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요실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9초

임상병리검사 질 가산율 산출 및 적용기준의 검토 (Calculation of the Quality Additional Rate of Clinical Laboratory Test and Review of Application Criteria)

  • 양병선;박상묵;배형준;김원식;박훈희;임용;김윤식;최세묵;배도희;박지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61-270
    • /
    • 2020
  • 본 연구는 질 가산율 산출 및 적용기준을 검토하여 우수검사실 신임인증 및 전문인력영역에 있어 임상병리사를 추가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6개 기관은 1,0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규모이며, 상근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평균 5명, 임상병리사는 평균 53명으로 전문의 1명당 10.6명으로 나타났다. 임상병리사의 행위분류별 소요시간에 대한 분석결과, 분석 중 행위는 낮아지고 있는 반면 검사실 운영, 정도관리 등의 강화로 포괄적 분석 전 행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 중 행위는 생화학 검사수행 등의 비중이 높았고, 분석 후 행위는 결과분석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검체검사 질 향상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에 맞는 인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검체검사 질 향상을 위해 임상병리사의 채용 역시 중요하며, 그에 따른 인원 규정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터널식 전력구를 위한 순굴진율 모델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쉴드TBM 최적운전 조건 제안 (Development of penetration rate model and optimum operational conditions of shield TBM for electricity transmission tunnels)

  • 김정주;류희환;김경열;홍성연;정주환;배두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623-641
    • /
    • 2020
  • 터널식 전력구는 약 5 km 이내의 연장을 기계식 굴착장비인 밀폐형 쉴드TBM을 이용하여 건설된다. 공기지연 예방 및 적기가압을 위해서는 암반등급별 공사기간의 예측정확도를 향상시켜야하며, 투입된 장비의 성능을 고려한 최적운전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6 m급 쉴드TBM에 적합한 순굴진율 모델을 개발하고자 실대형 굴진시험을 수행하였다. 대표적인 일축압축강도에 대해서 소요추력과 커터헤드 회전속도를 바탕으로 약 100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풍화암, 연암, 경암분류에 따라 일축압축강도와 장비의 소요추력 조건이 고려된 연직력과 압입깊이 및 일축압축강도와 토크와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순굴진율 모델을 바탕으로 구동부 성능분석과 최적운전 조건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터널식 전력구 공사기간 단축 및 조기사용에 대한 사용자 편익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지렁이를 이용한 생 음식물쓰레기 체리 가능성 (Disposal Possibility of Raw Food Wastes Using Earthworm, Eisenia andrei)

  • 나영은;남홍식;한민수;방혜선;소규호;배윤환;안용준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13-16
    • /
    • 2003
  • 다양한 종류의 생 음식물쓰레기를 세척 및 퇴비화 과정없이 배출된 상태로 수거하여 죽처럼 갈아서 지렁이에게 먹이로 주었을 때에 생 유기물을 바로 먹을 수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pH와 EC가 다른 15개 종류의 음식물쓰레기에 대해서 먹이 급이량을 1.5kg/m$^2$와 3.0kg/m$^2$을 주고 지렁이의 하루 처리량을 조사하였다. 15$^{\circ}C$ 항온실에서는 평균 0.87kg/m$^2$/day를 처리하였으며 2$0^{\circ}C$에서는 1.01kg/m$^2$/day로 15$^{\circ}C$ 항온실보다 많은 양을 처리하였다. 또한 pH와 EC가 다른 15개 종류의 음식물쓰레기에 대해서 먹이 급이량을 3kg/m$^2$으로 고정하고 처리속도를 조사하였다. 15$^{\circ}C$ 항온실에서 3kg의 생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데 평균 4.0일이 소요됐고, 2$0^{\circ}C$ 항온실에서는 3.3일이 걸렸다. 결론적으로 pH, EC 그리고 온도에 관계없이 생 음식물쓰레기도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pH은 높을수록, EC는 낮을수록 지렁이가 잘 먹었으며 온도는 2$0^{\circ}C$에서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새로운 형태의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좌굴거동 (Buckling Behavior of Plates Stiffened with the New Type Ribs)

  • 주석범;이필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59-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리브(${\Box}$형)를 갖는 보강판의 좌굴거동에 대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Box}$형 리브의 제원에 따른 좌굴능력의 변화가 일정한 양상을 나타냄에 따라 특정 좌굴하중을 갖는 ${\Box}$형 리브 단면을 구하는 시스템을 제안할 수 있었으며, 이 시스템을 실교량의 강바닥판에 적용하였을 때 기존 폐단면 리브보다 더 경제적인 ${\Box}$형 리브 단면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Box}$형 리브 시스템을 이용하면, 소요 좌굴 능력을 가지면서도 보다 경제적인 강바닥판 설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외부 병원 Data의 효율적 관리에 대한 제언 (The proposal about the effective management of outside data)

  • 이화선;이래곤;강지연;황선광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1-35
    • /
    • 2007
  • 외부 데이터가 진료병원 Server에 저장됨에 있어서 판독을 의뢰하지 않을 경우, 대부분의 병원이 무상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외부 데이터 단순 import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수가 적용 여부를 검토하였다. 2007년 3월부터 4월까지 서울 경기 지역의 PACS가 도입 된지 1년 이상, 병상 수 500Bed 이상의 종합 대학병원 25곳에 근무하는 각 병원의 PACS 운영실 및 PACS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부 데이터에 관한 10가지 항목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각 병원의 PASC 담당자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E-mail을 이용한 자기 기입 방식, 전화를 통한 질의응답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25개의 종합 대학병원의 96%이상이 외부 데이터 단순 import를 지원하고 있었으며, 그 중 92%의 병원은 무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진행 되는 부분에 대하여 각 병원의 PACS 담당자 70% 이상이 단순 import에 대한 수가 적용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현재 많은 병원에서 단순 import의 무상 지원으로 인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K병원을 기준으로 단순 import에 년간 H/W 소요 비용은 336만원이고, 년간 인건비 소요비용은 421만원이다. 또한 단순 import 한 건당 평균 데이터 size는 48MB 정도로 조사되었다. 환자 입장에서 진료에 참고자료로 사용 될 외부 데이터의 정확한 저장과 정당한 PACS 사용을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수가가 적용 되어야 할 것이다. 보험심사평가원 급여기준에 따라 수가적용이 인정되어 의료영상 디지털화로 인한 초기의 고액 투자비용 보장과 회수를 위해 단순 Import의 수가 적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 PDF

화재 시뮬레이션 FDS와 피난시뮬레이션 Pathfinder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through Fire Simulation FDS and Evacuation Simulation Pathfinder)

  • 김종윤;전용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253-2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인 FDS와 피난 시뮬레이션인 Pathfinder를 이용하여 건물의 중앙제어실을 화재발생 지점으로 설정하여 화재안전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시거리 분포, 온도분포, CO의 농도분포 등의 정량적 결과를 도출 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재실자들의 피난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최종적인 피난안전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 가시거리의 분포에 따라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 값을 이용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127.9초에 모든 인원이 대피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치해석 결과 건물 내 모든 장소에서 피난 소요시간이 피난 허용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대피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안전성 평가의 결과는 최악의 조건인 소방설비의 미작동에 근거한 종합안전성평가로서 실제 화재 발생 시 소방설비와 연계한다면 보다 우수한 피난안전성능이 확보될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PDF

통합시험환경 모델 검증 자동화 설계 (Design of Automatic Model Verification for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

  • 양승구;조연제;조경용;류창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61-366
    • /
    • 2019
  • 항공전자시스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개별 구성품의 기능 및 연동 검증을 위한 통합시험환경(SIL;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을 구성한다. 이러한 SIL의 구성품 개별 검증 및 시스템 통합 시 각 탑재장비의 기능 및 연동을 모의하는 SIL 모델을 개발하여 이용한다. SIL 모델은 실 장비와 연동되기 전 연동통제문서(ICD; interface control document)에 정의된 모든 데이터에 대해 선 검증되어야하며 ICD 변경 혹은 기능 변경 발생 시에도 재 검증되어야한다. 하지만 SIL모델의 검증의 수동 수행 시 개별 SIL모델의 검증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시간상의 문제로 ICD 변경이나 일부 기능 변경 시에는 SIL 모델의 영향성을 판단하여 선택적 회귀시험이 이루어지곤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IL 모델의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회귀시험 수행 시 모든 시험항목의 검증이 가능하도록 SIL 모델 검증 자동화 방안을 설계하고 설계에 따른 SIL 모델 검증 자동화도구를 개발하여 SIL 모델 검증자동화 설계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지역경찰관서 면적기준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Spaces in Police Substation for Improving Area Standards)

  • 강경연;한기성;이경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2호
    • /
    • pp.3-11
    • /
    • 2020
  • The police substation includes work spaces for civil services, interviews, and meetings, etc, and private spaces for rest, showers and cafeterias and so on. Since a large number of rooms for each function should be installed in a relatively small building,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area standard for efficient space organiz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usage patterns of each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for improving the area standards for spaces in police subs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existing standards analysis and case study. For this objective, architectural documents of 161 police substations built after 2013 in Korea were comparatively analyzed. Sixteen of these facilities were selected for field survey and investigated how the workspace and private area were organized and used.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re were a number of problematic cases, such as spaces not installed or insufficient, spaces used for two or more functions, spaces installed even though they are not included in the standards. It wa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several important spaces which had been installed in most police substations we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standards. The way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like following four points: (1) Modifying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facility size, (2) Modifying the lists of the required spaces, (3) Specifying the basis of calculation for each space in detail, and (4) Differentiating the way to organize spaces according to the facility size.

정신건강의학과 급성기 병동 공간계획을 위한 국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rd Design Guideline Abroad for Architectural Planning of Acute Psychiatric Ward)

  • 지수인;박경현;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53-62
    • /
    • 2023
  • Purpose: Recently, the number of severely mentally ill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in Korea, but there are no design guidelines for spatial planning of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The study aims to clarify the areas and required rooms in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which are important in establishing the design guidelines for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structural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cute psychiatric ward guidelines in the UK, Australia, and the U.S. and the areas and the required rooms of the wards stipulated in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cute psychiatric ward design guidelines in Korea. The design guidelines for overseas acute psychiatric wards are 'Adult Acute Mental Health' in the UK, 'Adult Acute Mental Health Inpatient Unit' in the Australia, and 'Specific Requirements for Mental Health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esign guidelines for overseas acute psychiatric wards, the areas of wards applicable to acute wards in domestic psychiatric wards were access, patient, treatment, support, and employee areas. In addition, the required rooms for each area were defined around major considerations such as visibility, convenience, comfort, security, safety, patient observation, barrier-free design, and privacy protection.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presented as a structural framework an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esign guidelines for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which is still absent.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급성기 병동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for the Establishment of Design Guideline for the Acute Psychiatric Ward in General Hospitals)

  • 지수인;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39-48
    • /
    • 2023
  • Purpose: In Korea, the increase rate of the number of mentally ill patients increases, and the hospitalization period for severely mentally ill patients to stay in acute wards is long and the re-hospitalization rate is high. In order to improve the dignity of patients with acute mental illness and to plan a therapeutic environment for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basic framework of spacial planning for establishing guidelines for psychiatric acute ward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By analyzing the acute psychiatric ward guidelines of the UK, Australia, and the US., this study analyzed the areas and required rooms of psychiatric acute ward in general hospitals, as well as the net floor area of each room,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om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sic framework for the ward areas and the required rooms, the net floor areas of the room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oms were presented for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the psychiatric acute ward in general hospitals. Im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framework of space planning for establishing of guidelines for the psychiatric acute ward in general hospitals and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guidelines based on the space configuration through surveys and analysis of space use status, operation status, and expert interview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