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속감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 스포츠팀에 대한 일체감이 대학 후원의도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Identification with University Sport Teams and Intentions to Support University)

  • 장경로;임기태;김세웅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6권1호
    • /
    • pp.43-5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대학이 소비자 집단에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대학의 스포츠 팀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대학 스포츠 팀을 통한 대학의 정체성 확립의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대학 재학생들을 상대로 소속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소속 대학의 명성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소속 대학 스포츠 팀에 대한 일체감 그리고 졸업 후 모교에 대한 후원의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소속대학의 명성에 대한 인식이 스포츠 팀에 대한 일체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에 대한 소속감은 스포츠 팀에 대한 일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졸업 후 모교에 대한 후원의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소속 대학에 대한 소속감, 소속 대학의 명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소속 대학 스포츠 팀에 대한 일체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교차문화 청소년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ultural Homeles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ng Cross-Cultural Individuals: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 남지은;남지혜;김동일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571-5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이 겪는 어려움들을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라는 이론적 틀 안에서 살펴보았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151명의 교차문화 청소년들의 데이터를 통해 이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탐색하였고, 그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는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6차원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한 청소년일수록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과 상관없이 만족스러운 관계를 적게 맺고 있고, 일상생활에서 통제감이 적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 명확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6차원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개인적 성장 영역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수준이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 정도가 낮은 개인들은 긍정적인 대인관계 수준이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에 따라 달라졌다. 즉,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는 개인들 중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이 이 높은 이들은 타인과 보다 긍정적인 관계를 보고하였다. 흥미롭게도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 정도가 높은 청소년들은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과 상관없이 개인적 성장에 대한 큰 열망을 보고하였다. 즉, 이들은 겉으로는 진취적이게 보여도 내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정서들을 경험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이 결과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문제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문제를 동시에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로 힘들어하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을 위해 정서경험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상담적 개입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성별에 따른 SNS사용유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집단소속감, 지각된 사회지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Depression by Gender: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Ident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egative Comparison)

  • 이승욱;최윤영;이현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05-215
    • /
    • 2019
  • 본 연구는 Social Networking Sites(SNS)의 사용유형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지지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83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랩 분석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남녀 모두 SNS를 통해 집단소속감을 느끼며 높은 집단소속감은 높은 사회지지와 낮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고, 높은 부정적 사회비교는 높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 집단소속감과 부정적 사회비교 간의 유의미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성의 경우 집단소속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사회비교 역시 높았고 이는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SNS의 사용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집단소속감을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성별에 따른 집단 내에서의 소속감은 부정적 사회비교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었고 이에 따라 우울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소속감, 그리고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through Employees' Self-Efficacy and Belonging)

  • 서정규;권혁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03-117
    • /
    • 2020
  • 리더와 구성원 간 권한위임 등을 통해 구성원의 과업역량에 대한 자신감과 애착심을 고취시키는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업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소속감을 통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부산, 울산, 경남 지역 건설기업 직원 2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가설검증한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의 정보공유, 참여적 의사결정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솔선수범과 코칭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의 정보공유, 솔선수범, 코칭, 참여적 의사결정 요인 순으로 소속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소속감은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자원봉사 활동과 지역사회 역량에 관한 지역사회 소속감 매개효과 연구: 보건복지부 노인전문자원봉사 지원사업 참여노인들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 and Community Capacity among Older Adults: Focused on the Older Participants of the Government-Sponsored Elderly Volunteer Program for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Suicide)

  • 이금룡;김진원
    • 한국노년학
    • /
    • 제39권1호
    • /
    • pp.73-9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지역사회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에서 2016년 보건복지부의 노인자원봉사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는 우울·자살예방 노인전문자원봉사 지원 사업에 참가한 2,544명 중 사전·사후에 모두 응답한 1,416명이 분석 대상이다. 연구방법은 빈도 분석, 기술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변수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Sobel test를 통해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자원봉사활동 기간 동안 노인들의 지역사회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 자원봉사활동 관련 변인과 지역사회 역량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사업 이전의 봉사활동 기간에서 완전 매개, 본 사업에 대한 봉사활동 전반적 만족도에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소속감이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역량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지역사회를 통하여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미용전공자의 전공선택동기와 소속감에 따른 학업지속의도 : 일반대학과 원격대학 비교 (Influence of Beauty Major Student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Sense of Belonging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Cyber Universities)

  • 김현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74-384
    • /
    • 2023
  • 20대를 대상으로 하였던 대학이 최근에는 운영방식, 설립목적, 교육대상이 다양화되었다. 대학의 수에 비해 급격한 학령인구의 감소로 대학(과)은 신입생의 확보와 재학생의 중도탈락 최소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2년제와 4년제 일반대학과 원격대학의 미용관련 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소속감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일반대학 119명, 원격대학 113명에게 수집된 자료를 SPSS.28를 이용해 분석한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대학은 전공선택동기는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소속감은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미쳤다. 또한, 소속감이 높아지면 외적동기는 학업지속의도를 유의미하게 상승시키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원격대학은 전공선택동기 중 내적동기와 소속감이 학업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소속감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재학생의 학업지속의도에 있어 일반대학은 대학(과)의 소속감이 주요했으며 원격대학은 내적동기가 주요했다. 이러한 결과는 재학생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대학(과)의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 노출 유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소속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the Effect of Exposure Type of Short-form Branded Content on Consumer Respons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ense of Belonging)

  • 김규리;최정혜;박경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642-657
    • /
    • 2022
  •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은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중심으로 각광 받고 있는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비대면 마케팅에 대한 새로운 전략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셜 미디어 상에서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사회적 시청 현상을 중심으로 노출 유형 (직접 시청 vs. 사회적 시청)이 숏폼 브랜디드 콘텐츠와 콘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더불어 인지된 소속감을 매개 변인으로 제시하고, 사회적 시청 과정에서 소비자가 인지하는 소속감이 노출 유형과 소비자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 효과를 주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노출 유형은 콘텐츠와 콘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인지된 소속감 역시 매개 변인으로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가 혼자 있을 때 외로운가? 홀로 있음, 권력감과 외로움의 관계 (Who is Lonely While Being Alo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litude, a Sense of Power, and Loneliness)

  • 임낭연;서은국
    • 감성과학
    • /
    • 제25권2호
    • /
    • pp.87-100
    • /
    • 2022
  • 일반적으로 혼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외로움 수준이 높은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홀로 있을 때, 즉 사회적으로 고립되었을 때 외로움을 경험하는지 여부는 사람마다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홀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 중, 누가 외로움을 경험하는지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권력감(sense of power)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 1은 대규모 설문 조사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적 시간이 적은 사람들의 외로움을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판별분석 결과, 권력감이 사회적 활동 시간이 적은 사람들을 높은 외로움과 낮은 외로움 집단으로 판별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연구 2는 실험을 통해 권력감의 수준을 조작하여 높은 권력감과 낮은 권력감 집단으로 나누었다. 이후 홀로 있음을 점화한 뒤, 외로움과 소속감 상실의 여부가 권력감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권력감이 높으면 사회적 외로움을 적게 경험하고 소속감 상실이 완충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현대 사회는 일인 가정이 많아지고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만남이 제한됨으로써 외로움에 취약한 환경에 처한 개인이 전례 없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 상황에서 외로움 완화의 요인으로써 상황의 변화보다는 개인의 내적 심리적 측면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좌절된 소속감의 개념분석 (Thwarted belongingness: Concept Analysis)

  • 김수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21
  • 본 연구는 좌절된 소속감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근거로 하였다. 좌절된 소속감의 속성은 왜곡된 신념, 소속욕구 불충족, 소외감, 상호교류와 애정욕구의 불충족으로 도출되었다. 선행요인은 사회적 고립, 대인관계에서 배제 또는 갈등 경험, 완벽주의적 성향, 거부민감성이며, 결과는 자살생각, 행복 및 삶의 만족 감소와 거부에 대한 불안, 우울, 수치심, 외로움, 스트레스 또는 분노, 공격성, 적대감 같은 부정적 정서 및 자기비난, 절망감, 자포자기, 정서표현 억제, 무기력, 관계에서 스스로 배제, 정체성 혼란이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와 관련된 개인의 정신적 건강 및 자살생각과 관련된 예방 가능한 간호중재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고, 향후 좌절된 소속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 및 현장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속성을 검증해 볼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 자아불일치 및 공동체 의식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rivacy Concerns, Self Discrepancy and Sense of Virtual Communities)

  • 곽수환;류성열;이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60-369
    • /
    • 2010
  •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아불일치 및 커뮤니티의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었다. 먼저,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가 자아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터넷 사용기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요인은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을 고려하였으며, 커뮤니티에 대한 공동체 의식 요인은 소속감과 몰입감을 고려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 중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의 요인 중 인식의 요인만이 자아불일치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때 인터넷 사용기간은 정보의 인식 및 통제가 자아불일치에 주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자아불일치가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과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불일치가 소속감에는 부(-)의 영향을 주지만, 몰입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