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아 CT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7초

병원규모별 소아 두부 CT 검사 선량지표 분석 평가 (Analysis and Evaluation of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 (CTDI) of Pediatric Brain by Hospital Size)

  • 김현진;이효영;임인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503-510
    • /
    • 2016
  • 소아는 방사선 감수성이 어른에 비해 높고 몸의 크기가 작아 어른과 같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 되더라도 유효선량은 어른에 비해 더 높기 때문에 불필요한 피폭 방사선량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아 두부 CT 검사에 있어서 피폭 방사선량을 경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부산지역 병원들에서 시행된 년 간 소아 두부 CT 검사에 대한 CT 선량지표(CTDI)를 국내 진단참고준위와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제안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내에 설치된 CT 장비 중 소아 두부 CT 검사를 시행하며, 선량보고서를 PACS로 전송하는 24개 병원 28대 CT 장비를 대상으로 하여 소아 두부 CT 검사를 의뢰받은 10세 미만의 소아 2,043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전체병원의 소아 두부 CT의 선량지표 CTDIvol의 평균값은 31.18 mGy, DLP는 $444.73mGy{\cdot}cm$로 나타나 진단참고준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방사선에 대한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연구결과 6-10세 이하의 연령에 비해 더 낮은 다른 두 연령별에서 진단참고준위를 초과하는 환자수와 초과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을 줄이고 선량관리를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진단참고준위를 벗어나는 선량의 정도를 파악하고 초과되는 선량지표의 원인을 분석하여 선량감소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팬텀을 이용한 소아 PET/CT 검사 시 감쇄보정 CT 선량과 영상 평가 (Evaluation of Dosimetry and Image of Very Low Dose CT Attenuation Correction for Pediatric PET/CT: Phantom Study)

  • 반영각;김정열;박훈희;강천구;임한상;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5권2호
    • /
    • pp.53-59
    • /
    • 2011
  • 최근 PET/CT 검사는 성인 암환자뿐만 아니라 소아 암환자에게도 많이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하여 방사성 감수성이 높아 피폭선량의 관리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저자는 팬텀을 이용하여 소아 PET/CT 검사 시 감쇄보정 CT 선량과 영상을 평가하였다. 3대의 PET/CT 장비 (Discovery STe, BiographTruepoint 40, Discovery 600)로 소아 사이즈의 아크릴 팬텀과 이온 챔버 선량계 (Unfous Xi CT, Sweden)를 이용하여 CT 영상획득 조건 (10, 20, 40, 80, 100, 160 mA; 80, 100, 120, 140 kVp)을 변화시켜 심부선량과 $CTDI_{vol}$ 값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NEMA PET Phantom$^{TM}$을 이용하여 같은 CT 조건으로 PET 영상을 획득하여 감쇄보정 된 각 PET 영상을 SUV 값과 신호 대 잡음 비로 평가하였다. 심부선량은 일반적으로 소아복부 CT 조건 (100 kVp, 100 mA) 보다 최소 CT 조건 (80 kVp, 10 mA)에서의 심부선량은 약 92% 감소 되었고, $CTDI_{vol}$ 값은 약 88% 감소되었다. 각 CT 조건에 따라 감쇄 보정된 PET 영상은 SUV 값에 변화가 없었고, 신호 대 잡음 비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팬텀을 이용한 소아 PET/CT 실험시 최저 선량 CT 조건 (80 kVp, 10 mA) 을 적용하여 감쇄보정을 진행한 PET 영상에는 영향 없었다. 소아 환자의 PET/CT 검사 시 CT 의 진단이 필요 없는 PET 영상만을 획득하고자 한다면, 소아 환자의 신체에 적절히 적용한 최저선량 CT 을 감쇄보정을 하여, 유효 선량을 성인에 비하여 약 90% 이상 감소시켜 피폭 선량 저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에서 Volume Mode의 유용성 연구 (The Study of Effectiveness of Volume Mode in Pediatric CT)

  • 박연;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25-431
    • /
    • 2014
  • 본 연구는 ATOM Phantom을 이용하여 선량, 화질을 비교 분석 하여 Volume mode의 유용성 밝혀 소아 CT 검사에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Helical mode Noise와 Volume mode의 Noise, HU, SNR은 p>0.05 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이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부위별 선량값은 모두 p>0.05 이므로 통계적 유이한 차이가 없었으나 DLP값이 Helical mode보다 Volume mode가 더 낮게 측정되었다. 유효선량 역시 Volume mode가 Helical mode 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Mode에 따른 조건 별로 각각 Helical: 2.6, 3.3, 4.36 Volume: 2.8, 3.64, 4.44, Mode별 Follow up 영상평가 결과로는 Helical mode가 3.8 Volume mode가 3.83점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세 이하의 소아 CT검사에 있어서 640-MDCT Volume scan이 Helical mode와 비교해 낮은 선량으로 영상의 질이 큰 차이가 없기에 소아 CT 검사에는 유용 하다고 생각된다.

소아 두부 전산화단층촬영 선량지표 분석을 통한 피폭선량 모니터링: 일개병원 사례 중심으로 (Analyzed the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 (CTDI) to the Pediatric Brain CT by Reason of the Observation for the Exposure Dose: Base on a Hospital)

  • 이재승;김현진;임인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290-296
    • /
    • 2015
  • 본 연구는 일개병원에서 시행된 년간 소아 두부 CT 검사에 대한 CT 선량지표(CTDI)를 국내 진단참고 준위와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제안점을 도출하고 피폭 방사선량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1월부터 12월까지 두부 손상으로 소아 두부 CT 검사를 의뢰 받은 10세 미만의 소아 23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선량 보고서와 의료전자차트를 참조하여 일반적 특성, 관전압(kVp), 관전류(mA), 검사 범위, $CTDI_{vol}$, DLP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CTDI_{vol}$은 전체 연구대상자의 7.4%(17명)가 국내 진단참고준위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DLP의 경우 41.6%(96명)가 초과 되어 $CTDI_{vol}$ 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DLP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한 CT 선량 지표보다 대부분 약 60% 이상 초과되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시한 기준 검사 범위보다 약 30%이상 증가된 검사 범위가 DLP가 높게 나타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임상에서 CT 검사 시 건강보험심사 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소아 두부 CT 검사의 기준 검사 범위를 준수하여 검사하고 프로토콜을 적절히 조절한다면 피폭선량을 상당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아치과 영역에서 전산화 단층촬영술의 임상적 활용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STUDY ON CLINICAL APPLICATION OF COMPUTED TOMOGRAPHY IN PEDIATRIC DENTISTRY)

  • 이윤석;장기택;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93-498
    • /
    • 1998
  • 1. CT에 의한 매복치의 위치결정은 적절한 치료계획의 수립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시간의 단축과 인접치, 인접구조물의 손상을 줄여 시술후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었다. 2. 매복된 영구치의 견인시 CR를 활용한 결과 개창부위의 정확한 위치결정과 예후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3. 평면방사선사진의 판독후 악골내 병소가 의심되어 CT를 활용한 결과 병소의 확진이 가능하였다. 4. 소아의 CT촬영은 평면 방사선 촬영에 비해 증가된 방사선 피폭량, 높은 수가 때문에 적절한 증례의 선택이 중요하다.

  • PDF

비만을 동반한 소아 지방간 환아에서 체질량 지수, 체지방 분포, 간 효소치 및 복부 CT 소견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Correlation of Body Mass Index, Body Fat Distribution, Aminotranferases and Computed Tomography in Obese Children with Fatty Liver)

  • 박소은;양혜란;장주영;고재성;서정기;이활;김우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3호
    • /
    • pp.276-283
    • /
    • 2005
  • 목 적 : 내장 지방은 비만 합병증의 위험 인자이며 성인에서 지방간은 내장 지방과 관련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소아 비만의 진단기준인 BMI가 내장 지방 정도를 반영하는지를 살펴보고 소아 지방간 환아에서 BMI, 체지방 분포, 간 효소치와 복부 CT상 지방간 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BMI를 기준으로 비만위험 또는 비만에 동반된 간 효소치 이상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비조영증강 복부 CT 검사로 지방간을 진단받은 소아 23례(남아 19명, 여아 4명)를 대상으로 하여 CT로 복부 지방 면적을 측정하였다. BMI와 내장 지방과의 상관관계, 복부 CT상 지방간의 정도와 BMI, VAT, VSR, 간 효소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BMI는 TAF(r=0.91476, P<0.0001), VAT(r=0.51719, P=0.0115), SAAT(r=0.88302, P<0.0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CTL/CTS비와 BMI(r=-0.11938, P=0.5876), TAF(r=-0.14936, P=0.4964), VAT(r=-0.31234, P=0.1468), SAAT(r=-0.08154, P=0.7115), VSR(r=-0.19202, P=0.3801), AST(r=0.12729, P=0.5628), ALT(r=-0.00179, P=0.9935) 및 AST/ALT비(r=0.20762, P=0.3418)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소아 비만에서 BMI는 내장 지방 정도를 반영하나 복부 CT상 지방간의 정도와 간 효소치, BMI, 내장 지방량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소아 복부 CT 검사에서 체중에 기반한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 적용에 따른 조영증강의 최적화 (Contrast Optimization using of Weight-based Injection Protocol in Pediatric Abdomen CT Examination)

  • 김영균;한동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75-584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복부 CT 검사를 시행하는 소아환자에게 체중 기반 조영제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고정 투여법보다 조영제를 감소시키면서 최적의 문맥기 화질을 달성하는 것이다. Discovery 750HD(General Electric medical systems, Milwaukee, USA)를 이용하였으며, 만 18세 미만의 소아 남자 85명과 여자 82명, 총 167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300 mgI/ml(Xenetix, Guerbet, France)의조영제를 몸무게 2배로 고정 주입한 그룹과 체중기반 프로토콜을 적용하면서 주입량을 10%씩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그룹을 구분하였으며, 스캔 지연 시간을 추가로 변화시키면서 복부 장기의 CT 감쇄계수와 SNR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조영 증강의 정도와 심장 주변의 빔 경화 인공물을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체중기반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20%의 조영제를 감소한 그룹이 몸무게 2배로 고정 주입한 그룹과 조영 증강이 가장 유사하였으며, 그리고 20%의 지연시간을 가진 그룹이 가장 조영 증강 효과가 높았다. 조영제 주입 후 적절한 지연시간은 실질 장기의 조영 효과를 상승시켰으며, 생리식염수를 적용한 주입 프로토콜은 심장 주변의 인공물이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소아 복부 CT 검사 시, 체중 기반 프로토콜의 적용과 적절한 지연시간의 조절은 불필요한 조영제 사용을 억제하고 최적의 문맥기 영상의 특성화를 가능하게 한다.

소아 CT 선량과 영상품질 최적화

  • 최윤석;박양균;박종민;김정인;김희정;최창헌;예성준
    • 대한방사선방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발표
    • /
    • pp.46-47
    • /
    • 2009
  • PDF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의 국내 동향: 전국적 코호트 연구 (National Trends in Pediatric CT Scans in South Korea: A Nationwide Cohort Study)

  • 김낙철;권순선;박문석;이경민;성기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38-148
    • /
    • 2022
  • 목적 본 연구는 전국 인구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국내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의 비율과 연간 추세를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에서 촬영된 소아 전산화단층촬영에 대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령, 성별, 진단명 및 해부학적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같이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8세 미만 어린이 58527528명을 대상으로 총 576376건의 전산화단층촬영이 시행되었다(1000명당 9.8회). 어린이 1000명당 전산화단층촬영 횟수는 9.0회에서 11.0회로 23.2% 증가했다. 전산화단층촬영 건수는 6-12세 그룹에서 32.9%(1000명당 7.4회에서 9.8회로 증가), 13-18세 그룹에서 34.0% 증가했다(1000명당 11.4회에서 15.3회로 증가). 부위별 전산화단층촬영의 비율은 두부(39.1%), 사지(32.5%), 복부(13.7%) 순서로 확인되었다. 사지 전산화단층촬영 횟수는 83.6% 증가했으며(1000명당 2.3회에서 4.2회로 증가) 사지 전산화단층촬영의 비율은 25.3%에서 37.7%로 증가했다. 결론 소아 환자의 전산화단층촬영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4.4%의 속도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따라서 의사는 소아 환자에서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인한 이득과 방사선 노출로 인한 잠재적인 피해를 적절히 고려하여 신중하게 촬영을 결정해야 한다.

Molar-incisor malformation에 이환된 제2유구치의 미세 형태학적 분석 : 증례 보고 (Micromorphological Analysis of Primary Second Molar with Molar-incisor Malformation : A Case Report)

  • 김명환;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52-358
    • /
    • 2021
  • Molar-incisor malformation (MIM)은 치관은 정상이나 치근의 비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제1대구치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제2유구치나 상악 중절치도 때때로 이환된다. 이 증례 보고에서는 제1대구치를 포함해, 제2유구치에 MIM이 나타난 환자의 증례를 보고하고, 치근이 건전하게 발거된 제2유구치의 micro computed tomography (CT)를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발거된 치아에서는 MIM의 외형적 특징인 치관 - 치근 이행부의 cervical constriction을 육안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micro CT 분석에서 백악법랑경계부의 광화된 부위 (Cervical Minelarized Diaphragm), 많은 부근관과 막힌 근관 등의 복잡한 근관 형태, 근관 내 석회화 물질, 영구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착된 치관부 치수강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