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음원 규명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ource Identification of Interior Noise of Passenger Car Using the Priority Determination among the Sources (소음원간의 우선순위 결정을 이용한 차량의 실내 소음원 규명)

  • 김광준;배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179-184
    • /
    • 1994
  • 다입력/단일출력 모형을 이용하여 소음/진동원을 규명할 때 입력들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면 이들 사이의 우선순위 결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상관관계를 입력들간에 구성되는 선형계 H$_{xy}$(f)로부터 힐버트 관계와 충격응답함수의 특성을 살핌으로써 우선순위를 결정하였으며, 부분 기여도함수 기법을 적용하여 차량의 실내 소음원과 전달경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충격응답함수와 전달함수의 힐버트 관계를 이용한 우선순위 결정법의 상대적인 차이점, 오차등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연구 되어야 할 과제이다.

  • PDF

The Rate of Noise Contribution of the Pass-by Noise Test Method in Truck (트럭의 가속주행소음 시험 방법에 따른 소음원의 기여도에 관한 연구)

  • 최명선;장호경;김정락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4
    • /
    • pp.316-323
    • /
    • 2004
  • Recent trend of installation of highly efficient and high Power engine in vehicles has increased complaints about exterior noise being made while travelling. To examine the sources of outer noise of vehicles controlled by regulations. using lead wrapping method. Pass-by noise tests have been conducted as opening each defined source one by one. The sources of outer noise have been found and the rate of noise contribution has been produced. The results of the tests have been applied to put noise-reducing objects in the order, and counter plans effective to reduce noise have been devised.

Analysis of Structure-Borne Noise in a Passenger Car During Idling (공회전 차량의 구조기인 소음해석)

  • 배병국;김광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132-13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공회전시 발생하는 승용차의 실내 소음에 대하여 각 소음원들의 특징과 실내소음에 기여하는 정도를 다중입력/단일출력 모형을 구성하므로써 기여도 및 부분 기여도 함수를 이용한 신호 처리 방법으로 소음원을 규명하였다.

  • PDF

Source Identification and Reduction of Noise for the Outdoor Unit of Room Air Conditioner (에어컨 실외기의 소음원 규명 및 소음저감)

  • 서상호;임금식;이내영;진심원
    • Journal of KSNVE
    • /
    • v.8 no.6
    • /
    • pp.1043-1052
    • /
    • 1998
  • The noise sources in the outdoor unit of RAC are identified by the sound intensity method. The main noise sources are compressor noise and fluid noise which is caused by the fan. heat exchanger and shroud. First. the fluid noise is reduced through the design of new fan and shroud. reduction of the system resistance by rearrangement of heat exchanger. and optimization of the complex parameter between the fan and shroud. Next, in order to reduce the compressor noise, the new shape of compressor mount and sound-proof material was applied. As a result, the overall noise was reduced by 4∼5dB (A).

  • PDF

Definition and Improvement of the Sound which was generated by Bubbles at the Accumulator of the Evaporator (증발기 어큐뮤레이터에서의 버블 소음 규명 및 개선)

  • 박정희;장의영;박윤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148-154
    • /
    • 1996
  • 가정용 냉장고에 있어서 정음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냉장고의 주요 소음원이라고 할 수 있는 압축기, 냉기 순환용 팬, 압축기 냉각용 팬 및 냉매 순환용 파이프 방진구조 등의 개선을 통하여 국내외적으로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소음원들의 특징은 각각이 특정한 목적에 의하여 작동하는 하나의 구동부이거나 이러한 구동부와의 직접적인 연결에 의해 가진되는 경우로서 Airborne Noise나 Structureborne Noise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압축기나 팬이 꺼진 상태에서 냉장고의 싸이클상에 열교환용 냉매가 봉입된 상태에서 압축기가 운전시 형성되었던 싸이클상의 고압 및 저압측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증발기의 Accumulator내에 형성된 Sleeve(이하, 삽입관 .PHI.1.5 Hole)에 의해서 발생되는 Bubble 소음에 대한 실험적 규명과 소음 측정을 통한 주파수 분석을 하였으며, 이러한 Bubble 소음 발생시 싸이클상의 온도 및 압력값을 측정하여 Strasberg에 의해 도출된 선형화된 식을 이용하여 Bubble 소음 발생시 주파수 분석을 통한 Bubble Size를 결정하였고, Bubble 소음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Orifice를 제거하여 Bubble 소음의 개선 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The Variability of Ambient Noise Levels in Coastal Waters of Korea (한국 연안에서의 수중소음 수준의 변화)

  • 김성부;장지원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3
    • /
    • pp.47-52
    • /
    • 1985
  • 한국 연안에서 높게 보고되고 있는 수중소음의 소음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해상교통량 변화에 따 르는 소음 수준의 변화를 2KHz 이하에서 관측하였다. 100Hz 부근의 소음은 이미 잘 알려진대로 선박에 기인함이 실험결과에서 드러났지만, 그 수준은 100~110dB로 높게 관측되었다. 더욱이 관측선으로 부터 의 거리변화율이 심한 근거리에 다수의 선박들이 분포해 있을 때 10분 간격의 소음 변화는 특히 1KHz 이상에서 최고 10 dB까지 변화를 보였다. 이것은 연근해의 밀집해 있는 선박들이 이 주파수대에서도 하 나의 소음원으로서 작용함을 의미한다.

  • PDF

Analysis of Noise Characteristics of a Hair Dryer (헤어드라이기의 소음특성해석)

  • 우재학;박정석;박득용;오상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11-15
    • /
    • 1994
  • 헤어드라이기, 자동차용 진공청소기, 면도기, 쥬서/믹서기등과 같은 소형 가 전제품은 사용시, 제품과 소비자사이의 거리가 짧아 진동/소음에 관한 인식이 대형 가전제품에 비해 크다. 과거에는 가전제품의 경우, 기본성능 및 각 회사만이 갖고 있는 독자적인 성능과 디자인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소음/진동에 관한 문제는 제품이 제작된 후에 필요에 따라 고려되었기 때문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저진동/저소음을 위한 대책에는 한계가 있었다. 근래에는 진동/소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제품의 설계단계부터 저진동/저소음 제품을 설계하기 위한 노력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추세의 한 예로서 헤어드라이기에 대해 결정된 디자인 및 성능이 크게 변경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진동/소음이 적은 구조를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헤어드라이기의 소음원 및 특성을 간단히 규명한 뒤, 벨마우스(bellmouth) 이용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소음저감법을 소음원에 대해 적용하였다. 헤어드라이기의 경우 소음원이 몸체에 삽입되는 순간 특정 주파수대역에서 소음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헤어드라이기의 몸체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을 수치해석 및 실험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이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몇가지의 변경된 구조에 대해 소음에 관련된 현상을 고찰해 봄으로써 저소음을 위한 헤어드라이기의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The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Noise for Power Plants located in Downtown Area (도심에 위치한 발전소의 환경소음실태 평가)

  • Kim, Yeon-Hwan;Lee, Jun-Sin;Lee, Hyeon;Song, G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4a
    • /
    • pp.722-727
    • /
    • 1998
  • 본 연구는 도시 인근발전소의 소음 유발 기기에 의한 환경소음의 실제적인 기여도를 평가하고 더욱 쾌적한 환경조성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발전소 경계의 수음자소음을 기초로 각종 기기의 주파수 분석을 통하여 소음 유발 기기를 규명하고 소음원의 주 주파수 및 크기를 구하였다. 소음원의 전파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소음레벨의 분포도를 구하였으며, 측정치와도 잘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 PDF

세탁기 브레이크 밴드소음 고장분석 사례

  • 이재혁;함선일;박상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4.07a
    • /
    • pp.297-301
    • /
    • 2004
  • 세탁기의 Shaft Ass'y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세탁 및 탈수행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세탁기의 핵심부품으로 사용 중 브레이크 밴드소음을 유발하여 소비자의 불만족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드럼과 브레이크 페드의 정확한 마찰소음 현상 규명이 안되어 불량 개선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소음, 진동, 소재 분석 및 ESPI(Electronic Speckle Pattern Interferometry) 분석을 통해 고장원인을 규명하였다. 특히 ESPI는 비접촉, Full Field 정밀 변형 가시화 장치로 Shaft Ass'y의 동작 중 공진소음 발생 부위를 변형 가시화를 통해 정확하게 찾을 수 있었다. 밴드소음 원인은 브레이크 Lever의 공진에 의해 발생하였고 브레이크 밴드 패드의 접촉면적 불균일로 인한 국부적 마찰력 증대가 소음원으로 작용하였다. 밴드소음의 정확한 고장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개선안을 도출하여 적용하였고 밴드소음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