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실양상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1초

시설재배에서의 박과 과채류 중 살포농약의 잔류특성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residue in/on cucurbitaceous fruit vegetables applied with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 이희동;임양빈;권혜영;김진배;경기성;박승순;오병렬;임건재;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9-364
    • /
    • 2005
  • 박과채소류 중 살포농약의 과실 중 잔류소실 양상을 규명하여 잔류성 평가 시 작물계통 및 재배양식별로 group화 함으로서 잔류성적을 상호적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작물의 종류별로 농약살포직후에 과실에 부착되는 양은 차이가 있으나, 농약살포 후 경과일수별 잔류농약의 분해.소실양상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박과채소류 중 작물생육특성이 유사한 품종(계통)간에는 농약의 작물잔류시험성적을 상호적용 하여 잔류허용기준 설정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시설재배에서의 상추품종별 살포농약의 소실양상 (Dissipation pattern of pesticide residues in/on different varieties of lettuce applied with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condition)

  • 이희동;임양빈;권혜영;김진배;경기성;김찬섭;오병렬;임건재;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4-358
    • /
    • 2005
  • 본 연구는 시설재배에서 상추품종별 살포농약의 잔류양상을 구명하기위하여 실시하였다. 농약살포직 후의 alpha-cypermethrin과 imidacloprid의 상추 중 잔류량은 품종의 외관에 따라 크게 상이하였다. 살포 후 경과일수별 상추 중 잔류농약의 감소는 작물의 증체에 의한 희석효과보다는 햇빛에 의한 분해 및 관수에 의한 세척효과가 더 큰 것으로 보였다. 엽채소류인 상추는 작물을 group화 함에 있어 품종간의 차이로 고려해야 함이 인정되었다.

재근관치료를 통한 치근단 병소의 치유

  • 전정훈;황호길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0-341
    • /
    • 2002
  • 근관치료 후 성패는 근관치료 직후의 방사선 사진에서 보이는 근관충전의 양상으로 판단 될 수 없다. 근관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근관치료 직후의 방사선 소견과 주기적인 환자의 관찰을 통한 방사선 소견을 비교 평가하여 치근단 병소의 소실과 더불어 불편한 임상증상이 소실되었을 때 비로소 근관치료의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오리나무 잎벌레(Agelastica coerulea B.) 방제용 살충제 Trichlorfon(Dipterex)의 환경 동태 (Environmental Fate of Trichlorfon Used to Control Agelastica coerulea B. in Forest by Aerial Application)

  • 이성규;김용화;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9-129
    • /
    • 1986
  • 오리나무잎벌레 방제용으로 항공 살포한 trichlorfon($Dipterex^R$ 혹은 $Dylox^R$)의 환경생태계내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슬라이드그라스에서 검출한 trichlorfon으로서 항공 살포시에 농약이 적량으로 살포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살포한 당일에 거의 소실됨을 확인하였다. 음지에 낙하되는 약량은 노지에 비하여 약 1/100에 불과하였다. 2. 수중에서 검출된 trichlorfon은 항공살포에 의한 내수면의 오염이 동물성 플랑크톤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도임을 확인하였고, 강우에 의한 내수면의 재 오염이 가능함을 관찰하였다. 3. 토양에 잔류한 trichlorfon의 변화양상을 보면 위치에 따라 소실속도의 완급이 다름을 알 수 있었고 슬라이드그라스와는 달리 소실속도가 늦음을 확인하였다. 4. 식물체 엽면에 살포된 농약의 양은 예상 투하량 보다 비교적 적었고 소실 속도는 토양에서와 유사한 양상이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잔류량의 변화만으로서는 그 소실 형태가 물리적인 확산, 이동에 의해서인지 화학적인광분해, 가수분해 등에 의해서인지는 확실치 않았으므로 차후에 보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과 아울러 문제시 되는 수중농도의 생물학적인 영향 연구도 병행되어 야 할 것이다.

  • PDF

신생아 집중치료실 퇴원아의 청성뇌간반응(ABR) 결과에 미치는 위험인자 및 경과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results in NICU graduates)

  • 최희정;이태호;오기원;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2호
    • /
    • pp.1301-1307
    • /
    • 2006
  • 목 적 : 신생아기의 청력 소실은 그 빈도가 높으며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가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들은 일반 신생아에 비해 청력 소실의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를 대상으로 청력 소실의 발생 빈도와 위험 인자 및 청력 소실의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3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ABR 검사를 시행하여 이들의 청력 소실 정도와 이와 관련된 임상 소견을 조사하고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 동안 ABR 검사를 받은 환아는 474명으로 총 입원아의 54.0%였고, 검사를 받은 신생아의 13.5%인 64명이 ABR 검사에 이상 소견을 보였다. 이들 64명의 귀 128례의 청력 소실의 양상은 편측 정상이 37례(28.9%)이고 경증, 중등도, 중증 및 초중증 청력 소실이 각각 43례(33.6%), 36례(28.1%), 2례(1.6%) 및 10례(7.8%)로 중증 이상의 청력 소실 빈도는 9.5%였다. 미숙아, 저출생 체중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 신생아 가사, 두부 안면 기형 및 amikacin의 15일 이상 사용이 ABR 비정상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고빌리루빈혈증 환아에서 최고 빌리루빈 수치, 광선치료의 기간과 교환수혈의 시행 여부 모두 ABR 정상군과 비정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R 비정상군 중 15명에서 생후 $8.8{\pm}4.4$개월에 시행한 추적 ABR 검사는 80.0%에서 호전 혹은 정상화되었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는 청력 소실의 위험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청력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

간접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 원심이동 장치 종류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평가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ooth movement using different type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 김수진;전윤식;정상혁;박선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76-38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ulum 장치,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pendulum장치(펜듈럼), 오픈코일 스프링 및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오픈코일 스프링 이용 시 각각의 치아이동 양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상악 좌측 치조골 및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Calorific $machine^{(R)}$을 이용하여 모형상에서 대구치를 3 mm 원심 이동시켰다. 실험은 5회씩 반복 실시하였다. 모델을 전산화 단층 촬영한 후 V-$Works^{TM}$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Rapidform^{TM}$상에서 3차원적으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였고, 각각의 장치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간접 골성 고정원으로 이용하여 오픈코일 스프링으로 구치부를 원심으로 이동시켰을 때가 치체이동에 가장 가까운 이동양상을 보였고, 고정원 소실도 적게 나타났다 (p < 0.05). 오픈코일 스프링, 펜듈럼 장치 모두 미니임플란트를 부가적으로 이용했을 때 고정원 소실량이 적었다 (p < 0.05).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두 장치의 고정원 소실량이 비슷하였다. 미니임플란트의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펜듈럼 장치로 상악 구치 원심 이동 시 오픈코일 스프링에 비해 제1대구치가 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으로 이동되었고 (p < 0.05), 제2대구치는 비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치관의 협측경사이동이 일어났다 (p < 0.05).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간접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오픈코일 스프링이 상악 구치의 원심 치체이동에 가장 효과적인 장치였으며, 펜듈럼 장치를 이용한 구치부 원심이동 시에는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탈지 및 지방산 첨가가 쌀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fatting and Reincorporation with Fatty Acid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Starch)

  • 최형택;이신영;양융;오두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34-839
    • /
    • 1988
  • 쌀전분에 미치는 쌀지질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극성용매인 85% 메탄올로 탈지처리한 전분 시료 및 탈지 후 1% palmitic acid를 첨가한 시료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질을 생전분과 비교 검토하였다. 탈지에 의해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광투과도, 팽화력 및 용해도는 생전분과 지방산 첨가전분은 2단거동을 나타내었으나 탈지에 의해 소실되었다. X-선 회절양상은 전형적인 A형을 나타내었으나, 탈지처리에 의해 상대결정도는 감소하였으며, 지방산 첨가로 상대결정도는 증가하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호화양상은 탈지에 의해 최고점도와 break down이 소실되었으며 set back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방산 첨가로 다시 생전분과 비슷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연부조직육종 환자에서 $O^6$-MGMT 와 촉진자 과메틸화의 예후적 중요성 (Prognostic Significance of $O^6$-MGMT and Promotor Hypermethylation in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s)

  • 서정탁;김정일;오종석;최경운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25
    • /
    • 2009
  • 서론: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는 DNA 염기 손상에 의해 형성된 $O^6$-methylguanine에서 알킬기를 제거하여 DNA 염기 손상을 복구하는 역할을 한다. MGMT의 후생유전적 불활성화가 인체 종양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항암 치료에 대한 저항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부조직육종에서 이러한 MGMT 불활성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총 62예의 연부조직육종조직에서 메틸화 특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MGMT 유전자의 촉진자 부위 메틸화 정도를 알아보고,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MGMT 단백 발현의 소실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MGMT 단백 발현 소실은 진행성 병기(p=0.000), 조직학적 고등급(p=0.005), 종양의 재발 또는 전이(p=0.011), 그리고, 낮은 생존률(p=0.017)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메틸화는 조직학적 고등급, 종양의 재발 또는 전이, 그리고, 낮은 생존률과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MGMT 단백 발현의 소실은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00). 결론: 본 연구는 MGMT 단백 발현의 소실과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가 연부조직 육종에서 흔히 발생하며 종양의 공격적인 양상 및 나쁜 예후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MGMT 단백 발현의 소실은 대개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자연소실의 경과를 보안 기포성 폐질환 1예 (A case of bullous lung disease disappeared spontaneously)

  • 김정주;용석중;강신구;송광선;신계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455-460
    • /
    • 1996
  • 폐기포는 폐 내부에 공기를 포함하는 공간으로 보통 1cm 이상의 크기와 2mm이하의 모발선 모양의 기포벽을 갖는다. 자연경과상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자연소실 또는 호전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임신중 발생한 속립성 결핵 환자에서 성인형 호흡곤란 증후군의 경과 후 발생한 다발성 폐기포가 자연소실된 1예를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