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소실점 추정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Efficient Vanishing Point Detection Method using an Hough Transform (허프변환을 이용한 효율적인 소실점 검출방법에 대한 연구)

  • Jung, Su-Min;Kim, Jae-Seoung;Whang-Bo, Taek-Guae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367-370
    • /
    • 2013
  • 단일 영상에서 3차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서로는 소실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실점을 추정하기 위해서 허프변환을 사용하여, 단일 영상의 소실점 탐색 시 유효 직선간의 기울기 값 비교 및 근접도를 구하여 교점 생성에 필요 없는 정보를 제거함으로서 소실점 추정 정확도를 높인 보다 정확한 소실점 탐색 기법을 제안하였다.

Distance Estimation Between Vanishing Point and Moving Object (소실점과 움직임 객체간의 거리 추정)

  • Kim, Dong-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5
    • /
    • pp.637-642
    • /
    • 2011
  • In this paper, a new technique to estimate the distances between a vanishing point and moving objects is proposed. A vanishing point for an input image is estimated and it use to extract distance form the vanishing point to a moving object. Using the obtained distances, moving objects is extracted. In simulation results, several performances for a test image sequnce is shown.

Vanishing Point Detection Method suited to Geometry-based Depth Estimation (기하구조 기반 깊이 추정에 적합한 소실점 검출 기법)

  • Kim, Jun-Ho;Kang, Hyun-Soo;Kim, Jin-Soo;Choi, Hae-Chul;Lee,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121-12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2D-to-3D 변환을 위한 기하구조 기반 깊이 추정에 적합한 소실점 검출 기법을 제안한다. 3D 공간에서 평행한 직선들은 2D 공간으로의 투시영상에서 시점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이 좁아지고, 결국에는 한 점으로 수렴하게 된다. 수렴된 점을 소실점(vanishing point)이라 하고, 소실점을 거쳐 지나는 직선들을 소실선(vanishing lines)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소실선과 소실점을 추정한 2D 영상에서 소실점이 관찰자 시점으로부터 제일 먼 지점이라는 인식을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전경영역과 배경영역 간의 경계에서는 수직성분을 가진 선들이 생성되어 올바른 소실점을 검출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수직성분을 가진 선들을 제거하여 소실점을 탐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Relative Depth-Map Generation from Monocular Image using a Valid Vanishing Point (유효한 소실점을 이용한 단안영상의 상대적 깊이지도 생성)

  • Han, Jong-Won;Jo, Jin-Su;Lee, Yill-B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539-543
    • /
    • 2006
  • 사람은 실내나 인공구조물을 가진 실외 환경에서 깊이를 지각하는데 소실점이라는 강력한 깊이 지각 단서를 활용한다. 소실점은 관찰자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지점에 대응된다. 인간은 단안영상이 가지는 기하학적 성분을 이용해서 소실점을 추정하고, 소실점의 위치와 관찰자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대적 깊이지각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소실점을 가진 2차원 단안영상에서 유효한 소실점을 추정하고, 입력영상에 대한 소실점의 위치 관계를 이용한 상대적 깊이지도의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 PDF

Intrinsic Camera Calibration Based on Radical Center Estimation (근심 추정 기반의 내부 카메라 파라미터 보정)

  • 이동훈;김복동;정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42-7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직교하는 소실점(Orthogonal Vanishing Points)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내부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 보정(camera calibration)은 2차원 영상으로부터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기존의 소실점을 이용한 대부분의 방법들은 세 개의 직교하는 소실점을 사용하여 파라미터론 추정하지만, 실제 영상에서는 세 개의 직교 소실점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직교 소실점을 사용하여 카메라 U부 보정을 위한 기하적이고 직관적인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주점(principal point)과 초점거리(focal length)는 Thales의 이론을 기초한 기하학적 제약사항으로부터 다중 반구(multiple hemispheres)들의 관계로부터 유도된다.

  • PDF

Robust Vanishing Points Detection from Multiple Images (다중 영상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소실점 추출)

  • 차영미;이동훈;김복동;정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45-747
    • /
    • 2004
  • 소실점은 실 공간의 평행한 직선들이 영상에서 만나는 점으로서 카메라 파라미터 추정. 영상을 사용한 3차원 구조복원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영상 상에 존재하는 3차원 기하에 대한 암묵적인 특징 정보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소실점을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단위구 상에서 셀 기반의 소실 공간을 EM 알고리즘의 초기 소실점으로 사용함한 신뢰성 있는 소실점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단일 영상에서 제거되지 않는 이상치에 대해 다중 영상에서 H응 직선이 가자는 사영불변치인 planar collineation과 harmonic range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소실점을 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다양한 영상을 통해 실험한 결과 안정적이고 신뢰할만한 소실점 검출이 가능하였다.

  • PDF

Stereoscopic Conversion of Monoscopic Video using Edge Direction Histogram (에지 방향성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2차원 동영상의 3차원 입체변환기법)

  • Kim, Jee-Hong;Yoo, Ji-S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8C
    • /
    • pp.782-789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creating stereoscopic video from a monoscopic video. Parallel straight lines in a 3D space get narrower as they are farther from the perspective images on a 2D plane and finally meet at one point that is called a vanishing point. A viewer uses depth perception clues called a vanishing point which is the farthest from a viewer's viewpoint in order to perceive depth information from objects and surroundings thereof to the viewer. The viewer estimates the vanishing point with geometrical features in monoscopic images, and can perceive the depth informa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vanishing point and the viewer's viewpoi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stimate a vanishing point with edge direction histogram in a general monoscopic image and to create a depth map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vanishing point. With the conversion method propose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een that stable stereoscopic conversion of a given monoscopic video is achieved.

Steering Control of an Autonomous Vehicle Using CNN (CNN을 이용한 자율주행차 조향 제어)

  • Hwang, Kwang-Bok;Park, Jin-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7
    • /
    • pp.834-841
    • /
    • 2020
  • Among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s based on visual sensors, the control method using a vanishing point is the most general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However, if the lane is lost or does not exist, it is very difficult to detect this and estimate the vanishing point. In this paper, we predict the vanishing point of the road and the vanishing point lin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using CNN for the camera image and design the steering controller for autonomous driving from the predi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well tracked the center of the roa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olid lane, and was superior to the control method using a general method using the vanishing point.

Radial Distortion Correction for Black box Camera Using Average Image (평균영상을 이용한 블랙박스 카메라의 기하왜곡 보정 기법)

  • Cheong, Jun Young;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132-13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블랙박스 카메라에 적합한 기하왜곡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정교한 카메라 보정 기법 없이 카메라 중심점을 지나는 직선주행 평균 영상에 나타나는 소실점과 카메라 중심점의 기하학적 관계와 기하왜곡에 의해 왜곡된 소실선을 특징으로 한 향상된 Hough 기법을 이용하여 기하왜곡된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에 대한 단일 기하왜곡 매개변수 모델을 추정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각각의 기하왜곡 매개변수 후보들에 의해 보정된 영상의 소실선들에 대한 에지픽셀들의 향상된 Hough 기법의 투표과정을 통한 최적의 후보선출 과정, 선출된 기하왜곡 매개변수를 초기변수로 최다 투표된 소실선들에 대한 에너지함수 최적화 과정, 최적의 기하왜곡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왜곡된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보정 과정으로 이뤄진다.

  • PDF

A Vanishing Point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Empirical Weighting of the Lines of Artificial Structures (인공 구조물 내 직선을 찾기 위한 경험적 가중치를 이용한 소실점 검출 기법)

  • Kim, Hang-Tae;Song, Wonseok;Choi, Hyuk;Kim, Taejeong
    • Journal of KIISE
    • /
    • v.42 no.5
    • /
    • pp.642-651
    • /
    • 2015
  • A vanishing point is a point where parallel lines converge, and they become evident when a camera's lenses are used to project 3D space onto a 2D image plane. Vanishing point detection is the use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an image to detect the vanishing point, and can be utilized to infer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certain points in the image or for understanding the geometry of a 3D scene. Since parallel lines generally exist for the artificial structures within images, line-detection-based vanishing point-detection techniques aim to find the point where the parallel lines of artificial structures converge. To detect parallel lines in an image, we detect edge pixels through edge detection and then find the lines by using the Hough transform. However, the various textures and noise in an image can hamper the line-detection process so that not all of the lines converging toward the vanishing point are obvious. To overcome this difficulty, it is necessary to assign a different weight to each lin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ossibility that the line passes through the vanishing point. While previous research studies assigned equal weight or adopted a simple weighting calculation,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a new method of assigning weights to lines after noticing that the lines that pass through vanishing points typically belong to artificial struc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reduces the vanishing point-estimation error rate by 65% when compared to existing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