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음원 모델링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odeling of ambient noise in ocean environment using coupled mode (연성모드법을 이용한 해양 배경소음 모델링)

  • Park, Jungyong;Kwon, Hyuckj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4
    • /
    • pp.397-409
    • /
    • 2022
  • A model is developed for the calculation of sea surface generated ambient noise in the range dependent ocean environment. The sources are located in the horizontal plane all around and their depths are at the near-surface. The receiver array is located in the range dependent ocean waveguide. One-way coupled mode method is used to model the acoustic propagation between the sources and receiver in the range dependent waveguide, and the cross spectral density matrix of noise is derived. In simulation, noise intensity, beamforming result and coherence function are calculated from the cross spectral density matrix. Thes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range independent environment. The modeling result shows the effect of the vertical directionality and asymmetry characteristics of the horizontal plane.

Comparison of Evaluation Methodsfor Receiver Setting and Representative Noise Level Selection in Calculating Population Exposed to Noise (소음예측 모델링을 이용한 소음노출인구산정 시 수음점 설정 및 대표소음도 평가방법에 따른 비교)

  • Yun, Hee-Kyung;Lee, Jae-Won;Kwon, Myung-H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2
    • /
    • pp.105-113
    • /
    • 2018
  • The modeling of noise mapping and the evaluation of noise pollution based on the exposed population were frequently used as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noise assessmen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ield survey and Tele-Monitoring System. Results from these methods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 setting of noise source, input data of prediction factors and analytical methods of predictive values. The population exposed to noise were estimated as M1-1>M2-1>Base>M2-2>M1-2 in both areas. The highest noise setting methods(M1-1, M1-2) were overestimated, being compared with the Base method.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wind noise level using the measured wind-speed data in 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동해 연안에서 관측된 풍속자료를 이용한 바람소음준위 추정 연구)

  • Park, Jisung;Kang, Donghyug;Kim, Mira;Cho, Sung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4
    • /
    • pp.378-386
    • /
    • 2019
  • Unlike ship noise that radiates from moving ships, wind noise is caused by breaking waves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ind and the sea surface. In this paper, WNL (Wind Noise Level) was modeled by considering the noise source of the wind as the bubble cloud generated by the breaking waves. In the modeling, SL( Source Level) of the wind noise was calculated using the wind-speed data measured from the weather buoy operated in 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At the same time as observing the wind speed, NL (Noise Level) was continuously measured using a self-recording hydrophone deployed near the weather buoy. The modeled WNL according to the wind speed and the measured NL removing the shipping noise from the acoustic raw data were compared in the low-frequency band. The overall trends between the modeled WNL and the measured NL were similar to each other.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model the WNL in the shallow water considering the SL and distribution depth of bubble cloud caused by the wind.

Research on Noise Analysis Systems for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에어컨 실외기 소음원 해석시스템 구축 연구)

  • Kim, Dong-Jin;Hong, Suk-Yoon;Song, Je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795-79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에어컨 실외기의 내부 소음원에 의한 방사소음의 수준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에어컨 실외기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품을 내부 모델과 외부 모델로 구분하여 모델링하고, 주요한 소음원에 대한 최소한의 해석을 통하여 에어컨 실외기의 방사소음 수준을 예측하였다. 에어컨 실외기의 주요한 소음원 데이터를 실험을 통하여 계측하고, 이를 소음원 입력값으로 하는 진동해석 및 방사소음해석을 실시하여 구성품별 기여도를 예측 및 내부 구성품에 의한 소음원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해석을 통해 도출된 소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음향 연성해석을 실시하여 방사소음수준을 예측하고, 실험을 통한 계측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Acoustic Loads of Launch Vehicle Using NURBS Curve Modeling (넙스(NURBS) 곡선 모델링을 이용한 발사체 음향하중 예측에 대한 연구)

  • Park, Seoryong;Kim, Hongil;Lee, Sooga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6 no.2
    • /
    • pp.106-113
    • /
    • 2018
  • The Intense acoustic wave generated by the jet flame at the lift-off causes the vehicle to vibrate in the form of acoustic loads. The DSM-II(Distributing Source Method-II), which is a representative empirical acoustic loads prediction method, is a method of distributing a noise source along a jet flame axis and has advantages in calculation cost and accuracy.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istributing method, there is a limit to accurately reflect the various launch pad configurations. In this study, acoustic loads prediction method which can freely distribute noise sources is studied. by introducing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 modeling into empirical prediction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newly introduced analytical technique of the NURBS, the acoustic loads prediction for the Epsilon rocket's low-noise launch pad shape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ediction methods and experimental results.

Study on the Noise Source Modeling and the Source Strength Estimation of Mugungwha Trains Running on the Conventional Railway (기존선을 주행하는 무궁화호 열차의 소음원 모델링과 음향강도 평가에 관한 연구)

  • Jang, Seungho;Jang, Eunhy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23 no.11
    • /
    • pp.1020-1026
    • /
    • 2013
  • An accurate railway environmental noise prediction model is required to make the proper solution of the railway noise problems. In this paper, an engineering model for predicting the noise of conventional passenger cars is presented considering the acoustic source strength in octave-band frequencies and the propagation over grounds with varying surface properties. Since the formation of a train can be variable, the source strength of each locomotive and passenger car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pass-by noise and analysing the wheel-rail rolling noise. Some validation cases show on the average small differences between the predictions of the present model and the measurement results.

Nois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Highspeed Train in Outdoors (고속철도소음의 전파특성)

  • 김정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73-79
    • /
    • 1996
  • 우리나라와 같이 철도의 운행위치와 소음 피해를 받는 수음자 간의 거리가 인접되어 있는 경우, 소음의 전파특성은 과도형상을 나타내는 구간에 속하게 되어 전파중에 나타나는 지표면의 다양한 물리적, 현상과 경계면 등의 이피던스 값등이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소음의 소음원 자체에 대한 모델링 기법과, 자유공간을 전파할 때 나타나는 거리감쇠 효과 등을 고려한 음향학적인 연속선음원 및 유한 불연속 선음원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고, 특히, 소음원의 크기에 비교하여 수음자의 위치에 따라 저감되는 음향전파특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유한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철도차량의 소음원 모델을 이용하여 향후 국내에서 운행되리라 예상되는 고속철도의 음향파워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음향파워로부터 철도변의 소음분포를 도출하였으며 고속철도의 경우 운행시 소음피해가 어느 정도인지를 예상하였다.

  • PDF

진공청소기 흡입 노즐의 저소음화를 위한 유동 해석

  • 엄윤섭;김대식;박병일
    • Journal of KSNVE
    • /
    • v.7 no.6
    • /
    • pp.888-893
    • /
    • 1997
  • 진공청소기에서 발생하는 주 소음원은 홴(fan)에 의한 공력 소음및 모터의 진동에 기인하는 청소기 본체의 소음과 청소기 흡입 노즐(nozzle)에서 발생하는 공력 소음으로 나눌수 있다. 청소기 본체의 주 소음원인 원심 홴(centrifugal fan)은 고속으로 회전하며 구조가 복잡함으로 인해 소음 해석에 필수적인 유동의 해석이 어려우나 이산 와류법을 이용한 소음원 해석등의 연구가 진행중이다. 진공청소기 노즐부에서는 일반적인 분류(jet)의 토출과는 상이하게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로 소음 발생 기구의 모델링 (modeling)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공력 소음은 Lighthill에 의하면 비정상 유체가 운동할 때 나타나는 변형에 기인한다고 하며 주변에 고정 경계면이 없는 상태에서 유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소음을 이론적으로 연구하였다. 그후 Curle에 의해서 고체 벽면의 영향을 고려한 방정식의 해가 구해졌다.

  • PDF

Noise influence Coming to Existing Neighborhood Area by Extension of Power Site and Noise Reduction Service (발전소 증절이 부지경계의 가존 지역에 미지는 소음영향과 저감 대책)

  • Kim, Yeon-Whan;Goo, Jae-Rayng;Bae, Chun-Hee;Kim, Kye-Yean;Yang, D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10a
    • /
    • pp.716-722
    • /
    • 2009
  • 4000MW급 유연탄발전소는 기존 500MW급 4기의 발전설비 운영조건에서 지역공동체는 긍정적이었으나, 500MW급의 증설 호기가 늘어나면서 지역 공동체는 발전소 증설과 관련하여 기존 동쪽 부지 경계지역의 소음환경에 대하여 부정적인 문제를 제기하였다. 2000MW급 증설이 진행되어온 4000MW급 발전소의 다양한 소음원에 의한 소음파워 증대와 증가방출 과도소음 에 대하여 고저가 다양한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음 평가하고자 3차원 모델링기법을 적용한다. 기존호기를 비롯한 전체의 발전소 전면부 소음원응 비교 시험결과 증가방출 소음 파워가 기존 설계의 변경 제작되어 기존호기에 비해 20~30dBA 높아져 동시 방출사 주변지역에 과도하게 영향을 미치는 상태였으며 500MW급 4기를 추가 증설에 따라 일상소음원에 의한 소음 영향도 증설전 대비 2~3dBA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증설호기의 과도 소음원 제거 방안으로 대가 방출증가가 회수되도록 증설호기의 증가방출설비를 개선하였고, 증설에 의하여 증가된 소음 영향음 저감하고자 기존 경계지역에 미치는 소음원음 고려하여 방음벽음 설치한 결과 47 ~ 49dBA를 나타내고 인근 주거건물의 전면부 소음은 43dBA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