a DEAE and phenyl TSK 5PW HPLC column. Each two peak was compared with PI-PLC I, IT and ill from bovine brain and we got the retension time on HPLC. The peak fractions with PLC activity were tested homogeneity with brain PLC monoclonal antibodies(Mab). Mab-labeled affigels were bounded in the range of 73.8%~97.5% with PLC I, IT and III. Homogeneity of fractions were revealed that DEAE F-1 and phenyl F-1-I were highest level of PLC III in uterus and seminal vesicle and DEAE F-2 and phenyl F-2-I were mixed PLC I and I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